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와 환경공해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전자파공해

Ⅱ. 전자파의 이해와 안전성에 대한 연구동향
1. 전자파 유해론과 인체보호기준
2. 방사선계 선량측정 및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SAR 분석의 예
3. 전자파의 개념
4. 전자파의 정의와 종류
5. 전자파의 안정성
가. 전자파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제기
나.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영향
다. 전자파 인체 유해여부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6. 국가별 연구동향 및 주요결과

Ⅲ. 휴대폰 전자파 논란의 대두
1. 휴대폰 전자파의 신체 유해성
1) 이동전화기 과연 뇌종양을 유발하는가
2) 휴대폰, 두통등 부작용 유발<스웨덴>
3) 휴대폰전자파 동물실험 결과‘유해’
2. 미국, 휴대폰 유해소송 10여건 계류
3. 전자파 피해 사례
4. 전자파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

Ⅳ. 전자파 피해대책 및 방지활동
1. 국내.외에서의 관련법 현황
2. 전자파 방지사업의 등장
3. 전자파 인체유해론에 대한 반론

Ⅴ. 결 론

본문내용

과 전기기구들을 비교해 본 결과, 이전의 조사진들이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추측한 크기인 0.2 마이크로테슬라(mT: 자속밀도의 단위) 또는 그 이상의 크기에서도 아동기의 백혈병 발병 위험증가와는 어떤 관련점도 찾지 못하였다고 밝혔다 외국이나 국내에서도 전자파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에서도 패소한 사례는 아직까지 법적으로 전자파 유해성을 인정치 않고 있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발전소, 송신소, 통신실 등 강력한 전자파가 존재하는 곳에서 수년동안 장기간 근무한 여러 사람들 중에서 특별히 보통사람과 다른 질병을 앓고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전자파 유해론을 단정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지구자체가 커다란 자기로 되어 있고 우리의 몸의 순환상태를 전자파가 도와서 흐름을 정상적으로 하여 건강을 유지시키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전자파는 항상 필요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전자파에의 노출이 자살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고 North Carolina 대학 연구진이 전기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혔다. 이 연구진은 전자파가 멜라토닌 레벨을 감소시키며 그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다는 다른 연구진들의 결과를 인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들은 전자파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자살이 증가한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었으며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대상은 13만 9천명의 전력관련 종사자이었으며 그 중 536명의 자살자와 5,348명가 대조군이었다. 평균 13mG 이상의 자계에 노출된 근로자는 비노출군에 비해 자살할 확률이 70% 더 높았으며 노출 자계가 높을수록 자살률도 높게 나타났다. 5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자살 위험률이 2.1-3.6배 더 높았다."라고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0년 4월호에서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종류의 고노출 직업군(전기공, 선로공, 발전소 근무자)에 따른 자살률을 조사한 바, 전기공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자살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2배 높았으며 선로공도 역시 높았으나 발전소 근무자는 별 상관관계가 없었다. 20여년 전에 영국 의사인 Dr. Perry가 처음으로 자살과 자계와의 관련성을 주장하였다.
전계 및 자계에 노출된 일반대중에 대한 보호기준(rms)
주파수범위
전계강도(V/m)
자계강도(A/m)
B-field
등가평면파
전력밀도Seq
(W/m2)
1Hz 이하
-
3.2×104
2×104
-
1-8Hz
10,000
3.2×104/f2
2×104/f2
-
8-25Hz
10,000
4000/f
2×104/f2
-
0.025-0.8KHz
250/f
4/f
5/f
-
0.8-3KHz
250/f
5
6.25
-
3-150KHz
87
5
6.25
-
0.15-1MHz
87
0.73/f
0.92/f
-
1-10MHz
87f/2
0.73/f
0.92/f
-
10-400MHz
28
0.073
0.092
2
400-2000MHz
1,375f1/2
0.0037f1/2
0.0046f1/2
f/200
2-300GHz
61
0.16
0.20
10
Ⅴ. 결 론
전자파의 유해성을 결론 짓기에는 아직도 시기상조이며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수 십년간 연구를 계속하여 오고 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고, 앞으로도 상당기간 논란은 계속될 것이다. 현재까지 전자파의 어떤 면이 어떻게 해를 미치는지 또 어느 정도의 전자파가 인체에 해를 끼치는지에 대해 확실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위험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파 노출이 안전하다는 것 또한 옳지 않다. 어떤 학자들은 전자파를 육체적 스트레스의 인자로서 보고 있다. 전자파가 실제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이를 우려한 나머지 야기될 수 있는 정신적인 피해가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극히 일부분의 실험 연구결과를 전체적인 것으로 오도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며 유해성을 떠나서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과다하게 사용하면 해롭게 작용하므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시키는 것은 삼가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의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단편적이다. 유럽이나 미국 등은 자국의 산업 및 전자파환경 보호를 위해 전자파환경기준을 강화, 이를 비관세 무역장벽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는 전자파 규제에 대한 국제 협약이 생겨 전기기기 수출시 적용될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을 경우 수출을 못하여 막대한 손실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어떤형태로든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우리의 관심은 계속 이어질것이며 이에따라 전자파에 관한 불안을 감소시켜주는 상품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미국처럼 정부 및 관련단체를 중심으로 하여 이에 관한 연구의 지원, 대국민 홍보, 전자파 방지기술 개발 등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전자파를 무역장벽으로 이용하려는 선진국들에 대항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희창, 전자파장애방지를 위한 기술정책 개발, 한국전자파기술협회, 1993, PP.1~59.
조 광윤, 전자파장해측정 및 방지대책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5, PP.9~97.
국립환경연구원 환경보건연구부 환경보건과 Brain Pool 유치 과학자 홍승철,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소장 김윤신, 전자장 폭로에 따른 멜라토닌 생산 기능의 저하 및 리듬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 전기연구소 명성호, 전력설비의 전자계 환경과 인체 유도 영향에 관란 연구
Hogn seung Cheol : Effects of repeated nightime exposures to 50Hz electromagnetic fields on the melatonin production and circadian rhythm. Department of Huma Ecology School o9f International Health Faculty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Tokyo, 1997
김덕원, 소송 케이스, 전자장의 생체영향에 관한 워크숍, 1997.
강 덕근,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전자파환경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행정대학원, 1997, PP.56~60.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