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제 1 장 역사가와 사실
제 2 장 사회와 개인
제 3 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제 4 장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제 5 장 진보로서의 역사
제 6 장 넓어지는 지평선

결론 및 평가

본문내용

‘서구’가 아니 것이다. 이러한 상황 인식에서 카는 자신이 속한 사회, 곧 영국 그리고 나아가서는 ‘영어 사용권’ 내부로 눈을 돌려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보수와 진보’의 대립 구도를 통해 성찰하고 있다. 여기서 카는 보수주의가 만연하고 있는 현실을 개탄하고 진보적인 자세와 자신감의 회복을 적극 부추긴다. 인간 역사의 진보는 기존 제도에 이성의 이름으로 과감히 도전할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고, 그 같은 용기를 되찾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념에서 낙관 주의자 카는 영국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역사란 무엇인가』도서출판 청년사, pp 203
인간 이성의 확대를 역사의 진보로 보는 카의 입장에 대한 나의 의견을 5장을 통해서 언급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결론 및 평가
한 사람이 무엇에 대해서 한 권의 책을 쓴다고 하면 적어도 몇 개월, 많으면 몇 년이 걸리다. 그의 성장 과정도 글을 쓰기 위한 前 기간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렇다고 했을 때 한 권의 책을 읽고 그 책에 대한 Report를 제출하는 기간으로 1주일은 너무도 짧다고 본다.
1년이라는 시간이 주어진다고 해도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 없는 나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시간이라는 부차적인 문제와 함께 이 Report의 부실함을 변명하고자 한다.
책에 나온 단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그 장의 밑단에 언급했고, 내가 생각하는 전반적인 역사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서술함으로써 이 두서없는 Report를 정리하고자 한다.
대학을 들어와서(88년에서 91년까지) 일정한 시간까지는 하부 토대에 의한 사회의 규정, 즉 경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보는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다.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끊임없는 대립과 통일의 과정, 모순의 모순의 법칙이 지배되는 역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자연과학에서 사회과학의 ‘변증법’에 대견해 볼 수 있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불확실성에 무너지는 것을 공부하면서, 그렇게 옳다고 생각했던 미래에 대한 확신이 동구 사회주의 사회와 소련 사회의 붕괴 속에 같이 무너져 가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의 명확했던 사고는 순식간에 혼란에 빠져 버리고 말았다. 마르크스의 진정한 의미는 휴머니즘에 있다고, 소련 사회(사회주의가 아니라 사회라는 실체)가 이념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다고 아무리 얘기해도 마음의 암울함을 지울 수는 없었다.
지금도 그 연장에서 무엇하나 제대로 된 가치판단의 기준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래도 죽어라고 하나 붙들고 있는 마지막 가닥은 인간, 인간의 자주성(인간이 자연과 사회등 주위의 모든 것으로부터 스스로의 주인 됨을 높여 나가려는 목적의식성과 그 실천)이다. 카가 막연하게 얘기했던 역사 발전의 원동으로의 ‘이성’을 나는 ‘자주성’이란 단어로 대체하고 싶다. 더 쉬운 말로 풀이하자면 개인과 공동체로서의 사회가 공동으로 자아를 실현해 왔고, 실현해 나갈 것이라는 생각이다. 인간의 자주성이 높아져 감이 내가 생각하는 진보고, 발전이고, 역사라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2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