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남정책의 시대적흐름과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대남정책의 시대적흐름과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흡수통일을 위한 공세적 대남정책 :1948년 ~ 1959년

2. 남조선 혁명을 위한 양면적 대남정책 : 1960년 ~ 1988년

3. 공존과 체제생존 차원의 대남정책 : 1989년 ~ 2004년

본문내용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소 5백 마리를 이끌고 판문점을 경유해 방북할 수 있도록 북한이 판문점을 개방한 사실은 남한에서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의 징조로 받아들여졌다 일간지 사설, “소때가연 판문점 길”, 동아일보, 1998. 6. 17일자 .
. 1998년 11월 18일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었고, 1999년 3월 16일 북미 금창리 협상이 타결되어, 북한이 대남 화해정책으로 전환하는 듯 했으나, 1999년 6월 7일 서해 연평도 도발사건, 6월 20일 금강산 관광객 억류사건 등으로 모처럼 조성되었던 남북대화 화해 분위기를 냉각시켰다.
3) 공존과 체제생존의 정당화 - 민족공조론 : 2001년 ~ 2004년
2001년 3월 미국 부시 해어정부의 출범은 정상회담 이후 급물살을 타던 미국과의 관계개선에 제동을 걸었다. 특히 9.11테러 발생 이후 미국이 주도한 반테러리즘의 전 세계적 확산 및 2002년 10월 북한의 우라늄 핵개발 시인은 과거 클린턴 행정부 시기 동안 기울였던 모든 노력을 허사로 만들기에 충분할 만큼 북한에 치명타가 되었다. 북한 입장에서는 미국 및 일본과의 관계개선에 실패한 상황에서 심각한 경제난과 북핵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무엇보다 남북 간 화해와 협력이 필요했다.
군사 분야에 있어서 2000년 9월 제주도에서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국방장관급회담이 개최된 후 북한은 군사분야 실무회담 등을 통해 경의동해선 철도도로 통행을 위한 군사적 보장문제를 남측과 협의하였다. 경제 분야에 있어서 북한의 움직임은 특히 두드러지는데 2002년 10월 북한의 최고위급 인사가 포함된 경제시찰단이 남한의 산업지대를 방문하여 경제발전상을 확인한 후 남한과의 경제 분야 협의가 보다 적극적 양상을 띠게 되었다. 2003년 2월 14일 금강산 육로관광을 위한 첫 시범버스가 운행했으며 2003년 6월 30일 개성공단 조성을 위한 개성공업지구 착공식이 열렸다. 북한은 방송문화체육 교류 및 이산가족 문제 등의 분야에서도 이전시기보다 훨씬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남북 간 방송교류가 본격화 되었으며, 남북교양악단 합동연주회, 북한 고구려유물 서울전시회등의 예술행사가 남과 북을 가로질러 개최되었다. 그리고 시드니 올림픽 개막식 남북선수단 동시입장, 북한의 2002년 9월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와 2003년 8월 대구 유니버시아드대회에 대규모 선수단과 응원들 파견 등을 통해 남북간 화해협력의 분위기는 가일층 높아졌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