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윤리 사회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를 정의하는 세 가지 방법

3.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대비의 사회철학적 뿌리

4. 개인과 사회, 부분과 전체의 대립의 사이비 이율 배반성

5.인간과 사회의 개념
1)인간 개념
2)사회개념

6.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상보성

7. 결론

본문내용

이 존재한다면 또 사회는 유기체적 측면과 합성체적 측면 둘 다를 함께 가지고 있다면 개인이 먼저냐 사회가 먼저냐 하는 문제를 제기 할 수 있을까? 인간이 먼저라고 대답해도 인간이 우리가 정의하는 한 이미 그 개개인간은 이미 사회화된 인간이임 전제되고 사회가 먼저라고 대답해도 사회가 유기체적인 동시에 합성체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한 합성체적요소 속에는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면서도 사회와 무관하게 자신이 생물학적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들의 존재가 전제된다. 바람직한 사회 건설의 방법이라는 방법론적 개념으로서의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상보성을 논할 수 있는 논리적 지평을 확보할 수 있다. 사회는 개인에게 있어서 하나의 경향적 여건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분위기가 개인에게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고는 말할 수 있다. 어떤 사회분위기 혹은 사회경향성은 사회제도 혹은 구조에 의해 강화되기도 하고 약화되기도 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회 분위기를 바꾸려 한다면 사회제도나 구조를 바꾸는 일을 등한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나 자시의 행위를 사회 분위기 탓으로 돌리는 것도 정당화 될 수 없다. 사회분위기는 제도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위에 의해 강화되기도 하고 약화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7.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잘못된 사회관과 인간관에 연유하여 상호 대립적인 개념으로 이해되던 개인윤리와 사회윤리가 그 잘못을 제거하게 되면, 개인윤리와 사회윤리가 결코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호 보완적인 것이며, 상호 보완적이어야 함을 밝히려 하였다. 개인윤리 없는 사회윤리는 자기 모순적이요, 사회윤리 없는 개인윤리는 자기기만적이다.
우리는 사회를 유기체적 합성체이면서 합성체적 유기체의 특징을 갖고있는 경향적 여건으로 간주하고 사회가 그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에게로 환원될 수 없다하여도 그 사실이 사회인격이라는 것을 인정해야한다는 주장을 위한 논리적 근거로 쓰일 수 없음을 도출했다.사히는 단지 유기체와 약간 닮았을 뿐이다. 이 주장이 평범하다하여도 이론체계의 건설이라는 학문적 야심에 무시되어서는 안되는 주장이다.
우리는 사회를 '합성체적 유기체 혹은 유기체저 합성체의 특징을 가진 경향적 여건'으로 간주하고, 인간을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족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인격체'로 정의 함으로써,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상보 가능성을 확보했다.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는 더 이상 대립된 것으로만 간주 할수 없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