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식품 백 대신 재활용품 제공(본인 희망시)
* 연간 3,676톤의 쓰레기 교환
ㅇ `뚜도 림뽀(Tudo Limpo, All Clean)` 프로그램
- 쓰레기가 무단 방치된 나대지를 청소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
- 실업자 또는 은퇴자를 임시고용하여 운영
2) 공원ㆍ녹지 정책
ㅇ `그늘과 신선한 물` 프로그램
- 자연배수 시스템 및 하천 유역은 법률로서 엄격히 보호
- 홍수 및 하천의 관리를 위해 하천지역을 수용하고 유수지 역할을 하는 호수를 조성
- 모든 건물에 대해 식재공간을 확보토록 의무화
- 나무의 임의적인 벌목을 금지하고 기존 나무는 등록을 의무화
ㅇ 녹색 공업단지
- 공단 면적 중 약 40%를 녹지공간으로 활용(공단은 하나의 공원이자 정원)
- 공장의 폐기물을 자기 토지에서 처리토록 의무화하여 산업 쓰레기의 재활용 및 감량화 유도
-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자전거 타기를 유도(Da Peadal Program)
ㅇ 생생한 환경 교육
- 책상과 걸상 및 비디오, TV 등 모든 학교의 시설물들을 재활용공장에서 나온 것들로 구성
- 쓰레기 박물관 : 쓰레기 더미에서 찾은 역상의 흔적이 담긴 생활소품과 가사용품 등을 전시
* 유엔환경계획이 `우수환경과 재생 상` 수여(90년)
4. 인간중심ㆍ문화 도시
- 보행자 위주의 도로 건설
1) 자전거 도로망 구축
- 77년 착수하여 연장 100㎞의 자전거 도로망 구축(레저용과 통근용 도로로 구분하여 구축)
- 보행자를 위한 공간 건설 : `꽃의 거리`, `24시간 거리`, `시민의 거리` 등의 다양한 공간 조성
- 지하도와 육교 설치를 제한하여 보행 쾌적성을 향상
2)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
- 탁아 프로그램 : Day-Care 티켓을 구입하는 개인이나 회사에게 세금 감면
- `지원 하우스` 프로그램 : 부모없는 청소년 지원
- `Sos 아이들` 프로그램 : 비행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 `취업로` 프로그램 : 빈민촌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프로그램
3) 재활용을 통한 다양한 문화시설의 건설
- 오페라 데 아라메 극장 : 폐광지역을 개조하여 지금은 관광명소
- 환경개방대학 : 나무로 된 전신주를 재활용하여 건설
- `지혜의 등대` : 주로 빈민촌에 입지한 도서관으로 재활용품으로 건설
5. 한국에서의 시사점
1) 꾸리찌바의 환경에 대한 선진적인 기법은 한국의 신도시 및 지방의 중소도시에서 적용가능
2) 특히, 교통이나 주민의 정주여건 조성에 있어 많은 시사점
* 연간 3,676톤의 쓰레기 교환
ㅇ `뚜도 림뽀(Tudo Limpo, All Clean)` 프로그램
- 쓰레기가 무단 방치된 나대지를 청소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
- 실업자 또는 은퇴자를 임시고용하여 운영
2) 공원ㆍ녹지 정책
ㅇ `그늘과 신선한 물` 프로그램
- 자연배수 시스템 및 하천 유역은 법률로서 엄격히 보호
- 홍수 및 하천의 관리를 위해 하천지역을 수용하고 유수지 역할을 하는 호수를 조성
- 모든 건물에 대해 식재공간을 확보토록 의무화
- 나무의 임의적인 벌목을 금지하고 기존 나무는 등록을 의무화
ㅇ 녹색 공업단지
- 공단 면적 중 약 40%를 녹지공간으로 활용(공단은 하나의 공원이자 정원)
- 공장의 폐기물을 자기 토지에서 처리토록 의무화하여 산업 쓰레기의 재활용 및 감량화 유도
-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자전거 타기를 유도(Da Peadal Program)
ㅇ 생생한 환경 교육
- 책상과 걸상 및 비디오, TV 등 모든 학교의 시설물들을 재활용공장에서 나온 것들로 구성
- 쓰레기 박물관 : 쓰레기 더미에서 찾은 역상의 흔적이 담긴 생활소품과 가사용품 등을 전시
* 유엔환경계획이 `우수환경과 재생 상` 수여(90년)
4. 인간중심ㆍ문화 도시
- 보행자 위주의 도로 건설
1) 자전거 도로망 구축
- 77년 착수하여 연장 100㎞의 자전거 도로망 구축(레저용과 통근용 도로로 구분하여 구축)
- 보행자를 위한 공간 건설 : `꽃의 거리`, `24시간 거리`, `시민의 거리` 등의 다양한 공간 조성
- 지하도와 육교 설치를 제한하여 보행 쾌적성을 향상
2)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
- 탁아 프로그램 : Day-Care 티켓을 구입하는 개인이나 회사에게 세금 감면
- `지원 하우스` 프로그램 : 부모없는 청소년 지원
- `Sos 아이들` 프로그램 : 비행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 `취업로` 프로그램 : 빈민촌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프로그램
3) 재활용을 통한 다양한 문화시설의 건설
- 오페라 데 아라메 극장 : 폐광지역을 개조하여 지금은 관광명소
- 환경개방대학 : 나무로 된 전신주를 재활용하여 건설
- `지혜의 등대` : 주로 빈민촌에 입지한 도서관으로 재활용품으로 건설
5. 한국에서의 시사점
1) 꾸리찌바의 환경에 대한 선진적인 기법은 한국의 신도시 및 지방의 중소도시에서 적용가능
2) 특히, 교통이나 주민의 정주여건 조성에 있어 많은 시사점
추천자료
인도 농업경제의 발전과 농촌 및 도시빈곤의 특징과 규모
신도시 개발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필요성과 개발의 고려사항 및 국내, 외 개발사례에 관해 논...
중앙정부 정책성공 사례로서의 제주국제자유도시
[비오톱]비오톱(Biotope) 정의와 특징, 생태도시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비오톱 조성, 비오...
도시하천의 환경 기능 강화방안 - 청계천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해서 -
일본의 도시재생 사례
제주 혁신도시 사례검토
독일의 도시재생 사례
[정책학원론] 브라질 꾸리찌바 시의 도시행정 성공사례
(A+평가 레포트)기업도시(CompanyCity)의 개념과 특징과 유형 및 이론
대한주택공사 조사 보고서 -신도시 건설사례-
[자연과 환경] 친환경 도시 사례 - 독일, 프라이부르크 (환경오염, 환경보전, 환경).pptx
도시정부의 여성 친화 정책에 관한 연구 - 익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계획 사례의 조사 및 발표] 2020 광주권 광역도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