목차
중고등 한국지리 용어 정리
지역(地域)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풍수 지리(風水地理)
혼일강리역대국도
택리지(擇里志)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통계 지도
지리 정보 체계(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
표준시
배타적 경제 수역(E.E.Z. ; Exclusive Economic Zone)
삼한 사온(三寒四溫)
대륙붕 기후
열섬 현상(heat island)
한대 전선
지형성 강우
보(洑)
푄 현상
높새바람
제트류
황사(黃沙) 현상
꽃샘 추위
라테라이트 토
포드졸
지각 변동
경동 지형
지향사(地向斜)
고위 평탄면(高位平坦面)
용식 작용(溶蝕作用)
카르스트 지형
용암 대지
측화산(側火山)(기생 화산)
하상 계수(河床係數)
곡류 하천(曲流河川)
감입 곡류 하천(嵌入曲流河川)
감조 하천(感潮河川)
천정천(天井川)
선상지(扇狀地)
범람원(氾濫原)
하중도(河中島)
침식 분지
해안 단구(海岸段丘)
간석지(干潟地)
사빈(砂濱)
사주(砂洲)
석호(潟湖)
취락
집촌(集村)
산촌(山村)
동족촌(同族村)
너와집
우데기
고방(고팡)
겹집과 홑집
동심원 이론
선형 이론
다핵심 이론
이촌 향도
도시화(都市化)
신도시(新都市)
위성 도시(衛星都市)
거대 도시
교외화(郊外化)
도시 재개발
인구 센서스
경지 면적당 인구 밀도
베이비 붐(baby boom)
인구 피라미드
자원 민족주의(資源民族主義)
가채(可採) 매장량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수력 발전 양식
원자력 발전
경종 조직(耕種組織)
2년 3작
화전 농업(火田農業)
영농의 다각화
근교(近郊) 농업(農業)과 원교(圓敎) 농업(農業)
고립국 이론
공업 입지론
집적 이익(集積利益)
집적 불이익(集積不利益)
운반 거리 비용
종착지(終着地) 비용
수송 적환지
역원제(驛院制)
정기 시장
정보 산업
첨단 산업
성장 거점 개발 방식
균형 개발 방식
다목적(多目的) 댐
온실 효과(溫室效果)
스모그(smog)
산성비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 Biochemical Oxyzen Demand)
부영양화(富營養化)
적조(赤潮)
축적성 중독
오존층 파괴
환경 영향 평가
유엔 환경 개발 회의
지역분화(地域分化)
인구공동화(人口共同化)
역도시화(逆都市化)
개발 제한 구역(그린 벨트)
연담 도시
인천 국제 공항
양잠(養蠶)
천일 제염(天日製鹽)
하안 취락(河岸聚落)
농공(農工) 단지
정주(定住) 생활권
인구의 노령화 현상
금강
하구둑
강경
조력 발전(潮力發電)
자유 경제 무역 지대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 Asia -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세계 무역 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제 원자력 기구(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지역(地域)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풍수 지리(風水地理)
혼일강리역대국도
택리지(擇里志)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통계 지도
지리 정보 체계(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
표준시
배타적 경제 수역(E.E.Z. ; Exclusive Economic Zone)
삼한 사온(三寒四溫)
대륙붕 기후
열섬 현상(heat island)
한대 전선
지형성 강우
보(洑)
푄 현상
높새바람
제트류
황사(黃沙) 현상
꽃샘 추위
라테라이트 토
포드졸
지각 변동
경동 지형
지향사(地向斜)
고위 평탄면(高位平坦面)
용식 작용(溶蝕作用)
카르스트 지형
용암 대지
측화산(側火山)(기생 화산)
하상 계수(河床係數)
곡류 하천(曲流河川)
감입 곡류 하천(嵌入曲流河川)
감조 하천(感潮河川)
천정천(天井川)
선상지(扇狀地)
범람원(氾濫原)
하중도(河中島)
침식 분지
해안 단구(海岸段丘)
간석지(干潟地)
사빈(砂濱)
사주(砂洲)
석호(潟湖)
취락
집촌(集村)
산촌(山村)
동족촌(同族村)
너와집
우데기
고방(고팡)
겹집과 홑집
동심원 이론
선형 이론
다핵심 이론
이촌 향도
도시화(都市化)
신도시(新都市)
위성 도시(衛星都市)
거대 도시
교외화(郊外化)
도시 재개발
인구 센서스
경지 면적당 인구 밀도
베이비 붐(baby boom)
인구 피라미드
자원 민족주의(資源民族主義)
가채(可採) 매장량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수력 발전 양식
원자력 발전
경종 조직(耕種組織)
2년 3작
화전 농업(火田農業)
영농의 다각화
근교(近郊) 농업(農業)과 원교(圓敎) 농업(農業)
고립국 이론
공업 입지론
집적 이익(集積利益)
집적 불이익(集積不利益)
운반 거리 비용
종착지(終着地) 비용
수송 적환지
역원제(驛院制)
정기 시장
정보 산업
첨단 산업
성장 거점 개발 방식
균형 개발 방식
다목적(多目的) 댐
온실 효과(溫室效果)
스모그(smog)
산성비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 Biochemical Oxyzen Demand)
부영양화(富營養化)
적조(赤潮)
축적성 중독
오존층 파괴
환경 영향 평가
유엔 환경 개발 회의
지역분화(地域分化)
인구공동화(人口共同化)
역도시화(逆都市化)
개발 제한 구역(그린 벨트)
연담 도시
인천 국제 공항
양잠(養蠶)
천일 제염(天日製鹽)
하안 취락(河岸聚落)
농공(農工) 단지
정주(定住) 생활권
인구의 노령화 현상
금강
하구둑
강경
조력 발전(潮力發電)
자유 경제 무역 지대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 Asia -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세계 무역 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제 원자력 기구(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본문내용
주거지 확장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서울과 구 주변 도시 간에 도시화된 지역이 연이어 나타나서 연담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다.
과거의 교외 지역이 도시 시가지로 바뀌고 전통적인 농업 지역은 근교 농업 지역으로 바뀌었다. 또한 지방 중심의 소도시나 촌락들이 서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되어 기존의 토지 이용이 변화되고 상업 내지 서비스 지역으로의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인천 국제 공항
영종도와 유용도 사이의 바다와 갯벌 1700만 평을 메우는 공사가 진행중으로, 이 곳에는 공항뿐만 아니라 회의장, 사무실, 숙박 시설, 상가 및 휴양 시설도 함께 건설되며, 아시아 최대의 공항으로서 동북 아시아의 중심이 될 것이다.
양잠(養蠶)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를 치고 고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누에를 치는 데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산간 내륙 지방인 상주, 예천, 거창, 함양 등이 중심지이다.
천일 제염(天日製鹽)
연료 없이 단지 햇빛과 바람에 의해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천일 제염에는 조차가 크고 얕은 바다의 지형 조건과 기온이 높고 공기가 건조하며 비가 적은 것이 유리하다.
하안 취락(河岸聚落)
강이 수운(水運)이나 교통로로 이용될 때, 여객과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에 발달한 취락. 도로와 교차하는 강에 위치하는 나루터, 본류와 지류의 합류점, 수운의 종점 등에 발달하였으나, 육상 교통의 발달로 수운이 쇠퇴함에 따라 하안 취락도 쇠퇴하였다.
농공(農工) 단지
농어촌 지역에 일정 규모의 공업 지역을 조성하여 입주 업체에 대해 금융, 세제, 기술 지원을 해 주는 농어촌 지역의 공업 개발 촉진 기구. 이는 농어촌 지역의 소득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인구 20만 이하의 시와 모든 군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정주(定住) 생활권
농춘 지역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역 단위. 하나의 중심 도시와 그 배후 지역을 이루는 농촌의 군 지역을 단위로 하는 농촌 주민들의 일상 생활권이다.
이는 영남 북부 산간 지역이 과거에 한 개의 마을을 단위로 하던 지역 개발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농촌 주민의 복지를 높이려는 노력에서 나왔다.
인구의 노령화 현상
근대 문명과 기술의 진보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출생률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노년층이 많아지는 인구 변화 현상을 말한다.
금강
금강 유역은 우리 나라의 주요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수운이 활발하여 공주, 부강, 강경 등에 하안 취락이 발달하였다. 각 지방에서 올라오는 세미(稅米)를 운반하는 수운 및 교통로 기능을 하다가 일제 시대 철도가 놓여 교통 수단이 발달하고 1990년 금강 하구둑이 건설되자 주변 지역에 농업, 공업, 생활 용수를 공급하거나 관광 단지로서 그 기능이 변화하였다.
하구둑
바닷물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하구(河口) 부근에 쌓은 둑. 하구둑은 하구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자연 재해 방지 및 효율적인 수자원 이용을 위해 건설한다. 즉 바닷물의 역류 현상으로 인한 염해(鹽害)를 방지하고, 홍수 조절은 물론 농업, 공업 용수로 이용될 수 있어 국토 자원 개발에 중요하다. 영산강 하구둑, 낙동강 하구둑, 금강 하구둑을 들 수 있다.
강경
금강의 하향으로 일찍부터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고, 주위에서 생산된 풍부한 농산물의 집산지로서 기능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대구 및 평양과 함께 우리 나라의 3대 시장으로 상업 활동이 왕성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호남, 논산, 장항 평야에서 생산된 미곡을 출하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역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경부선과 호남선의 개통으로 항구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조력 발전(潮力發電)
조력 발전이란 조석 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 양식이다. 만이나 강의 입구에 저수지를 만들고 간조나 만조때 저수지로 유출, 유입하는 바닷물로 전기를 발전시킨다.
우리 나라는 아산만, 천수만이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막대한 건설 비용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유 경제 무역 지대
북한이 중국의 경제 특구를 모방하여 외국인과의 합작 투자 및 무역을 꾀하기 위해 설치한 지대. 외국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북한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공업을 발전시키고, 경제 협력을 통하여 경제난을 해소하며 국제적인 고립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 Asia -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환태평양을 중심으로 그 연안에 위치한 국가들이 상호 무역을 통한 정치 경제적인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협력체이다.
세계 무역 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기존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이 사법권이 부재로 구속력이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다.
WTO의 출범과 더불어 앞으로 세계 경제는 무역의 장벽이 무너지고 하나의 지구촌을 형성하여, 각국 기업들은 세계 어디서나 하나의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할 것이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48년에 결성된 유럽 경제 협력 기구를 개편하여 1961년에 발족한 서방 선진 국가들의 경제 협력체. 우리 나라도 96년 가입하였다.
설립 목적은
첫째, 재정 금융계의 안정 유지를 통한 고도의 경제 성장, 고용 증대, 생활 수준 향상 및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둘째, 개발 도상국의 건전한 경제 발전을 지원한다.
셋째, 세계 무역의 다각화에 기여한다.
국제 원자력 기구(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원자력을 세계의 평화와 복지 증진에 공헌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자력의 군사적인 이용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간에 세워진 자치 조직. 우리 나라는 1957년에 가입하였다.
원자력을 의약품, 농업, 공업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연구하고, 회의를 개최하거나 전문가를 양성하고 원자력에 관한 과학 기술 정보를 교환한다. 특히 개발 도상국에 대해서는 원자력에 관한 기술을 원조하고 방사능 보호 시설을 만들고 관리하는 일을 한다.
과거의 교외 지역이 도시 시가지로 바뀌고 전통적인 농업 지역은 근교 농업 지역으로 바뀌었다. 또한 지방 중심의 소도시나 촌락들이 서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되어 기존의 토지 이용이 변화되고 상업 내지 서비스 지역으로의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인천 국제 공항
영종도와 유용도 사이의 바다와 갯벌 1700만 평을 메우는 공사가 진행중으로, 이 곳에는 공항뿐만 아니라 회의장, 사무실, 숙박 시설, 상가 및 휴양 시설도 함께 건설되며, 아시아 최대의 공항으로서 동북 아시아의 중심이 될 것이다.
양잠(養蠶)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를 치고 고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누에를 치는 데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산간 내륙 지방인 상주, 예천, 거창, 함양 등이 중심지이다.
천일 제염(天日製鹽)
연료 없이 단지 햇빛과 바람에 의해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천일 제염에는 조차가 크고 얕은 바다의 지형 조건과 기온이 높고 공기가 건조하며 비가 적은 것이 유리하다.
하안 취락(河岸聚落)
강이 수운(水運)이나 교통로로 이용될 때, 여객과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에 발달한 취락. 도로와 교차하는 강에 위치하는 나루터, 본류와 지류의 합류점, 수운의 종점 등에 발달하였으나, 육상 교통의 발달로 수운이 쇠퇴함에 따라 하안 취락도 쇠퇴하였다.
농공(農工) 단지
농어촌 지역에 일정 규모의 공업 지역을 조성하여 입주 업체에 대해 금융, 세제, 기술 지원을 해 주는 농어촌 지역의 공업 개발 촉진 기구. 이는 농어촌 지역의 소득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인구 20만 이하의 시와 모든 군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정주(定住) 생활권
농춘 지역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역 단위. 하나의 중심 도시와 그 배후 지역을 이루는 농촌의 군 지역을 단위로 하는 농촌 주민들의 일상 생활권이다.
이는 영남 북부 산간 지역이 과거에 한 개의 마을을 단위로 하던 지역 개발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농촌 주민의 복지를 높이려는 노력에서 나왔다.
인구의 노령화 현상
근대 문명과 기술의 진보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출생률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노년층이 많아지는 인구 변화 현상을 말한다.
금강
금강 유역은 우리 나라의 주요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수운이 활발하여 공주, 부강, 강경 등에 하안 취락이 발달하였다. 각 지방에서 올라오는 세미(稅米)를 운반하는 수운 및 교통로 기능을 하다가 일제 시대 철도가 놓여 교통 수단이 발달하고 1990년 금강 하구둑이 건설되자 주변 지역에 농업, 공업, 생활 용수를 공급하거나 관광 단지로서 그 기능이 변화하였다.
하구둑
바닷물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하구(河口) 부근에 쌓은 둑. 하구둑은 하구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자연 재해 방지 및 효율적인 수자원 이용을 위해 건설한다. 즉 바닷물의 역류 현상으로 인한 염해(鹽害)를 방지하고, 홍수 조절은 물론 농업, 공업 용수로 이용될 수 있어 국토 자원 개발에 중요하다. 영산강 하구둑, 낙동강 하구둑, 금강 하구둑을 들 수 있다.
강경
금강의 하향으로 일찍부터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고, 주위에서 생산된 풍부한 농산물의 집산지로서 기능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대구 및 평양과 함께 우리 나라의 3대 시장으로 상업 활동이 왕성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호남, 논산, 장항 평야에서 생산된 미곡을 출하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역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경부선과 호남선의 개통으로 항구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조력 발전(潮力發電)
조력 발전이란 조석 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 양식이다. 만이나 강의 입구에 저수지를 만들고 간조나 만조때 저수지로 유출, 유입하는 바닷물로 전기를 발전시킨다.
우리 나라는 아산만, 천수만이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막대한 건설 비용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유 경제 무역 지대
북한이 중국의 경제 특구를 모방하여 외국인과의 합작 투자 및 무역을 꾀하기 위해 설치한 지대. 외국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북한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공업을 발전시키고, 경제 협력을 통하여 경제난을 해소하며 국제적인 고립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 Asia -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환태평양을 중심으로 그 연안에 위치한 국가들이 상호 무역을 통한 정치 경제적인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협력체이다.
세계 무역 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기존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이 사법권이 부재로 구속력이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다.
WTO의 출범과 더불어 앞으로 세계 경제는 무역의 장벽이 무너지고 하나의 지구촌을 형성하여, 각국 기업들은 세계 어디서나 하나의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할 것이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48년에 결성된 유럽 경제 협력 기구를 개편하여 1961년에 발족한 서방 선진 국가들의 경제 협력체. 우리 나라도 96년 가입하였다.
설립 목적은
첫째, 재정 금융계의 안정 유지를 통한 고도의 경제 성장, 고용 증대, 생활 수준 향상 및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둘째, 개발 도상국의 건전한 경제 발전을 지원한다.
셋째, 세계 무역의 다각화에 기여한다.
국제 원자력 기구(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원자력을 세계의 평화와 복지 증진에 공헌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자력의 군사적인 이용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간에 세워진 자치 조직. 우리 나라는 1957년에 가입하였다.
원자력을 의약품, 농업, 공업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연구하고, 회의를 개최하거나 전문가를 양성하고 원자력에 관한 과학 기술 정보를 교환한다. 특히 개발 도상국에 대해서는 원자력에 관한 기술을 원조하고 방사능 보호 시설을 만들고 관리하는 일을 한다.
추천자료
[마케팅] 도시락 - 한국야쿠르트 러시아 진출 마케팅 전략
한국의 사회과 교육
고대 근동의 이스라엘 역사와 한국사에 대한 비교 연구
[농업][한국농업][농업의 기원][농업의 발상지][한국농업의 기원][한국농업의 역사][한국농업...
유럽연합(EU)경제의 이해를 통한 한국경제의 시사점
도시락 - 한국야쿠르트 러시아 진출 마케팅 전략
[지리학][지리학의 배경][지리학과 실학][지리학과 비달][사회지리학][농업지리학][도시지리...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필요성과 기본계획,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데이터 내용, 국가...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목표,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계획, NGIS(국가지...
한국의 전통사상과 환경교육
[아시아국가 문화, 중국, 한국, 태국(타이), 베트남, 카자흐스탄]아시아국가 중국의 문화, 아...
[지리정보시스템][GIS][지리정보][지리][지하매설물]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하매설물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