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생명은 존엄하고 존중되어야 한다. 특히 의학과 생명공학은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생명을 중시 여겨야 한다. 차별 없이 평등하게. 하지만 <<아일랜드>>에서의 생명과학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생명을 중시한다. 가진 자의 생명에 한해서. 그들은 신체적 고통이 없는 행복을 추구한다. 다른 마땅히 존중되어야 할 생명을 희생시켜서.
인간복제에서의 갈등은 윤리적 문제와 인간 생명연장 사이의 갈등이다. 그렇기에 뭐라 단정 지어 결론내리기는 힘든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또 한 가지 의 요소,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상업화란 문제가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부정적 요소가 추가 되어 있기에 현실에서 복잡하게 논의되어야 할 문제를 이 영화에서는 인간복제는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식으로 끌어가는 듯하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복제인간이라도 그들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성격을 가지고, 다른 삶을 사는 하나의 개체이다. 그들은 마치 기계의 부속품처럼, 고장 났을 때 갈아 끼울 수 있는 부속품정도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다.
‘복제인간은, 그냥 나보다 한참 늦게 태어난 내 일란성 쌍둥이 동생에 불과합니다.’
-서울대학교 최재천 교수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생명은 존엄하고 존중되어야 한다. 특히 의학과 생명공학은 다른 어떤 학문보다도 생명을 중시 여겨야 한다. 차별 없이 평등하게. 하지만 <<아일랜드>>에서의 생명과학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생명을 중시한다. 가진 자의 생명에 한해서. 그들은 신체적 고통이 없는 행복을 추구한다. 다른 마땅히 존중되어야 할 생명을 희생시켜서.
인간복제에서의 갈등은 윤리적 문제와 인간 생명연장 사이의 갈등이다. 그렇기에 뭐라 단정 지어 결론내리기는 힘든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또 한 가지 의 요소,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상업화란 문제가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부정적 요소가 추가 되어 있기에 현실에서 복잡하게 논의되어야 할 문제를 이 영화에서는 인간복제는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식으로 끌어가는 듯하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복제인간이라도 그들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성격을 가지고, 다른 삶을 사는 하나의 개체이다. 그들은 마치 기계의 부속품처럼, 고장 났을 때 갈아 끼울 수 있는 부속품정도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다.
‘복제인간은, 그냥 나보다 한참 늦게 태어난 내 일란성 쌍둥이 동생에 불과합니다.’
-서울대학교 최재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