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매일 신보 사장, 배설(裴說) 그는 누구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 매일 신보 사장, 배설(裴說) 그는 누구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한 매일 신보의 연구에 대한 중요성

2. 베델(裵說 : 1872~1909)

3. 대한 매일 신보의 발행과 배설의 발행동기
3-1.고종의 지원이 창간 초부터 이뤄지지 않고 다소 지체됐던 이유
3-2. 배설의 신보발행의 배경

4. 배설의 대한매일신보의 영향력

본문내용

설이 나가모리의 황무지 개간권을 비난하자 하기와라는 배설에게 압력을 가했고, 배설은 이에 반발하여 일본을 더욱 비난하기 시작했다.
4. 배설의 대한매일신보의 영향력
배설이 한글판 대한매일신보와 영문판 Korean Daily News를 창간한 것은 1904년 7월 18일이었다. 이 신문 발간으로 인해 장차 한, 영, 일 세나라의 외교관계에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가 일어났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신문이 한일 양국에 다같이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의 민족주의 운동을 지원하고 일본의 대한치정을 반대함으로써 일본의 한국침략에 큰 장애요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신보의 영향력은 두가지 측면을 지니고 있다.
1) 일본의 한국 침략정책과 이에 맞선 한국민의 저항을 대외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일본에 대한 국제 여론을 불리하게 한다는 측면이 있었다.
2)이 신문이 한국 안에서 항일 민족운동을 크게 고취했다는 사실이었다. 첫 번째 문제는 대개 영문판 Korean Daily News의 영향력이었고 두 번째 문제는 주로 국한문판과 한글판 신보의 항일논조 때문이었다.
참고자료: <대한매일신보와 배설>
지은이: 정진석
출판사: 나남
출판일: 1987년 8월 25일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1.28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