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의 공공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방송의 공공성에 대한 전통적 논의가 다매체,다채널 시대를 맞아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방송의 공공성 개념을 논의하기.

본론 I.
(1) 대중매체에 대한 사회의 영향
(2) 사회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
본론 II. 과거 반세기 동안의 대중매체(특히 TV)에 대한 비판적 분석
본론III. 방송의 공공성에 대한 전통적 논의
본론 IV. 새로운 방송, 뉴미디어에 대해
본론 V. 수용자가 바라는 사회

결론

본문내용

아니다. 일정의 수용자에게 열람되어 지며 정보검색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만 보여질 수 있다는 이면 역시 존재한다. 즉 제한성 아닌 제한성이 존재하는 것이 바로 뉴미디어인 셈이다.
다른 면을 살펴보자. 근자에는 이런 말이 존재한다. 부익부 빈익빈, 유전무죄 무전 유죄.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가진자는 더욱 소유하며 빈자는 더욱 소유함이 없어짐을 의미하는것이다. 정보산업 미래 사회. 이곳에서 자본은 필수이며 능력 역시 필요 불가결 요소이다. 있는 자는 점 점 더 새로운 장비를 갖추고 좀더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찾아 타인보다 한걸음 더 빨리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반면에 살아가기에 버겨운 빈자들은 나날이 구식이 되어가는 매체 속에서 점점 더 누락되어지고 정보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빚어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새로운 정보계급의 피라미드 형성이 또한 새로운 방송의 뉴미디어의 약점인 것이다.
그러나 모든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비교한다 할지라도 나의 소견으로써는 그렇다. 오늘날 각종 뉴미디어나 정보화 사회에 대한 보도가 쏟아지면서 미국이나 일본 같은 선진국에선 이런 것들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이 일어나고 있는데 우리는 미래 설계의 생간자가 아니고 적응자일뿐인 생각이 든다. 정보통신이 급속히 상품화 되고 산업화 되고 있는 실정에서 대외의존적인 우리는 “정보문화”를 이제는 꽃피워야 하지 않을까?
어차피 세간의 삶과 사회 속의 인간도래는 적자생존의 원칙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도태한 자는 기억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낙오의 기로에 선 사람들을 돕기 위하여 대중매체를 엄격하게 하여야 한다거나 널리 모든 사람들에게 전달해야만 한다는 발상은 시데 착오적인 작은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정보는 기술이며 전쟁이다. 전쟁에서 두명의 승자는 있을 수 없는것이다. 정보 사냥은 자유로워야 하며 취사선택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주어져야 하는것이다. 정보의 100% 자유성과 분방함에 그 속에서 새로운 윤리가 다각되어 질지라도 그것을 어떤 근거에 의해 제한한다거나 심의 규정해서는 안된다는 말로써 끝을 맺고자 한다.
“방송은 전쟁이다.전쟁은 최대한의 능력과 기술을 발휘해야 한다.”
###### 참고 자료 목록 ######
1.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 강상현, 채백 엮음
2. 텔레비젼과 사회, 그 함축적 의미 : K.U. 핸더슨 엮음
3. 컴퓨터 광고 전략 : 임은모 저
4. 1996년 6월 19일 수요일 한겨레 신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1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