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를 보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멘토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의 특징 및 해설
① 메멘토의 형식
② 장르
③ 영화 언어로서 <메멘토> 감상하기.

3. 영화의 분석
(1)영화 순서 그대로의 분석
(2) 시간상의 순서대로의 분석

4. 나오며

본문내용

래도 지미에게 써준게 아닐까?)를 보고 나탈리를 찾아 그녀의 술집으로 간 레너드와 차를 보고 나탈리는 '지미'라고 부르지만 그가 아닌 걸 확인하고는 모른 척한다. 이부분에서 레너드가 지미를 죽였다는 것을 나탈리가 알고 있는지도 불분명하다. 하지만 적어도 테디가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안 나탈리는 레너드를 도와 테디를 죽게 한다. 도드란 인물이 반드시 나와야하는지는 의문이다. 단지 지미의 죽음으로 나탈리가 도드로부터 돈과 마약에 대한 책임을 추궁당하고 있었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 나탈리가 레너드를 이용했다는 생각은 든다. 그래서 '그와 부인을 욕되게 말하고 레너드에게서 맞은 후, 10분 지나서 '도드'에게 맞았다고 거짓말을 한다. 여기에 분한 레너드는 나탈리를 위해 도드를 혼내 준다.
12) 테디는 레너드에 대해 일말의 동정심을 가지고 있어서 그의 복수를 도와주었으나, 나중에는 그의 복수심을 이용할 뿐이다. 그래서 레너드가 진짜 범인인 John G.를 찾아 복 수한 다음에는 레너드가 맘 편해지기를 바라고 있었으나, 레너드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자, 지미를 제거하기위해 레너드를 이용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레너드가 계속 다른 복수대상자 를 찾으려하자 테디는 일말의 안타까움에 레너드에 관한 진실을 얘기한다. '실제 범인 John G.를 찾아 복수를 했으며, 그 때의 행복한 너의 모습을 폴라로이드로 찍었다‘. 사실 새미 잰키스는 아내도 없는 전과자이며 그는 단기기억상실 증세를 겪은 적 없다. 단지 너의 증세를 새미에게 일어난 일로 니가 기억하려 하고 있을 뿐이다', '너의 아내는 니가 인슐린 과다 투약으로 죽였다' 등등의 진실을 말하며, 레너드가 이제 자신의 삶을 안정적으로 살기를 바란다.
13) 그러나 레너드에게는 복수이외에는 세상을 살아갈 목적이 없다. 따라서 지금 지미를 죽여 복수 아닌 복수를 했더라도 또 다른 John G.를 찾아 추적해 복수를 해야만 그의 삶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아무리 힘들어도 목표가 있어서 이루기 위해 험난한 길 을 찾는 것이 그의 이후의 인생이다. 그러므로 그의 복수는 끝날 수 가 없다.
14)레너드는 자신이 믿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테디를 거짓말쟁이라고 기억해버리기로 한다. 그리고 다음 복수 대상자로 레너드는 테디를 지목 하고 그의 차번호를 단서로 적고 문신을 새긴다.
15) 레너드는 기억은 안 나지만 존 G 의 차번호를 나탈리에게 부탁해 물어보고 나탈리는 테디가 경찰인 걸 알고 지미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 열심히 레너드에게 정보를 준다. 결국 레너드는 테디를 죽이기에 이른다. 문제의 첫 장면의 폴라로이드 사진이 바로 죽은 테디다.
4. 나오며
이 영화는 필름 느와르의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원조 필름 느와르의 주인공은 대부분 <말타의 매>의 제임스 스페이드와 같은 탐정이며, 간혹 <시민 케인>의 기자처럼 유사 탐정이었다. 아무도 믿지 않고 홀로 음모와 배신의 뒷골목을 누비며 그는 진실을 원하지만 진실을 기대하지 않으며, 요부에 매혹당하지만 끝내 그녀의 거미줄에 걸려들지 않고 결국 자신만의 공간으로 쓸쓸히 되돌아온다. 잡지 <씨네 21> 참고
레너드도 이 구도에 따라 탐정처럼 아내를 죽인 범인 존G를 찾아 떠돌아 다니고 나탈리라는 요부도 등장하여 레너드를 이용하려 한다. 여기까지는 필름 느와르의 구도를 그대로 따르지만 주인공 레너드는 정체성이 파괴된 인물로 영웅의 진정성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단기기억상실증으로 자신의 아내조차 죽인 것으로 추정되어 레너드의 복수마저도 진실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이 영화는 필름 느와르를 훌륭하게 계승하면서 보기 드문 창의성으로 가득한 신세기 필름 느와르라고 할 수 있다. 잡지 <씨네 21> 참고
이 영화의 주인공 레너드는 자신의 약점이라 할 수 있는 단기기억상실증으로 인해 자기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언제나 불안해하고 주위를 경계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그 속에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을 잊고 싶어하는 모습이 들어 있다. 레너드의 이러한 모습을 통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현대의 우리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이 <메멘토>라는 영화 한편을 통해서 지금까지 보지 못한 시간을 재구성한 독특한 구조로 몇 번을 봐도 새로운 단서들을 발견하게 하여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그리고 이 영화는 단기기억상실증에 걸린 레너드를 통해서 기억과 기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면서 우리에게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게 하였다.(*)

키워드

메멘토,   감상문,   영화,   시간,   분석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2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