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품화 현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상품화 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성 상품화의 개념과 원인
2. 1 성 상품화란
2. 2 성 상품화의 원인

3. 성 상품화의 범주와 특징
3. 1 성적어필광고의 소개와 성적 표현
3. 2 유흥업소와 성매매의 실태와 문제점

4. 성 상품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5. 성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개선

6.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을 두 남녀의 인격적인 만남이 아니라 쾌
- 6 -
락만을 위한 성행위나 외도, 또는 물질로 교환되는 인간관계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들에게 이기적이고 물질 만능적인 가치관을 주입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과장된 광고는 혐오스러운 외설 문구와 사건으로 호기심이 강한 청소년들을 유혹하며, 많은 보도와 선전에 여성을 상업적 도구로 이용하여 여성을 인격체가 아닌 성적 대상물로 비하시키는 성차별 의식을 심어 주고 있다. 이처럼 성의 상품화는 인간답고 자유로운 인간관계를 파괴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를 소외시키며 소중히 간직해야 할 개인적인 부분까지 오염시키고 있다. 올바른 청소년 성문화를 위한 교육이 실시되더라도 그들이 느끼는 현 사회의 모습과 모순되는 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만무할 것이다.
청소년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인간답고 자유로운 삶을 황폐화시키고 아름답고 따뜻한 인간관계로서의 성을 왜곡시키며, 남성과 여성을 소외와 차별의 관계로 전락시키고 있다. 여성은 그저 남자의 욕구를 해소시킬 수 있는 도구로 여기게 된다. 산업혁명 이후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것이 상품화되어 성이나 사랑까지도 장사에 이용하게 된다. 많이 팔고 이윤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풍조가 만연되어 사람들의 성적 본능을 자극하여 상품에 대한 흥미를 끌고 광고하고 선전하고자 성을 이용하게 되었다. 결국 상품의 내용과는 관계없는 광고에까지 필요 이상으로 여성의 육체를 강조하고 남성의 부와 권력을 이용하여 여러 여자를 성적 유희의 대상으로 삼는 유흥업소와 매춘이 흥행하게 된 것이다.
5. 성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개선
성 상품화가 우리사회에 미치는 폐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우리는 짧은 유니폼을 입고 마이크를 든 행사 도우미들을 보고 성 상품화의 폐단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굳이 그 상품을 파는 데 꼭 그러한 옷차림의 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성 상품화현상은 자본주의 틀 아래서 아무 문제될 것이 없고 자연스러운 듯이 교묘히 숨어 있던 것이다. 그야말로 현 사회구조는 자본주의의 음험함이 묻어나는 사회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성 상품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마어마한 것이다. 사회생물학적으로 인간의 종족 보존이라는 의미가 담긴 성은 신성한 것이다. 그 단어 뒤에 상품화라는 말의 합성어가 생긴 현상부터가 잘못 되어 있던 것이다. 우리는 사회에 악영향을 미치며 이윤을 챙기는 사람을 강도, 도둑이라 하며, 그른 것을 옳은 것처럼 교묘히 속이는 사람을 사기꾼이라고 부른다. 성 상품화 역시 그렇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성매매에서는 성을 사는 남자는 강한 성욕
- 7 -
을 지닌 정상적 남성성으로 이해되지만, 파는 여성은 정상적 여성성으로부터의 추방을 의미한다. 변혜정,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동녘, 2006), p. 199.
이 역시 사기꾼의 농간과 다름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 상품화의 폐단을 막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성과 사랑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전인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2차적으로 자본주의의 틀의 모순점을 이해하여 무분별하고 부도덕한 기성세대의 성문화를 고쳐 나가야 할 것이다. 이는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관심과 생각을 공유하고, 서로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자아를 실현하고 사랑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마지막으로는 성 상품화현상의 폐단에 대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고, 사회의 올바른 성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6. 결론
지금까지 성 상품화의 개념부터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어야 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이라는 것은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관심과 생각을 공유하고, 서로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자아를 실현하고 사랑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사랑이 빠진, 성이 쾌락에만 치우칠 때 인간은 그 노예가 되어 인격이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성 상품화라는 물질주의, 자본주의적 사고가 하루 속히 근절해야 할 것이다.
- 8 -
※ 참고 문헌
캠퍼스 스타일 2004년 4월호.
YTN(www.ytn.co.kr), 2004. 9. 23.
매일일보(www.imeail.com), 2006. 10. 13.
다자키 히데야키(2006), 노동하는 섹슈얼리티, 김경자 옮김, 삼인.
조선일보(www.chosun.com), 2006. 4. 27.
변혜정(2006),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동녘.
- 9 -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18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