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자계산기 개념
자료 표현
주소 지정
하드웨어
자료 표현
주소 지정
하드웨어
본문내용
팬(Light Pen)
감광 소자를 내장하고 있는 팬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이 팬을 이용하여 지시하 면 내용이 인식된다. 손으로 모니터에 직접 기입하는 방식이다.
2. 출력 장치
※ Hard Copy : 출력 결과 존재(Printer, Disk)
※ Soft Copy : 출력 결과를 눈으로만 확인(Moniter)
(1) 카드 천공기
카드에 구멍을 뚫어 자료를 출력하는 장치. 카드 상의 어느 위치에 천공하느냐에 따라서 자 료의 값이 결정된다.
(2) 종이 테이프 천공기
① 빈 종이 테이프에 구멍을 뚫어서 자료를 출력하는 장치
② 기계식과 광전식이 있다.
③ 6, 8 단위를 주로 사용한다.
(3) 인쇄 장치
① 출력 자료를 종이에 인쇄하는 장치
② 충격식과 비충격식이 있다.
충격식 : 활자식, 도트 매트릭스 방식
비충격식 : 열전사 방식, 잉크 분사 방식, 레이져 방식
(4) 영상 표시 장치(CRT : Cathod Ray Tube)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자료를 표시하는 장치로 브라운관에 전자빔을 주사시켜서 글자나 그림 등을 나타낸다(모니터, 음극선관).
(5) 마이크로 필름 출력 장치(COM : Computer Output Microflim)
출력 자료를 마이크로 필름에 기록하는 장치. 많은 자료를 보관할 수 있고, 처리 속도가 빠 르다. 단, 온라인보다는 배치 처리식 작업에 적합하다.
(6) X-Y Plotter
도형을 인쇄하는 장치. 주로 CAD의 설계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
3. 입출력 장치
(1) 콘솔(Console)
컴퓨터 시스템에 관리자가 컴퓨터의 현재 상태를 알아보거나 컴퓨터를 관리제어 하기 위 해 사용하는 장치
콘솔의 기능
① 컴퓨터의 기동 및 종료
② 컴퓨터의 상태를 표시
③ 입출력 장치를 선택
④ 주기억 장치에 자료를 입출력
⑤ 컴퓨터의 상태를 제어
⑥ 내부의 전자 수위치의 ON/OFF 기능
4. 보조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는 엑세스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SASD :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엑세스하는 장치
② DASD :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직접 찾아가서 임의로 엑세스하는 장치
(1)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구성
① BOT(Begin of Tape) : 테이프에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시작 부분
② EOT(End of Tape) : 테이프에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끝 부분
③ 릴(Reel)의 길이는 800, 1200, 1600, 2400 피트 등이 있다.
④ GAP : 레코드가 기록되지 않은 공백
IRG(Inter Record Gap) : 논리 레코드 사이의 틈
IBG(Inter Block Gap) : 블록 사이의 틈
⑤ BPI(Byte Per Inch) : 1인치 당 기록할 수 있는 문자 수(기록 밀도)
⑥ IPS(Inch Per Second) : 1초 당 이동되는 테이프의 길이(전송 속도)
기록 밀도가 800BPI이고 릴의 길이가 1200피트인 테이프에 저장할 수 있는 문자 수 는(1피트= 12인치)?
1200피트 × 12인치/피트 = 14,400인치
14400인치 × 800바이트/인치 = 115,200바이트(문자)
종류
① 7트랙 자기 테이프 : 주로 BCD 코드를 이용하여 자료를 기억시킨다.
② 9트랙 자기 테이프 : EBCDIC, ASCII 코드를 이용하여 자료를 기억시킨다.
자료의 처리 방식(Sequential Access Method : SAM)
자료의 입출력은 순차적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에는 부적합하고 일괄 처리 중심의 업무 처리에 적합하다.
논리 레코드와 물리 레코드
① 논리 레코드(Logical Record) : 각 항목으로 구성된 자료의 모임
② 물리 레코드(Physical Record) : 논리 레코드가 여러 개 모인 것으로 테이프에 자료를 입출력하는 단위를 말하며 블록(Block)이라고도 한다.
③ 블록화 인수(Blocking Factor) :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있는 논리 레코드의 개수
자기 테이프의 레코드 형식
① 고정 길이 레코드(Fixed Length Record)
② 가변 길이 레코드(Variable Length Record)
③ 부정 형식 레코드(Undefined Record)
자기 테이프와 파일 수 간의 관계
① Single Volume/Multi File : 여러 개의 파일을 1개의 테이프에 수록
② Single Volume/Single File : 1개의 파일을 1개의 테이프에 수록
③ Multi Volume/Multi File : 여러 개의 파일을 여러 개의 테이프에 수록
④ Multi Volume/Single File : 1개의 파일을 여러 개의 테이프에 수록
(2)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구성
① 디스크 팩(Disk Pack) : 디스크 원판이 여러 개 모여 있는 집단.
② 읽기/쓰기 헤드(Read Write head) : 디스크 표면에 자료 읽기/쓰기를 수행.
③ 액세스 암(Access Arm) : 헤드를 디스크 표면으로 이동시켜 준다.
트랙(Track), 실린더(Cyinder), 섹터(Sector)
① 트랙 : 디스크 표면은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각 동심원을 트랙이라 한다.
② 실린더 : 디스크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트랙의 모임
③ 섹터 : 한 트랙은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각 구역을 섹터라 한다.
자료 처리 방식(Random Access Method)
디스크 표면의 임의 위치에 자료의 입출력이 가능
디스크의 자료 처리 시간
① Seek Time : 입출력할 자료가 있는 트랙까지 헤드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② Search Time : 해당 트랙 상에서 원하는 자료가 위치한 섹테에 헤드가 이동하는데 걸 리는 시간
③ Transfer Time : 보조 기억 장치 내의 자료를 주기억 장치에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④ Access Time : Seek Time + Search Time
(3) 자기 드럼
컴퓨터 개발 초기에 사용되었으나 부피가 큰 반면 기억 용량이 작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감광 소자를 내장하고 있는 팬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이 팬을 이용하여 지시하 면 내용이 인식된다. 손으로 모니터에 직접 기입하는 방식이다.
2. 출력 장치
※ Hard Copy : 출력 결과 존재(Printer, Disk)
※ Soft Copy : 출력 결과를 눈으로만 확인(Moniter)
(1) 카드 천공기
카드에 구멍을 뚫어 자료를 출력하는 장치. 카드 상의 어느 위치에 천공하느냐에 따라서 자 료의 값이 결정된다.
(2) 종이 테이프 천공기
① 빈 종이 테이프에 구멍을 뚫어서 자료를 출력하는 장치
② 기계식과 광전식이 있다.
③ 6, 8 단위를 주로 사용한다.
(3) 인쇄 장치
① 출력 자료를 종이에 인쇄하는 장치
② 충격식과 비충격식이 있다.
충격식 : 활자식, 도트 매트릭스 방식
비충격식 : 열전사 방식, 잉크 분사 방식, 레이져 방식
(4) 영상 표시 장치(CRT : Cathod Ray Tube)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자료를 표시하는 장치로 브라운관에 전자빔을 주사시켜서 글자나 그림 등을 나타낸다(모니터, 음극선관).
(5) 마이크로 필름 출력 장치(COM : Computer Output Microflim)
출력 자료를 마이크로 필름에 기록하는 장치. 많은 자료를 보관할 수 있고, 처리 속도가 빠 르다. 단, 온라인보다는 배치 처리식 작업에 적합하다.
(6) X-Y Plotter
도형을 인쇄하는 장치. 주로 CAD의 설계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
3. 입출력 장치
(1) 콘솔(Console)
컴퓨터 시스템에 관리자가 컴퓨터의 현재 상태를 알아보거나 컴퓨터를 관리제어 하기 위 해 사용하는 장치
콘솔의 기능
① 컴퓨터의 기동 및 종료
② 컴퓨터의 상태를 표시
③ 입출력 장치를 선택
④ 주기억 장치에 자료를 입출력
⑤ 컴퓨터의 상태를 제어
⑥ 내부의 전자 수위치의 ON/OFF 기능
4. 보조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는 엑세스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SASD :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엑세스하는 장치
② DASD :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직접 찾아가서 임의로 엑세스하는 장치
(1)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구성
① BOT(Begin of Tape) : 테이프에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시작 부분
② EOT(End of Tape) : 테이프에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끝 부분
③ 릴(Reel)의 길이는 800, 1200, 1600, 2400 피트 등이 있다.
④ GAP : 레코드가 기록되지 않은 공백
IRG(Inter Record Gap) : 논리 레코드 사이의 틈
IBG(Inter Block Gap) : 블록 사이의 틈
⑤ BPI(Byte Per Inch) : 1인치 당 기록할 수 있는 문자 수(기록 밀도)
⑥ IPS(Inch Per Second) : 1초 당 이동되는 테이프의 길이(전송 속도)
기록 밀도가 800BPI이고 릴의 길이가 1200피트인 테이프에 저장할 수 있는 문자 수 는(1피트= 12인치)?
1200피트 × 12인치/피트 = 14,400인치
14400인치 × 800바이트/인치 = 115,200바이트(문자)
종류
① 7트랙 자기 테이프 : 주로 BCD 코드를 이용하여 자료를 기억시킨다.
② 9트랙 자기 테이프 : EBCDIC, ASCII 코드를 이용하여 자료를 기억시킨다.
자료의 처리 방식(Sequential Access Method : SAM)
자료의 입출력은 순차적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에는 부적합하고 일괄 처리 중심의 업무 처리에 적합하다.
논리 레코드와 물리 레코드
① 논리 레코드(Logical Record) : 각 항목으로 구성된 자료의 모임
② 물리 레코드(Physical Record) : 논리 레코드가 여러 개 모인 것으로 테이프에 자료를 입출력하는 단위를 말하며 블록(Block)이라고도 한다.
③ 블록화 인수(Blocking Factor) :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있는 논리 레코드의 개수
자기 테이프의 레코드 형식
① 고정 길이 레코드(Fixed Length Record)
② 가변 길이 레코드(Variable Length Record)
③ 부정 형식 레코드(Undefined Record)
자기 테이프와 파일 수 간의 관계
① Single Volume/Multi File : 여러 개의 파일을 1개의 테이프에 수록
② Single Volume/Single File : 1개의 파일을 1개의 테이프에 수록
③ Multi Volume/Multi File : 여러 개의 파일을 여러 개의 테이프에 수록
④ Multi Volume/Single File : 1개의 파일을 여러 개의 테이프에 수록
(2)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구성
① 디스크 팩(Disk Pack) : 디스크 원판이 여러 개 모여 있는 집단.
② 읽기/쓰기 헤드(Read Write head) : 디스크 표면에 자료 읽기/쓰기를 수행.
③ 액세스 암(Access Arm) : 헤드를 디스크 표면으로 이동시켜 준다.
트랙(Track), 실린더(Cyinder), 섹터(Sector)
① 트랙 : 디스크 표면은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각 동심원을 트랙이라 한다.
② 실린더 : 디스크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트랙의 모임
③ 섹터 : 한 트랙은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각 구역을 섹터라 한다.
자료 처리 방식(Random Access Method)
디스크 표면의 임의 위치에 자료의 입출력이 가능
디스크의 자료 처리 시간
① Seek Time : 입출력할 자료가 있는 트랙까지 헤드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② Search Time : 해당 트랙 상에서 원하는 자료가 위치한 섹테에 헤드가 이동하는데 걸 리는 시간
③ Transfer Time : 보조 기억 장치 내의 자료를 주기억 장치에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④ Access Time : Seek Time + Search Time
(3) 자기 드럼
컴퓨터 개발 초기에 사용되었으나 부피가 큰 반면 기억 용량이 작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추천자료
정보/지식의 역사, 인터넷의 역사
[독후감] 파이의 역사 (π의 역사) 서평
“역사왜곡과 우리의 역사교육”에 대한 감상
[실리콘밸리][실리콘밸리 역사][실리콘밸리 무어의 법칙][실리콘밸리 위기, 해법]실리콘밸리...
사회과(사회과교육) 목적,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육관과 정보화,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목적,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교육관,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과정...
음악과교육(음악교육)의 목적, 음악과교육(음악교육)의 현실과 지도내용, 음악과교육(음악교...
[독후감] “ 행복한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래밍 미학 오디세이] ” 를 읽고 나서..
[방송통신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고 최신동향
전자정부,참여정부,역사와로드맵,역사
[감가상각][감가수정][운휴자산][기업회계]감가상각의 개요, 감가상각의 의미, 감가상각의 내...
[산업경쟁력, 관광산업]산업경쟁력과 관광산업, 광고산업, 산업경쟁력과 방송산업, 벤처산업,...
[생산관계][생산][임금][물가]생산관계의 핵심내용, 생산관계의 임금과 물가, 생산관계의 조...
[공급 사슬 관리] 델 컴퓨터 (Dell Computer) (PC 산업, 델의 배경과 경영모델, 계약 생산, 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