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회사 개요
중국시장 진출배경
진출 과정
진출 전략
향후 전망
중국시장 진출배경
진출 과정
진출 전략
향후 전망
본문내용
회사 개요
EMART는 신세계 그룹 내 매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할인점 시장 내 시장점유율 1위임.
EMART는 1997년 상하이 진출을 시작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2006년 현재 7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음
2. EMART의 중국 진출 연혁
1997. 2. 1. 신세계 이마트 상하이 1호 취양(曲陽)점 오픈 – 매장면적 1,700평
투자 1년차를 제외한 6년 연속흑자
1999. 6월 취양(曲陽)점 리뉴얼
2003. 6.30. 톈진 법인설립 합자의향서 체결
2003. 7월 상하이 지우바이(구백(九百)) 그룹 합자
2003. 9.17. 톈진 타이다그룹 합자계약 조인식
2003.12.26. 상해녹지그룹과의 전략동맹협의서 조인식
2004. 2.26. 톈진 물건(태달성,올림픽센터,수상세계) 의향서 체결
2004. 3.15. 이마트 전산 시스템 도입
2004. 5.31. 톈진 법인 설립
2004. 6.29. 상하이 이마트 2호 루이홍(虹)점 Grand Open
2005. 3.26. 상하이 이마트 3호 인뚜점 개점
2005.11.17. 톈진 이마트 아오청점 개점
2006. 1.20. 톈진 이마트 탕구점 개점
2006. 3.29. 상하이 무단장점 개점과 함께 중국 이마트 단독 PL(Private Label) – 이푸라이 상품 출시
2012년까지 중국 전역에 50개 Open 예정
중국시장 진출배경
높은 경제 성장
개혁개방 이후 연평균 10%이상의 지속적 경제성장
세계은행 분석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는 GDP가 20조 달러로 성장할 것임
소비시장 규모의 확대
2005년에는 5조 위안(약 780조원)으로 예상됨
→ 우리나라의 약 7배 수준
특히 북경, 상해, 광주, 심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수준이 높아지고 있음
투자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
1995년 WTO 가입 이후, 점진적인 시장 개방 기대됨
3. 상하이(上海)시 상권의 잠재력
타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소득 수준
1인당 소득/소비가 북경,천진 등 다른 도시보다 높음.
→ 구매력을 지닌 인구 층이 상대적으로 두터움.
EMART는 신세계 그룹 내 매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할인점 시장 내 시장점유율 1위임.
EMART는 1997년 상하이 진출을 시작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2006년 현재 7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음
2. EMART의 중국 진출 연혁
1997. 2. 1. 신세계 이마트 상하이 1호 취양(曲陽)점 오픈 – 매장면적 1,700평
투자 1년차를 제외한 6년 연속흑자
1999. 6월 취양(曲陽)점 리뉴얼
2003. 6.30. 톈진 법인설립 합자의향서 체결
2003. 7월 상하이 지우바이(구백(九百)) 그룹 합자
2003. 9.17. 톈진 타이다그룹 합자계약 조인식
2003.12.26. 상해녹지그룹과의 전략동맹협의서 조인식
2004. 2.26. 톈진 물건(태달성,올림픽센터,수상세계) 의향서 체결
2004. 3.15. 이마트 전산 시스템 도입
2004. 5.31. 톈진 법인 설립
2004. 6.29. 상하이 이마트 2호 루이홍(虹)점 Grand Open
2005. 3.26. 상하이 이마트 3호 인뚜점 개점
2005.11.17. 톈진 이마트 아오청점 개점
2006. 1.20. 톈진 이마트 탕구점 개점
2006. 3.29. 상하이 무단장점 개점과 함께 중국 이마트 단독 PL(Private Label) – 이푸라이 상품 출시
2012년까지 중국 전역에 50개 Open 예정
중국시장 진출배경
높은 경제 성장
개혁개방 이후 연평균 10%이상의 지속적 경제성장
세계은행 분석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는 GDP가 20조 달러로 성장할 것임
소비시장 규모의 확대
2005년에는 5조 위안(약 780조원)으로 예상됨
→ 우리나라의 약 7배 수준
특히 북경, 상해, 광주, 심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수준이 높아지고 있음
투자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
1995년 WTO 가입 이후, 점진적인 시장 개방 기대됨
3. 상하이(上海)시 상권의 잠재력
타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소득 수준
1인당 소득/소비가 북경,천진 등 다른 도시보다 높음.
→ 구매력을 지닌 인구 층이 상대적으로 두터움.
추천자료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LG 휘센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
이마트(E-Mart)의 중국시장 진출사례 분석 보고서(파워포인트)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 - ‘STP전략’ 중심으로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사례
아모레퍼시픽, 태평양의 중국시장 진출
SM Entertainment 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경영] 이랜드 기업분석 및 중국시장 진출 성공분석
(A+자료) MP3의 중국시장 진출 성공요인 및 경영전략과 마케팅 전략 총체적 조사분석
[A+] 현대자동차 국제마케팅 사례연구 - 글로벌마케팅, 국내외 환경분석, 경쟁사 분석, 해외...
스타벅스판매전략,스타벅스사업소개,중국내수시장,해외진출현황,마케팅
놀부 NBG의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한 해외진출사례,놀부해외진출,놀부중국마케팅,해외진출마케...
LG생활건강- 중국 브랜딩 전략,중국시장 진출 전략,중국시장 브랜드전략,중국 진출 및 연혁,...
한국타이어(Hankook Tire) 중국시장 진출 사례 분석 및 경쟁사 분석 (타이어 산업, 세계 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