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산과세의 개요
(1) 자산세의 유형
(2) 명목적 자산세와 실질적 자산세
2. 재산세
(1) 재산세의 개요
(2) 재산세 부과의 근거
(3) 과세표준
3. 부유세
(1) 개념
(2) 과세표준
(3) 세율
(4) 문제점
4. 상속세
(1) 개념
(2) 상속과세의 목적
(3) 상속세의 유형
(4) 과세표준과 세율
(1) 자산세의 유형
(2) 명목적 자산세와 실질적 자산세
2. 재산세
(1) 재산세의 개요
(2) 재산세 부과의 근거
(3) 과세표준
3. 부유세
(1) 개념
(2) 과세표준
(3) 세율
(4) 문제점
4. 상속세
(1) 개념
(2) 상속과세의 목적
(3) 상속세의 유형
(4) 과세표준과 세율
본문내용
유산취득형(유산취득세)
① 유산취득형이란 각 상속인이 취득한 상속재산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상속세를 과세하는 것을 의미
② 이 유형에서는 공동상속의 경우에는 일단 상속재산을 분할한 후 각 상속인이 취득한 상속재산에 대해서 누진세율로 과세
※ 승계과세형 : 생애통산의 모든 자산의 수취를 과세베이스로 하는 과세유형
3) 각 유형의 장단점
유산과세형
유산취득형
장 점
① 소득세의 보완세 역할을 잘 할 수 있음
② 분할상속에 따른 상속세 기피가 불가능
③ 조세행정이 용이
① 상속인별로 누진세가 적용되므로 세부담이 공평
② 상속인과 피상속인의 관계에 따라 차등세율 도입이 가능
③ 상속세 부담의 귀착이 분명하게 드러남
단 점
① 유산의 분할상속여부와 관계없이 상속세액이 결정되므로 부의 분산을 유인하는 기능이 없음
② 각종 공제의 혜택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불분명
① 유산과세형에 비하여 조세수입이 감소
② 각 상속인별로 과세해야 하므로 조세행정이 복잡
(4) 과세표준과 세율
1) 과세표준
우리나라에서는 유산과세형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전부가 과세대상이 되며, 각종 공제도 허용되고 있음
2) 세율
상속세에 대해서는 10~45%의 고율의 누진세율이 적용
① 유산취득형이란 각 상속인이 취득한 상속재산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상속세를 과세하는 것을 의미
② 이 유형에서는 공동상속의 경우에는 일단 상속재산을 분할한 후 각 상속인이 취득한 상속재산에 대해서 누진세율로 과세
※ 승계과세형 : 생애통산의 모든 자산의 수취를 과세베이스로 하는 과세유형
3) 각 유형의 장단점
유산과세형
유산취득형
장 점
① 소득세의 보완세 역할을 잘 할 수 있음
② 분할상속에 따른 상속세 기피가 불가능
③ 조세행정이 용이
① 상속인별로 누진세가 적용되므로 세부담이 공평
② 상속인과 피상속인의 관계에 따라 차등세율 도입이 가능
③ 상속세 부담의 귀착이 분명하게 드러남
단 점
① 유산의 분할상속여부와 관계없이 상속세액이 결정되므로 부의 분산을 유인하는 기능이 없음
② 각종 공제의 혜택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불분명
① 유산과세형에 비하여 조세수입이 감소
② 각 상속인별로 과세해야 하므로 조세행정이 복잡
(4) 과세표준과 세율
1) 과세표준
우리나라에서는 유산과세형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전부가 과세대상이 되며, 각종 공제도 허용되고 있음
2) 세율
상속세에 대해서는 10~45%의 고율의 누진세율이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