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화와 교육에 관한
개념 및 관계
Ⅲ. 문화와 교육의 갈등적 구조
1. 자원인구담론
2. 국가발전담론
3. 기능주의담론
Ⅳ. 문화와 교육의 갈등구조를 넘어
Ⅱ. 문화와 교육에 관한
개념 및 관계
Ⅲ. 문화와 교육의 갈등적 구조
1. 자원인구담론
2. 국가발전담론
3. 기능주의담론
Ⅳ. 문화와 교육의 갈등구조를 넘어
본문내용
일, 많이 배웠는데도 출세와 실패를 겪는다면 그동안 자신이 겪은 교육적 행위 일체는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것인가? 기능적 쓰임과 그 결과에 흔들리지 않는 교육 본래의 가치와 의미가 우리 의식을 지배하는 담론의 양산과 자리 잡음이 필요하다 하겠다.
지금까지 정리해본 자원인구담론과 국가발전담론, 그리고 기능주의담론은 한국사회에 ‘교육다운 교육’을 가로막는 중대한 장애요인임은 틀림이 없다. 교육이 교육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려면, 교육이라는 수단을 통해 유능한 인력을 양성하고, 국가를 발전시키고 입신양명과 출세라는 결과를 낳는 방식의 해법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며 교육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를 찾고 그러한 본래의 교육적 의미가 사회전반에 큰 의식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이미 사회전반에 걸쳐 부지불식간에 퍼져있는 교육의 기능적 쓰임, 교육의 효용성을 따지는 논리 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이 먼저 나서야 한다고 본다. 교육환경에 관련된 모든 이들이 노력을 경주한다면 점차적으로 사회에 만연한 왜곡된 교육의 의미를 다시 회복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올바르게 인식된 교육의 개념과 의미는 교육관련 문화의식은 물론 사회정신을 이롭게 하는 햇볕과 같은 역할을 하리라 본다.
물론, 교육과 관련한 환경에 소속된 사람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실천적 노력을 경주해야하는 가는 이 글에서 논할 수 없는 광범위한 논제 거리가 될 것이다. 본 글은 한국 사회의 정신적 문화(의식)를 새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도 교육이요, 현재에 안주해 문화가 교육에 미치는 갈등양상에 무관심하며 지내는 것도 교육 주체란 점을 각인시키며 마무리할까 한다.
그러나 교육 전반의 풍토가 혁신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올바른 담론과 정신문화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며 ‘코페르니쿠스적 교육 인식의 전환’을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R. S. Peters. 이홍우역(1980). 윤리학과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곽준식, 김순자(1993). 교육의 개념분석에 근거한 R. S. Peters의 교양교육. 진주산업대논문집.
백완기 외(1996). 문화와 국가경쟁력. 서울 : 박영사.
양건열 외(1998). 창의적 문화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제안. 서울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정영근(1998). 홈볼트의 교육의 개념-인격도야로서의 교육-. 연세교육연구 11권 1호.
조용환(1993). 성차별주의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과정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32집.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조용환(1994). 교육시장 개방의 문제와 대책. 교육연구 3.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조용환(1997). 사회화와 교육 :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 교육과학사.
조용환(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4(2).
조용환, 윤여각, 이혁규(2006).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하병학(2006). 탐구와 소통의 “논술”. 철학과 현실 2006 가을 70호.
한국청소년연구원(1992), 전통문화활동.
지금까지 정리해본 자원인구담론과 국가발전담론, 그리고 기능주의담론은 한국사회에 ‘교육다운 교육’을 가로막는 중대한 장애요인임은 틀림이 없다. 교육이 교육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려면, 교육이라는 수단을 통해 유능한 인력을 양성하고, 국가를 발전시키고 입신양명과 출세라는 결과를 낳는 방식의 해법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며 교육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를 찾고 그러한 본래의 교육적 의미가 사회전반에 큰 의식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이미 사회전반에 걸쳐 부지불식간에 퍼져있는 교육의 기능적 쓰임, 교육의 효용성을 따지는 논리 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이 먼저 나서야 한다고 본다. 교육환경에 관련된 모든 이들이 노력을 경주한다면 점차적으로 사회에 만연한 왜곡된 교육의 의미를 다시 회복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올바르게 인식된 교육의 개념과 의미는 교육관련 문화의식은 물론 사회정신을 이롭게 하는 햇볕과 같은 역할을 하리라 본다.
물론, 교육과 관련한 환경에 소속된 사람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실천적 노력을 경주해야하는 가는 이 글에서 논할 수 없는 광범위한 논제 거리가 될 것이다. 본 글은 한국 사회의 정신적 문화(의식)를 새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도 교육이요, 현재에 안주해 문화가 교육에 미치는 갈등양상에 무관심하며 지내는 것도 교육 주체란 점을 각인시키며 마무리할까 한다.
그러나 교육 전반의 풍토가 혁신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올바른 담론과 정신문화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며 ‘코페르니쿠스적 교육 인식의 전환’을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R. S. Peters. 이홍우역(1980). 윤리학과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곽준식, 김순자(1993). 교육의 개념분석에 근거한 R. S. Peters의 교양교육. 진주산업대논문집.
백완기 외(1996). 문화와 국가경쟁력. 서울 : 박영사.
양건열 외(1998). 창의적 문화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제안. 서울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정영근(1998). 홈볼트의 교육의 개념-인격도야로서의 교육-. 연세교육연구 11권 1호.
조용환(1993). 성차별주의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과정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32집.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조용환(1994). 교육시장 개방의 문제와 대책. 교육연구 3.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조용환(1997). 사회화와 교육 :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 교육과학사.
조용환(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4(2).
조용환, 윤여각, 이혁규(2006).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하병학(2006). 탐구와 소통의 “논술”. 철학과 현실 2006 가을 70호.
한국청소년연구원(1992), 전통문화활동.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생활교육]8장 부모교육과 부모자녀관계교육
[한중일]한중일(한국중국일본) 평화관계, 국제관계, 한중일(한국중국일본) 국제교류, 수입흐...
[교육행정및경영 4공통] 교육행정학 이론인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등의...
<평생교육 관련법규의 이해> 법규의 위계관계와 법 적용원칙, 평생교육관련 법규의 다양성과 ...
[부모교육] 교류분석이론 - 교류분석이론 학습을 통한 부모 교육 내용의 효율성 기여 (대인교...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인조놀이터 문화의 이론적 배경(대량관광, 종속관계) 및 인조놀이터...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교육행정및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
청소년육성제도론 2016] 1) 학교교육정책과 청소년육성정책의 특징 비교 2) 주요 청소년육성 ...
[평생교육] 인간과 교육 및 사회의 개념과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서의 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
[2017 2학기 교육행정및경영] 대표적인 교육행정학인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교육행정및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방통대 교육학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