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소에너지
2. 연료전지
3. 핵융합
4. 폐기물 발전
2. 연료전지
3. 핵융합
4. 폐기물 발전
본문내용
기 안의 플라스틱 함유량에 제한 없음.
- 회전식 소각로(회전소각로+스토커소각로) : 회전 소각로는 주로 쓰레기 건조와 연소. 스 토커 소각로는 후연소로 쓰레기 완전소각. 플라스틱 함유량 높아도 연소 가능해 안정적.
2. 폐기물 발전 시스템의 종류
- 쓰레기 소각열만 이용하는 방식(고효율 발전방식)
고압 보일러 방식
고효율 발전방식
- 쓰레기 소각열과 다름. 화석연료를 결합한 방식(슈퍼쓰레기발전방식)
가스터빈 병설방식
- 쓰레기의 고형연료화에 의한 방식(RDF발전 방식)
→ 쓰레기를 고형 연료화. 쓰레기의 질과 양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된 폐기물 발전가능.
3. 폐기물 발전의 미래 과제
- 공급연료의 고 효율화 - 양질로 구분된 폐기물 확보
- 폐기물 연료의 고형화 - RDF의 광역화
- 시스템 측의 고효율화 - 발전 효율 향상.
- 환경 문제 해결책 - 배연 처리 대책 : 산성가스. 매연. 다이옥신 대책.
- 잔재처리 대책 : 용융고화. 시멘트화. 약제 첨가 대책.
4. 미래과제에 관한 기술개발 동향
발전효율 향상. 배연 처리대책 고도화. 재처리 대책의 고도화. 신형 폐기물 발전방식의 개발.
5. 관련용어
가스와 용융발전 : 가스와 용융발전시스템은 쓰레기를 열분해로 가스화하고 미연소분(재 함유분), 금속분을 분리하며 재 성분은 고온 하에서 고화물(슬래그)화 함. 고온연소에 의한 다이옥신 감소, 재용융까지 포함해 고효율 발전을 실현하는 시스템으로 기대.
카리너 사이클 : 물대신 암모니아수를 열매체로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암모니아수는 물보 다 비점이 낮아 효율적으로 소각로의 폐열을 증기로 변경하여 터빈을 기 동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높아짐. 그러나 암모니아에는 독성이 있어 배 관에서 누설된 경우에는 시설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노력.
버그필터 : 매연제거에 사용되는 여과식 집진기. 원통형 여과헝겁을 여러 개 겹쳐 가스를 여과하고 먼지 입자를 포집. 그 포집효율이 뛰어나 서브 스브미크론 입자(1 []이하)의 입자까지 포집 가능.
용융고화법 : 소각재 처리방법 중 하나로 소각재를 고온가열 처리하고 용융하여 고화물 (슬래그)로 만들고 안정된 유리질로 해서 중금속 용출을 방지. 슬래그는 토 목, 건축재료로의 재이용이 기대. 전기가열방식은 이미 이용.
시멘트 고화법 : 고화의 원리는 시멘트의 강알칼리성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불용출화, 시 멘트 광물의 표면에서 중금속 이온의 흡착, 시멘트겔에 의한 봉입작용에 기초. 비교적 간단한 설비이고 운전비용이 저렴하므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처리법.
약제 첨가법 : 매연을 중금속 고정기능하는 약제, 예를 들어 액체 키레이트, 유화물, 철 이온과 믹싱하여 중금속을 불용화 하는 방법. 처리장치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도 비교적 용이하지만 약제 종류에 따라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러닝비용 감소가 요구.
TEQ(독성등기량) : 환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다이옥신류가 존재하며 종류에 따라 독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환경영향을 판정할때는 실측농도에 독성강도의 계수를 곱해 사염화 다이옥신 양으로 계산해 수치화.
- 회전식 소각로(회전소각로+스토커소각로) : 회전 소각로는 주로 쓰레기 건조와 연소. 스 토커 소각로는 후연소로 쓰레기 완전소각. 플라스틱 함유량 높아도 연소 가능해 안정적.
2. 폐기물 발전 시스템의 종류
- 쓰레기 소각열만 이용하는 방식(고효율 발전방식)
고압 보일러 방식
고효율 발전방식
- 쓰레기 소각열과 다름. 화석연료를 결합한 방식(슈퍼쓰레기발전방식)
가스터빈 병설방식
- 쓰레기의 고형연료화에 의한 방식(RDF발전 방식)
→ 쓰레기를 고형 연료화. 쓰레기의 질과 양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된 폐기물 발전가능.
3. 폐기물 발전의 미래 과제
- 공급연료의 고 효율화 - 양질로 구분된 폐기물 확보
- 폐기물 연료의 고형화 - RDF의 광역화
- 시스템 측의 고효율화 - 발전 효율 향상.
- 환경 문제 해결책 - 배연 처리 대책 : 산성가스. 매연. 다이옥신 대책.
- 잔재처리 대책 : 용융고화. 시멘트화. 약제 첨가 대책.
4. 미래과제에 관한 기술개발 동향
발전효율 향상. 배연 처리대책 고도화. 재처리 대책의 고도화. 신형 폐기물 발전방식의 개발.
5. 관련용어
가스와 용융발전 : 가스와 용융발전시스템은 쓰레기를 열분해로 가스화하고 미연소분(재 함유분), 금속분을 분리하며 재 성분은 고온 하에서 고화물(슬래그)화 함. 고온연소에 의한 다이옥신 감소, 재용융까지 포함해 고효율 발전을 실현하는 시스템으로 기대.
카리너 사이클 : 물대신 암모니아수를 열매체로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암모니아수는 물보 다 비점이 낮아 효율적으로 소각로의 폐열을 증기로 변경하여 터빈을 기 동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높아짐. 그러나 암모니아에는 독성이 있어 배 관에서 누설된 경우에는 시설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노력.
버그필터 : 매연제거에 사용되는 여과식 집진기. 원통형 여과헝겁을 여러 개 겹쳐 가스를 여과하고 먼지 입자를 포집. 그 포집효율이 뛰어나 서브 스브미크론 입자(1 []이하)의 입자까지 포집 가능.
용융고화법 : 소각재 처리방법 중 하나로 소각재를 고온가열 처리하고 용융하여 고화물 (슬래그)로 만들고 안정된 유리질로 해서 중금속 용출을 방지. 슬래그는 토 목, 건축재료로의 재이용이 기대. 전기가열방식은 이미 이용.
시멘트 고화법 : 고화의 원리는 시멘트의 강알칼리성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불용출화, 시 멘트 광물의 표면에서 중금속 이온의 흡착, 시멘트겔에 의한 봉입작용에 기초. 비교적 간단한 설비이고 운전비용이 저렴하므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처리법.
약제 첨가법 : 매연을 중금속 고정기능하는 약제, 예를 들어 액체 키레이트, 유화물, 철 이온과 믹싱하여 중금속을 불용화 하는 방법. 처리장치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도 비교적 용이하지만 약제 종류에 따라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러닝비용 감소가 요구.
TEQ(독성등기량) : 환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다이옥신류가 존재하며 종류에 따라 독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환경영향을 판정할때는 실측농도에 독성강도의 계수를 곱해 사염화 다이옥신 양으로 계산해 수치화.
추천자료
[원자력][원자력발전][원자로][원자력발전소][원자력에너지]원자력, 원자력발전, 원자로, 원...
[에너지][에너지수급][에너지절약 사례][에너지절약정책]에너지의 개념, 국내 에너지수급 동...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절약][에너지][에너지절약방안]에너지의 정의, 에너지절약교육의 목...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절약교육의 운영범위와 목표, 에너지절약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에너...
[재활용자원 에너지절약][전기제품 에너지절약][난방용품 에너지절약][일상생활 물에너지절약...
[친환경발전][친환경에너지][에너지][대체에너지][발전][원자력발전][풍력발전][해양에너지발...
[에너지절약]에너지절약교육의 목적, 에너지절약교육의 중요성, 에너지절약교육의 원리, 에너...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절약교육의 필요성, 에너지절약교육의 원리와 에너지절약교육의 교수...
[에너지절약][에너지][에너지위기]에너지절약의 개념, 에너지절약의 목표, 에너지절약의 필요...
기후변화와 에너지문제, 기후변화정의, 기후변화에따른문제점, 해결방안, 대체에너지, 대체에...
[에너지흐름][생명체][생물권][생태계][먹이그물][먹이사슬][에너지][에너지대안]에너지흐름...
[에너지기술개발, 절약정책, 기후변화협약]에너지기술개발과 절약정책, 에너지기술개발과 기...
에너지안보 에너지패권에 따른 우리나라의 에너지 현황 수급과 전망
[물리학 실험] 역학적 에너지 보존 : 탄성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이해하고 더불어 실험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