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2. 본론
한국과 미국ㆍ일본의 쓰레기관리 비교
3. 결론
2. 본론
한국과 미국ㆍ일본의 쓰레기관리 비교
3. 결론
본문내용
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쓰레기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와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지만 ZWNT가 재활용기업을 주요 구성원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쓰시협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3. 결론
지금까지 쓰레기제로운동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고 관련된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그 개념적 의의와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가 판단하는 쓰레기제로운동은 이제 그 ‘새싹이 태어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경이로움이다. “사람이 살면서 어떻게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겠느냐?라는
지극히 상식적 생각을 “아니 정말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겠구나”라는 인식으로 바꿀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의 쓰레기제로 운동사례를 설명하였던 Mr.Snow가 회의중에 “뉴질랜드는 작은 나라이지만 세계 최초를 많이 기록하였는데 여성참정권을 처음으로 부여한 나라이기도 하다”라고 언급하면서 “20세기에는 쓰레기제로를 마치 이상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도 있었지만
19세기에는 여성참정권을 더 비상식적으로 생각한 적도 있었음을 상기하여 주십시요”라고 주장한 것은 인상적이다 할수 있다.
뉴질랜드의 ZWNT의 조직의 쓰레기 제로 절약이 시사하는 점은 크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촌에서 행할 수 있는 쓰레기 제로를 위한 공공부문, 산업부문,시민사회부문으로 나뉘어 쓰레기 절약을 위한 새로운 역할들을과 실천가능 방안들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단위별 구분
쓰레기제로를 위한 새로운 역할
공공부문
중앙정부
- 쓰레기제로를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
- 쓰레기제로를 위한 기업이 우대받을 수 있는 제도 마련
- 지방정부와 지역사회를 협력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쓰레기제로 기금(Zero Waste Fund)마련
광역자치단체
- 권역별 재생원료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
- 자원순환가공시설의 설치와 원활한 물류체계구축
- 각 시.군.구별 역할 조정
기초자치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구체적 조례를 마련하고 집행
- 지역사회와 민간업체의 쓰레기제로 협력체계 구축
- 쓰레기제로를 위한 민간계약, 학교교육, 시민참여교육
산업부문
산업설계
- 각종 산업순환시스템에 쉽게 접근될 수 있는 상품의 부품설계
- 잉여소재와 부산물의 환경부하제로 설계
- 쓰레기제로를 위한 자원순환 산업단지(cluster) 조성
생산및유통
- 생산자책임재활용제의 확대
- 상품의 쓰레기제로를 위한 새로운 생산공정에 투자
- 생산과 유통 및 폐기의 전과정에 대한 물류시스템 재조정
재활용사업
- 생산자와 지방정부 사이에서 서비스제공
- 소비자와 지방정부 사이에서 서비스제공
- 쓰레기제로를 위한 물류순환 마켓팅 & 투자
(자원가치를 상승시키는 다양한 노력)
시민사회부문
종교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철학적 사상운동과 실천노력
- 지역사회의 빈민구제사업과 연계
- 일자리 만들기와 지역사회의 나눔
시민.
환경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시민실천 노력(녹색구매, 녹색소비자)
- 각 지방의회와 단체장에 대한 관련 조례제정 운동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쓰레기제로 지표작성 및 평가
국제연대
- 국제적 연대를 통한 쓰레기제로의 세계여론 형성
- 국제 NGO Network을 통한 다국적기업에 대한 공동대응
- 국제기구를 통한 쓰레기제로 실천, 지구촌 나눔의 제도화
(Zero Waste, Zero Poverty!)
Zero Waste, Zero Poverty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우리 모두의 21세기 과제이며, 대량생산 대량폐기라는 단선구조를 끊을수 있는 지극히 당연하면서도 당면한 과제이다.
우리 모두의 노력이 쓰레기제로를 통하여 실천되기를 기대하며 지구촌 대중 모두가 함께 참여하기를 기대하여 본다.
3. 결론
지금까지 쓰레기제로운동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고 관련된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그 개념적 의의와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가 판단하는 쓰레기제로운동은 이제 그 ‘새싹이 태어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경이로움이다. “사람이 살면서 어떻게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겠느냐?라는
지극히 상식적 생각을 “아니 정말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겠구나”라는 인식으로 바꿀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의 쓰레기제로 운동사례를 설명하였던 Mr.Snow가 회의중에 “뉴질랜드는 작은 나라이지만 세계 최초를 많이 기록하였는데 여성참정권을 처음으로 부여한 나라이기도 하다”라고 언급하면서 “20세기에는 쓰레기제로를 마치 이상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도 있었지만
19세기에는 여성참정권을 더 비상식적으로 생각한 적도 있었음을 상기하여 주십시요”라고 주장한 것은 인상적이다 할수 있다.
뉴질랜드의 ZWNT의 조직의 쓰레기 제로 절약이 시사하는 점은 크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촌에서 행할 수 있는 쓰레기 제로를 위한 공공부문, 산업부문,시민사회부문으로 나뉘어 쓰레기 절약을 위한 새로운 역할들을과 실천가능 방안들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단위별 구분
쓰레기제로를 위한 새로운 역할
공공부문
중앙정부
- 쓰레기제로를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
- 쓰레기제로를 위한 기업이 우대받을 수 있는 제도 마련
- 지방정부와 지역사회를 협력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쓰레기제로 기금(Zero Waste Fund)마련
광역자치단체
- 권역별 재생원료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
- 자원순환가공시설의 설치와 원활한 물류체계구축
- 각 시.군.구별 역할 조정
기초자치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구체적 조례를 마련하고 집행
- 지역사회와 민간업체의 쓰레기제로 협력체계 구축
- 쓰레기제로를 위한 민간계약, 학교교육, 시민참여교육
산업부문
산업설계
- 각종 산업순환시스템에 쉽게 접근될 수 있는 상품의 부품설계
- 잉여소재와 부산물의 환경부하제로 설계
- 쓰레기제로를 위한 자원순환 산업단지(cluster) 조성
생산및유통
- 생산자책임재활용제의 확대
- 상품의 쓰레기제로를 위한 새로운 생산공정에 투자
- 생산과 유통 및 폐기의 전과정에 대한 물류시스템 재조정
재활용사업
- 생산자와 지방정부 사이에서 서비스제공
- 소비자와 지방정부 사이에서 서비스제공
- 쓰레기제로를 위한 물류순환 마켓팅 & 투자
(자원가치를 상승시키는 다양한 노력)
시민사회부문
종교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철학적 사상운동과 실천노력
- 지역사회의 빈민구제사업과 연계
- 일자리 만들기와 지역사회의 나눔
시민.
환경단체
- 쓰레기제로를 위한 시민실천 노력(녹색구매, 녹색소비자)
- 각 지방의회와 단체장에 대한 관련 조례제정 운동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쓰레기제로 지표작성 및 평가
국제연대
- 국제적 연대를 통한 쓰레기제로의 세계여론 형성
- 국제 NGO Network을 통한 다국적기업에 대한 공동대응
- 국제기구를 통한 쓰레기제로 실천, 지구촌 나눔의 제도화
(Zero Waste, Zero Poverty!)
Zero Waste, Zero Poverty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우리 모두의 21세기 과제이며, 대량생산 대량폐기라는 단선구조를 끊을수 있는 지극히 당연하면서도 당면한 과제이다.
우리 모두의 노력이 쓰레기제로를 통하여 실천되기를 기대하며 지구촌 대중 모두가 함께 참여하기를 기대하여 본다.
추천자료
스웨덴의 산업화
바람직한 의사소통법 (나-전달법과 반영적 경청에 대한 이해)
구비문학과 민속
일회용품에 대한 환경성 연구
(서평)'홀로사는 즐거움'에 대한 내용요약, 분석 및 독후감(A+독후감)
일본 음식 문화
사회복지현장실습 - 사회복지법인 기아대책에서
[중국의 식사예절][한국의 식사예절][일본의 식사예절][서양의 식사예절][18세기 영국의 식사...
분리수거 완료
[a+독후감] 법정스님 홀로사는즐거움을 읽고
[심장혈관검사][관상동맥검사][요추검사][부하검사][초음파검사][방사선검사][RT][심장혈관][...
[재활용사업, 재활용사업 필요성, 재활용사업 추세, 재활용사업 사례(음식물 재활용사업),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