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et(엠넷)의 클럽 사업진출 다각화의 적합성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net(엠넷)의 클럽 사업진출 다각화의 적합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Intro

#1. 클럽

#2. 패밀리 레스토랑

#3. 테마파크

#4. 음원판매 사업

■ 시장 매력도 분석

■ 경쟁우위 및 적합성 분석

○ Conclusion

본문내용

과 “JOY IS ENERGY"라는 기업 슬로건은 클럽사업으로의 다각화가 기존의 기업 문화 및 사명과 일맥상통하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기존 시장
- 기존 Mnet의 주요 고객은 10대 후반-20대 초반이다. 따라서 20대 초반을 대상으로 하는 클럽사업에 Mnet이 진출 한다면 기존 시장과의 적합성 무제는 무난하게 해결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10대 후반의 잠재적 고객을 포섭하는 마케팅 전략을 운영함으로써 미래의 가치 창출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기존 마케팅 믹스
- 기존에 Mnet의 상품은 음악방송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클럽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앨범과 뮤직비디오 등은 클럽 사업으로의 다각화에 하드웨어적으로 상당한 적합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연, 콘서트 등 여러 가지 클럽과 부합하는 이벤트에 대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상당한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가격대 면에서 살펴보자면, 클럽의 고객들은 소득 수준이 낮은 젊은 학생들이기 때문에 기존 기타 클럽의 입장료(1만원~1만5천원)를 적용하되, 안에서 판매하는 주료와 음료, 그리고 음식들은 차별화된 고가 정책을 펴는 것도 고려해 볼만한 마케팅 전략인 것 같다. Promotion의 경우에는 Mnet이라는 걸출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에 직접적인 광고를 할 수도 있고, 음악 프로그램과 각종 전략적 제휴를 맺어서 방영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Promotion 과정에서의 적합성이 Mnet이 클럽 사업의 다각화에 있어서 가장 큰 매력포인트 인 것 같다. 기존 유통경로와의 적합성은 매우 상이하다.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은 ‘Online’적 성격이 강한데 반해 클럽 사업은 ‘Offline'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하나의 ’Offline'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는데 있어서의 노하우는 클럽 사업으로의 다각화에 있어서 Mnet이 배워야 할 부분이다. 또한 각종 주류와 음료, 음식의 제조 및 판매 행위에 관련된 일련의 유통 절차 또한 Mnet이 풀어야 할 숙제이다.
B. 패밀리 레스토랑 사업
1. 기업 문화 및 사명
- CJ media 그룹의 기업 슬로건은 “JOY IS ENERGY"이다. 이 부분은 음식사업과 연관성을 선뜻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타겟인 10-20대에는 먹기만 하는 공간이 아닌, 먹기도 하고 볼거리도 있는, 색다른 즐거움을 찾아주는 공간이라는 것에 대한 어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기존 시장
- Mnet의 기존 시장은 주로 10대-20대 초반 라고 볼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축적된 정보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이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마케팅을 구사한다면, Mnet의 기존 시장과의 충분한 연관성을 갖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3. 기존 마케팅 믹스
- Mnet은 음악과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앞세운 마케팅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패밀리 레스토랑은 이런 기존 마케팅과는 깊은 적합성을 갖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기존의 진지한 분위기의 패밀리레스토랑에서 탈피하여, 그 연관성을 갖되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와 10-20대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고급스런 분위기를 지향한다면, 그 부족함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미국의 “Planet Hollywood"를 벤치마킹하는 것 또한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미국의 Planet Hollywood는 가수, 영화배우 등, 유명인을 이용한 족특하고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미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오래동안 입지를 굳히고 유명해진 패밀리 레스토랑이다.
C. 테마파크 사업
1. 기업 문화 및 사명
- 기업의 주 슬로건인 ‘Joy is energy'는 즐거운 생활, 특별한 경험, 역동적인 활동, 최고의 고객만족을 추구하는 Mnet의 사명이다. 테마파크가 요구하는 가치에 일맥상통하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기존 시장
- 기존 Mnet의 주요 고객은 10대들이다. 테마파크의 고객들이 다양하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10대 들이 주요 고객층이기 때문에 이익 창출을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기존 마케팅 믹스
- Mnet은 음악 전문 방송으로 연예인을 통한 마케팅과 공연문화에 강한 면을 가지고 있다. 연예인을 테마로 한 놀이 공간을 만든다든가 다양한 음악 공연을 추진하다면 이익 창출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D. 음원판매 사업
1. 기업 문화 및 사명
- 13-18위주의 음악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JOY IS ENERGY"라는 기업의 슬로건과도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음원판매 쪽으로의 다각화는 어떻게 보면 당연하게 느껴져 고객들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다.
2. 기존 시장
- 기존시장과 고객층과 다루는 상품이 같아 적합성이 상당히 높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하여 좀더 다양한 층을 겨냥한 음악과 서비스제공에 대한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3. 기존 마케팅 믹스
- Mnet이 젊은층을 겨냥한 음악방송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적합성이 가장 높은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Mnet은 스테이션 아이디를 통하여 젊은층에 어필할 수 있는 감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하였고 이를 온라인 쪽으로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온라인에서도 남들과 다른 차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가격대 면에서 볼 때 전체 앨범이 아닌 곡당 매겨진 가격이기 때문에 음반보다 음원을 구입할 때의 부담감은 거의 없다 할 수 있고 싸이월드의 도토리 등으로 아이템을 구입하는 문화가 자리 잡은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한 음원판매에 아주 좋은 환경이 형성된 상태라 할 수 있다.
○ Conclusion
우리가 조사한 Mnet의 다각화의 4개의 방향 중에서는 클럽 사업과 음원판매 사업이 Mnet에 있어서 경쟁우위와 적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사업이라고 나타났다. Mnet이라는 기업이 기존에 ‘Music'이라는 Source를 통해서 사업을 펼친 만큼, 그 Source를 사용하여 비용 극소화와 마케팅에 있어서의 이점을 클럽과 음원판매 사업은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엠넷,   mnet,   m-net,   클럽,   파티,   바이브,   홍대,   음악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2.1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7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