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상하부
<유리호르몬 releasing hormone>
<억제호르몬 inhibitory hormone>
2.뇌하수체
Ⅰ뇌하수체전엽(선 하수체) 호르몬
Ⅱ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3.부신
4.갑상선
1)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
2)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
3) 갑상선 기능 저하(hypothyroidism)
4) 갑상선 기능 항진(hyperthyroidism)
5) thyrocalcitonin
5.부갑상선
6.췌장
1. 인슐린
2. 글루카곤
3. Somatostatin
<유리호르몬 releasing hormone>
<억제호르몬 inhibitory hormone>
2.뇌하수체
Ⅰ뇌하수체전엽(선 하수체) 호르몬
Ⅱ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3.부신
4.갑상선
1)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
2)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
3) 갑상선 기능 저하(hypothyroidism)
4) 갑상선 기능 항진(hyperthyroidism)
5) thyrocalcitonin
5.부갑상선
6.췌장
1. 인슐린
2. 글루카곤
3. Somatostatin
본문내용
32개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다. 이 호르몬은 골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파골세포를 억제함으로써 혈중 칼슘이 뼈속으로 들어가게 해준다. 칼슘이 풍부한 식사를 한 후 이 호르몬은 즉시 활성화된다. 즉 매우 빠른 반응을 보여준다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 갑상선 뒷면에 한 쌍씩 모두 4개의 쌀알 크기의 기관
- parathormone 분비 : 혈장 중 칼슘 농도 높이는 작용, 정상치 12mg/100ml 유지
- 부족시 : 혈중 칼슘농도 감소. 정상치의 1/2에 이르면 근육 경련 발생 - 부갑상선성 테타니(tetany)
- 과잉시 : 뼈 속의 칼슘이 혈장 내로 동원. 혈장내 칼슘 농도 이상 증가. 뼈 연화되어 골절 쉬워짐
- 체내 칼슘이온의 역할 : 뼈의 견고한 부분 형성, 혈액응고, 세포막의 투과성, 근신경조직의 흥분 등에 관여
췌장
1. 인슐린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혈당이 증가하면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감소시킨다.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포도당의 세포내 유입을 돕는다.
-간에서 포도당을 단기간적인 저장 분자인 글리코겐으로 전환시킨다.(정상적으로 식사에 포 함된 60%의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저장된다.)
-아미노산의 세포내 이동을 촉진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글리코겐과 지방의 물질대사적인 분해를 억제한다.
-세포에 의한 아미노산 흡수와 단백질 합성율을 증가시킨다.
2. 글루카곤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α-세포에서 합성되고 분비된다.
-혈당농도가 감소되었을 때 분비 증가된다. 간세포는 글루카곤에 대한 반응력이 인슐린보다 크므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동시에 분비되는 경우에는 간세포에서 포도당이 유리되어 나 오고 이는 인슐린에 의해 골격 세포 내로 들어가게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단백질 또는 지방만을 섭취했을 때 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해 분비된다.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혈당농도를 증가시키며 당분해를 촉진하여 포도당 신생을 증가시킨다.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증가시키고 지방산으로부터 케톤산이 생성된 다.
3. Somatostatin
-성장호르몬 분비 억제호르몬
-Somatostatin의 분비는 모든형태의 영양물질의 섭취와 몇 개의 위장관 호르몬, 글루카곤, β-adrenergic agonist에 의해 자극받는다.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한다.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를 억제하여 갑작스런 저혈당을 예방한다.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 갑상선 뒷면에 한 쌍씩 모두 4개의 쌀알 크기의 기관
- parathormone 분비 : 혈장 중 칼슘 농도 높이는 작용, 정상치 12mg/100ml 유지
- 부족시 : 혈중 칼슘농도 감소. 정상치의 1/2에 이르면 근육 경련 발생 - 부갑상선성 테타니(tetany)
- 과잉시 : 뼈 속의 칼슘이 혈장 내로 동원. 혈장내 칼슘 농도 이상 증가. 뼈 연화되어 골절 쉬워짐
- 체내 칼슘이온의 역할 : 뼈의 견고한 부분 형성, 혈액응고, 세포막의 투과성, 근신경조직의 흥분 등에 관여
췌장
1. 인슐린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혈당이 증가하면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감소시킨다.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포도당의 세포내 유입을 돕는다.
-간에서 포도당을 단기간적인 저장 분자인 글리코겐으로 전환시킨다.(정상적으로 식사에 포 함된 60%의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저장된다.)
-아미노산의 세포내 이동을 촉진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글리코겐과 지방의 물질대사적인 분해를 억제한다.
-세포에 의한 아미노산 흡수와 단백질 합성율을 증가시킨다.
2. 글루카곤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α-세포에서 합성되고 분비된다.
-혈당농도가 감소되었을 때 분비 증가된다. 간세포는 글루카곤에 대한 반응력이 인슐린보다 크므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동시에 분비되는 경우에는 간세포에서 포도당이 유리되어 나 오고 이는 인슐린에 의해 골격 세포 내로 들어가게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단백질 또는 지방만을 섭취했을 때 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해 분비된다.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혈당농도를 증가시키며 당분해를 촉진하여 포도당 신생을 증가시킨다.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증가시키고 지방산으로부터 케톤산이 생성된 다.
3. Somatostatin
-성장호르몬 분비 억제호르몬
-Somatostatin의 분비는 모든형태의 영양물질의 섭취와 몇 개의 위장관 호르몬, 글루카곤, β-adrenergic agonist에 의해 자극받는다.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한다.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를 억제하여 갑작스런 저혈당을 예방한다.
추천자료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의 특징과 전세계현황 그리고 그 대책
[환경 호르몬] 환경호르몬의 피해와 대처방안
죽음의 덫 ‘환경 호르몬’
환경호르몬 피해상황과 그에대한 대책(A+레포트)
뇌하수체의 기능 및 분비 호르몬
[자연과학]환경호르몬에 관한 자료
`교수님! 환경호르몬이 뭔가요` - 식생활 환경호르몬의 피해와 대책.
[호르몬][호르몬 정의][호르몬 특성][호르몬 기능][호르몬 종류][호르몬 역할][호르몬 작용]...
[환경호르몬]환경호르몬 피해의 원인과 발생배경,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유발 물질과 종류 및 ...
성의 생물학 - 남성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에 대하여
[식품영양학] 환경 호르몬에 대해서 (환경 호르몬의 정의, 환경 호르몬의 종류, 환경 호르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