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사례 보고서 -정신분열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사례 보고서 -정신분열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함.
A: 잘못된 영적 믿음으로 인한 치료계획의 불이행
P; 불이행의 원인에 대해 환자와 자세히 이야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지지해 준다.
I: 약물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와 30분 정도 이야기를 하고, 영적 믿음과는 다른 종류를 치료임을 인식시켜 주었음
E: 자신이 약물 치료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잘 말씀하시고, 설명에 대해서도 잘 들으셨으나 별다른 반응은 없었음
4월 9일
S: “약물복용후 눈이 안보이고 졸여”
O: 약물 복용후의 부작용으로 인한 불편감 때문에 약물을 먹지 않음을 표현하심
A: 약물복용의 부작용으로 인한 불이행
P; 약물 부작용은 치료과정임을 설명하고, 이는 일시적인 것임을 인식시켜 준다.
I: 환자와 함께 약물 복용 후에 나타나는 부작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가장 견디기 힘든 것과 견딜만한 것에 대해 얘기한 후에 이는 일시적인 과정임을 설명해주고 약물 부작용에 대해서 견디기 힘든 것에 대해서는 의사 선생님과 상의 할 것을 설명해주었음
E: 얘기하는 시간동안에는 협조적 이였음.
평가
(2). 간호진단
P: 사회적 고립
E: 상호관계를 유지하는 기술부족
수면과다
흥미결여
S: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결여,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활동할 의사가 없음을 말로 표현,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지 않음, 혼자서 식사하심
간호 목표
(장기목표)
환자는 4월 14일까지 병동의 집단활동에서 자발적으로 다른 환자들과 함께 여러 활동에 참여할 것이다.
간호목표
간호계획
1. 환자는 4월 7일까지 환자가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원인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2. 환자는 4월 11일까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기 위한 계획을 간호 학생과 함께 세울 수 있다.
3. 환자는 4월 14일까지 병동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시간이 지금보다 증가될 것이다.
(4/6) 신뢰형성을 위해 계속해서 환자와 상호작용을 한다.
(4/7) 환자가 혼자 생활하기를 원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을 한다.
(4/7) 환자의 대답에 대해 경청을 하며, 그에 대해 옳게 이해했는지에 대해 그 이유에 대해 다시 한번 이야기 해준다.
(4/7) 환자가 사회적으로 고립하는 이유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4/10) 환자가 흥미 있어 하는 일이 무엇이며, 관심 있는 것은 무엇인지, 하기 싫은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한다.
(4/10) 병원 생활에 대한 환자의 일과를 환자에게 써 보도록 하여, 자신이 하루동안에 무엇을 하며, 지내는 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한다.
(4/11) 환자가 적은 하루 일과표과 환자가 흥미 있어하는 일을 근거로 하여 환자가 참여할 수 있는 시간에 맞게 여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4/9) 사회적 고립을 피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9) 환자가 매 식사시간에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9) 환자가 하루에 1-2시간정도 TV시청을 하기 위해 병실에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4/13)환자가 저녁 집단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13) 성공적인 참여 후에 환자의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여, 긍적적인 생각은 강화시켜주고 부정적인 생각에 대해서는 환자와 함께 보완하도록 노력한다.
(4/14) 계속해서 대인 관계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
4월 6일
S: “ 너무 졸려요. 나중에 할께요.”
O: 집단활동에 참여함을 거부하심, 다른 사람과 즐기려 하지 않고 침대에 누워버림, 관심이 없음
A: 수면과다와 흥미부족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P; 집단모임을 갖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사정한다.
I: 환자와 함께 20분 정도 이야기를 하고 다른 사람과 어울림에 중요성에 대해 얘기해줌
E; 지속적으로 오는 졸음과 나른함으로 인해 다른 사람과 함께 하기를 거부하며, 지속적으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 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임
성경책과 찬송 부르는 것 외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으며, 붓글씨 쓰기를 원하나 이를 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포기하심.
4월 9일
S: " 자야 되는데 나가서 노래 불었네.. 왜 노래 안했어“
O: 저녁 노래방 시간에 밖으로 나와 노래를 2곡 부르심. 얼굴 표정이 밝으셨으며, 마지막 환자가 노래부르자 자려 들어가심. 재미있었냐는 질문에 자야 되는데 나갔다고 웃으면서 말씀하심. 자는 것 보다 낫느냐는 물음에 그냥 웃으심
A; 대인 관계 수립에 관한 기술 부족과 흥미있는 일의 부족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P; 지속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지해 주며, 성공적인 참여시 긍정적인 강화를 수행해준다.
I: 노래방 참여 후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다음에도 참여 할 것을 약속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준다.
E: 노래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집단활동 후에도 밝은 표정을 지으셨음
다음 집단 활동시간에도 참여할 것을 말로 표현하심
4월 10일
S: ‘ 밥 먹고, 자고, 또 먹고 ... 그러지 뭐
O: 병원생활에 대해 많은 흥미가 없으시며, 퇴원하기를 원함.
A: 대인 관계 수립에 관한 기술 부족과 흥미 있는 일의 부족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P: 환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이에 맞게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시간을 분배해 준다.
I: 환자와 30분 정도 환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이에 대해 함께 얘기하는 시간을 가짐
환자가 다른 사람과 함께 상호 작용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음
E: 귀찮아 하시고 약간 비협조적 이였으나 끝까지 함께 해 주셨음. 자신에게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불편해 하시는 모습 이였으나 하루에 성경책이나 찬송가를 너무 많이 본다고 생각하셨는지 그것에 대해 많이 줄었다고 변명처럼 말씀하심
평가
그밖에 내릴수 있는 진단
P; 변비
E; 오랜 시간동안의 침상생활
수분섭취부족
운동부족
약물 부작용
S; 5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하심, 배의 더부룩함
P; 비효과적인 가족 대처 가능성
E; 지속적인 재발, 미혼, 나이 많은 부모님과 동거, 가치관의 갈등, 아버지에 대한 원망/증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1.3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