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절제술 ․ 총담관 절개술 후 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낭절제술 ․ 총담관 절개술 후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을 통한 담즙배설이 적어지면 대변은 점차적으로 정상적인 갈색
- 요중 빌리루빈을 암시하는 갈색 소변이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소변검사를 시행.
소변 속에서 빌리루빈이 발견되면 의사에게 대상자 소변을 보여주어야 함.
- 담즙의 흐름이 막히고 간이나 혈류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황달이 초래되므로 공막 관찰
- 담즙의 양과 색깔, 피부상태, 교육내용,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
4) T - tube 배액 시 유의해야 할 점
- 회복실로부터 돌아올 때 T-tube를 잠궜다면 입원실에 돌아온 즉시 clamp를 염
- 배액량은 하루 종일 모은 다음 매일 새벽에 측정
- T-tube를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잠근 후 대상자의 불편함 관찰, 불편감이 나타나면 즉시 장금장치 를 풀고 의료진에게 보고
- 첫날 몇 시간 동안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액체가 배액 되지만 양이 많다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
- 때때로 대상자는 T-tube를 삽입한 채 퇴원
: 튜브의 관리와 의사에게 보고해야 할 합병증에 대해 교육
5) T - tube 제거
① T - tube 제거하는 경우
- 배액관은 보통 수술 후 10일 후에 제거, 이때 배액량은 거의 없음.
- T-tube를 제거하기 전에 총담관 개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보통 담관조영술을 시행
- T-tube 제거 시기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고 일반적으로 X-ray 검사상 담석이 발견되지 않고 주입한 염료의 흐름이 원활할 때
- T-tube를 잠근 뒤 5~7일 동안 특이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 제거
② T - tube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 T-tube 제거 후 오한발열(24시간 내 사라짐) → 부종과 담즙에 대한 국소반응으로 야기
- 때때로 복강 내로 담즙이 흘러나와 복막염을 유발하여 복부통증이 나타나므로 즉시 보고
6) T-tube dressing 방법 및 절차
① 손을 씻고 비닐장갑을 낀 후 T-tube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거즈를 제거한다.
② 손을 다시 씻고 Aseptic technique을 지켜 멸균장갑을 낀다.
③ Tube 삽입부위의 감염, 발적, 부종, 열감, 압통, 경결, 피부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④ 베타딘 솜으로 튜브주의를 안에서 밖으로 원을 그리면서 닦은 후 말린다.
⑤ 담즙배출로 인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피부 보호제를 튜브주위에 바른다.
⑥ 멸균거즈를 대고 튜브가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반창고를 붙인다.
⑦ 물품을 정리한다.
참고문헌
1) 문 헌
-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上(Ⅱ). 수문사
- 전시자 외.(2001).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 김조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1). 현문사
2) 인터넷
- http://blog.daum.net/recklesslife/3592340
- http://ybic.yjc.ac.kr/%7Enursing/cgi-bin/free2/free3/files/4.
- http://myhome.medigate.net/%7Ewikysk/lc.htm
- http://pmcgs.org/information_5.htm

키워드

t-tube,   관리,   수술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20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