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불소화 논쟁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① 연구주제 선정이유
② 수돗물 불소화 정의

Ⅱ. 찬성의견
① 신체적 측면
1. 충치예방의 효과
2. 불소는 유해성이 없다.
② 사회적 측면
1. 치료비 감소
2. 수돗물 불소화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보건 복지 사업이다.
③ 환경적 측면
1. 불소는 수질오염원이 아니다
2. 수돗물 불소화는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Ⅲ. 반대의견
① 신체적 측면
1. 불소는 독극물이다.
2. 불소는 필수 영양물질이 아니다.
3. 불소는 체내 잔류한다.
4. 충치예방 효과가 미미하다.
② 사회적 측면
1. 수돗물불소화 사업은 비민주적인 행위이다.
2. 수돗물 불소화는 기업의 이득을 위해 시작되었다.
③ 환경적 측면
1. 불소는 환경을 오염시킨다.

Ⅳ. 결론

본문내용

구가 마련되었다. 수돗물 불소화에 이용되는 불소화합폐기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는 불화나트륨과 불화규산이 있다. 불화나트륨은 알루미늄 공장에서 배출되는 분말형태이며, 불화규산은 인산비료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액상형태이다. 특히 불화규산은 각종 중금속이 비록 소량이기는 하지만 검출되는 등 문제가 많다.
1939년 미국에서 수돗물 불소화의 첫 공식적 제안이 이루어졌는데 그 제안자는 의사가 아닌 불소로 인해 손해배상청구 소송 위협에 처한 알루미늄 기업, 알코아(ALCOA)회사 소속 변호사였다. 이후 미국에서 불소화를 대량 배출하는 몇몇 대기업들은 이로 인해 연간 수백억 달러의 이득을 보고 있다고 한다.
③ 환경적 측면
1. 불소는 환경을 오염시킨다.
불소 투입으로 인한 효과는, 실제 상수도 중에서 약 1% 정도만 음용수로 마시고 그 중 효과를 본다고 하는(찬성자들의 입장에서)13세 이하의 인구비율(25%), 예방효과 50%(역시 찬성자들의 주장)를 감안하면 실제 효율은 0.125%정도이다. 즉, 나머지 99.8%의 물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불소화로 오염된 물이 식물들에게 뿌려 지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될까? 불소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식물에게 불소가 함유된 물을 뿌린다면 불소는 직접적으로 식물 속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정상적 불소수준은 1-15ppm이지만, 차(茶)와 같이 불소수준이 최고 400ppm에 달하는 식물도 있다. 식물에 들어있는 34개 효소는 불소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불소가 과량함유 된 식물을 동물이 먹는다면, 그것은 그 동물에게도 역시 치명적일 것이다. 또한 식물에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불소는 초식동물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동물에 의해 섭취된 불소는 약 50%가 신장에서 원뇨로 배출되며, 잔존하는 50% 중 거의 모두가 골 조직으로 흡수된다. 30ppm이 축적되면, 동물의 뼈에 이상이 생길 것이며, 만약 암소가 불소를 섭취한다면 그것은 우유로 가지 않고 보통 골 조직에 남게 된다. 즉, 섭취된 불소의 오직 극미한 양만이 연조직으로 들어간다는 말이다.
Ⅳ. 결론
수돗물 불소화 사업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해 다방면(신체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으로 접근해 보았다. 어느 경우에나 동전의 앞면처럼 빛과 그늘이 존재한다. 특히 수돗물 불소화 사업과 같이 개인적으로, 더 나아가 국가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일에는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 조는 수돗물 불소화 사업에 대해 한쪽 입장에 치우치는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하여, 최대한의 조사원을 이용하였다. 신문, 논문, 도서, Web Site 등 여러 조사원을 이용하여 불소화 사업에 대한 양면성을 모두 비교, 고찰하였고 그 결과로 이 Report가 나올 수 있었다. 여기서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찬성하거나 반대한다는 입장은 밝힐 수 없거니와, 우리의 주장을 말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판단하여 수돗물 불소화 사업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생략하겠다.
Ⅴ. 참고문헌
김갑수. 2004. "수돗물 불소화 사업 찬반논쟁에 따른 고찰". 서울도시연구, 5(1)
김갑수, 최광수. 1999. "수돗물 불소화에 대한 조사연구보고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종배, 최유진. 2004. 구강보건학. 재재개정판. 서울시: 고문사
김종철. 1999. “지상토론2-수돗물 불소화는 20세기 최대의 속임수”. 환경과 생명. 통권 19호 봄호: 98-111
김종철. 1998. “서울시 수돗물 불소화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서울시 수돗물 불소화에 관한 공청회, 1998년 11월 27일, 서울. 167-168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04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