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기의 역사외 용어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합기의 역사외 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방 접촉위에 이르는 접촉 전진운동인 절치점이 그리는 운동로이다.
앵글씨 분류
Angle, E , H (1899) 에 의해 발표된 부정교합의 분류법이다. 그는 상악 제 1 대구치의 근원심 위치는 바르다는 가설( 제1대구치위치 불변설)을 세우고, 그러므로 상악 치열궁은 근원심적으로 언제나 정상이라는 생각에서 상악치열궁을 기준으로 하여 하악치열궁의 상악에 대한 대항관계에서 부정교합을 분류하였다. 즉 제Ⅰ급, 제Ⅱ급, 제 Ⅲ급의 세가지로 분류하고 다시 제Ⅱ급을 1류와 2류로 분류했다, 이 분류법은 아주 간편하고 유용하여 요즘에서도 널리 이용된다. 한편 다음과 같은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①는 상악치열궁을 분류의 기초로 한것 ② 상악 제1 대구치의 위치를 불변이라 한것 ③ 상하치열궁의 근원심적 관계만을 중시한것 ④ 안면두개와의 관계를 무시한것 ⑤ 제Ⅰ급 에 속하는 부정교합의 수가 많은것
과로경사로 ( Condyiar guide inclination)
어느 수평기준면에 대해 과로가 이루는 각도이다.
수평기준면으로서 캠퍼평면이나 프랑크푸루트 평면이 이용된다. 시상면에 투영된 과로가 이 수평기준면과 이루는 각도를 시상과로 경사도라 한다 이 시상과로경사도는 전방운동에 있어서의 전방 시상과로경사도와 측방운동에 있어서의 측방시상과로 경사도가 잇고 일반적으로 전자보다 후자쪽이 평균 5도정도 경사도가 급하다. 이 차이를 피셔각이라 한다.
과로 (Condylar Path)
각종 하악운동에서 과두가 관절와 내를 이동하는 경로를 말한다. 과로는 3차원의 운동경로이기 때문에 통상, 시상면, 수평면,전두면 투영 으로 나타난다.
시상면 투영의 시상과로는 전방운동에 있어서의 시상전방과로와 측방운동에 있어서의 시상측방과로로 나눌수 있고 통상 후자쪽이 전자보다 급경사이고 이 차이를 피셔각이라 부르며 평균 5도이다.
수평면 투영의 수평과로는 수평 전방과로와 수평측방과로로 나눌수 있고 전자는 거의 직선을 나타내지만 후자는 작업측과 비작업측의 성상이 다르다 수평전방과로와 비작업측의 수평측방과로가 이루는 각도를 베네트각이라 부른다.
베네트운동 (Bennett Movement Laterotrusion)
하악의 측방운동시에 과두가 관절와의 외측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는것에 의해 일어나는 하악전체의 측방이동 또는 수평면에 있어서의 작업측 하악과두의 운동이다.
과두간거리 (inter condylar distance)
좌우의 하악정 혹은 교합기 과두구의 회전중심간거리 이 거리는 안궁을 이용하여 피부위에 구해지기 때문에 편측평균 12mm 를 빼서 과두점간 거리로 한다.
이 거리는 교합면 형태의 능선및 구의 위치와 방향에 영향을 준다.
과두간 거리가 커지면 커질수록 평행측 치아의 구의 위치는 하악치아에서는 점더 원심측이 되고 상악치아에서는 좀더 근심축으로 옮긴다.
윌슨의 만곡
전두면에 나타나는 하악의 교합만곡이다 좌우측 대구치의 협설교두를 연결할수있는 측방만곡이고 전두면에 투영해보면 아래쪽으로 볼록한 모양을 나타낸다. 이것은 상악은 협측으로 하악은 설측으로 치아가 기울어져 있는것에 따른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2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