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우울증의 종류 및 유형
Ⅲ. 우울증증상
Ⅳ. 우울증 체크
Ⅴ. 자살
Ⅵ. 우울증과 자살의 인과관계
Ⅶ. 결 론 - 우울증 치료
Ⅱ. 우울증의 종류 및 유형
Ⅲ. 우울증증상
Ⅳ. 우울증 체크
Ⅴ. 자살
Ⅵ. 우울증과 자살의 인과관계
Ⅶ. 결 론 - 우울증 치료
본문내용
용되기고 함
2) 정신역동적 치료
3) 전기충격 치료
4) 약물치료 : 삼환계 항우울제, MAO억제제,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
흔히 사용되는 항우울제
항우울제
시작 용량(mg)
통상 사용용량(m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Citalopram
20
20-60
Fluoxetine
20
20-60
Fluvoxamine
50
50-300
Paroxetine
20
20-60
Sertraline
50
50-200
Dopamine-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Bupropion
150
300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Venlafaxine
37.5
75-225
Serotonin modulators
Nefazodone
50
150-300
Trazodone
50
75-300
Norepinephrine-serotonin modulator
Mirtazapine
15
15-45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oclobemide
150
300-600
·약물치료는 여러 가지 부작용 , 약물중단 시의 높은 재발률, 약물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 등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심리치료와 병행하여 재발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항우울제에 의한 약물치료와 정기적인 면담치료가 주가 된다. 특히 최근에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맞도록 다양한 종류의 항우울제가 개발되었으며 완치를 목표로 할 정도로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
우울증은 일과적인 질환이 아니라 만성적인 질환이다. 따라서 수개월 이상, 때로는 1년 이상 장기간 약물치료를 해야 재발률이 떨어진다. 간혹 정신과에 대한 거부감과 부작용에 대한 잘못된 생각으로 치료에 가장 중요한 약물을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증상을 악화시켜 고통시간을 연장하게 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즉 증세가 사라진 후에도 장기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 우울증에 대하여 알려진 증거들
1) 우울증은 때로는 시간에 따라 증상이 변동적일 수 있고, 위약에도 상당수가 반응한다.
2) 이렇게 높은 위약 반응율은 엄격한 연구를 했을 때 항우울제가 약간 더 높은 효과를 보인다.
3) 항우울제 중 어떤 특정 분류의 약이 더 우수하다는 증거는 없다
4)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또는 다른 형태의 우울증 중에서 어떤 것이 항우울제에 잘 치료되는 지는 알 수 없다.
5) 항우울제를 처방할 때는 효능, 신체 부작용, 인지 및 일상 기능을 모니터하는 것이 좋다.
* 항우울제 치료의 근거
치매의 어떤 단계에서도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우울증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즉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을 생산하는 구조의 퇴행되어 이런 신경전달물질이 결핍되어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그러므로,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그리고 세로토닌 등을 증가시켜 우울증이 동반된 치매 환자에게 효과를 나타낸다.
* 항우울제 치료의 증거
위약과 항우울제 치료를 대조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반 정도는 위약보다 항우울제 치료가 효과가 있었고 나머지 반은 위약과 차이가 없었다. 항우울제가 위약보다 월등하게 좋다는 결과는 얻지 못한 이유는, 아마도 약제의 효능이 떨어지거나, 용량이 적절하지 못하였거나 치료 기간이 부적당했기 때문일 것이다.
* 치료 고려
경도 또는 중등도의 우울증이 발생하면 조심스럽게 환자를 추적 관리하고 최소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될 때만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즉시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는데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항우울제 치료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불면, 무의욕, 운동 지체와 같은 증상은 치매와 우울증에서 공통적으로 흔히 나타나며 어떤 진단에도 특징적이지 않아 진단하기가 어렵다. 이런 경우 항우울제로 치료했을 때 반응하거나 또는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진단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경도 또는 중등도 우울증 환자에서 항우울제 치료가 위약보다 탁월하게 우수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적당한 정도의 효과가 있다.
셋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s)와 새로운 항우울제는 비교적 부작용이 적으며 우울증 치료시에 나타나는 위험이 감소한다.
주요 우울증이 발생하면, 항우울제 치료를 바로 고려한다. SSRIs는 부작용이 다루기 용이한 편이라 일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약이다. 그러나, moclobemide와 clomipramine 등도 선택할 수 있다. 만약에 일차 약제로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다른 계열의 약으로 바꾸는 것이 합리적이다.
* 부작용
환자에서 항우울제 치료의 부작용은 삼환계 항우울제의 항콜린성 부작용에 더 민감하다.
삼환계 항우울제를 제외한 항우울제를 처방할 수 있다. 이점은 항정신병 약제 또는 벤조다이아제핀과 같은 약제는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용량을 아주 낮게 처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SSRIs의 부작용은 위장관 부작용과 성기능의 부작용이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은 입마름, 변비와 같은 항콜린성 부작용과 심전도 장애, 기립성 저혈압과 같은 심혈관 부작용이 있다.
* 치료 시작, 중단, 모니터
우울증은 장기간 지속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이므로, 항우울제 치료 반응이 달성된 후 6 개월에서 1년후에 항우울제의 점진적 감량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것은 치매가 없는 우울증의 치료 전략과 동일하다.
항우울제 치료의 모니터를 할 때는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약제의 효능과 신체적 부작용, 그리고 처음 방문때 확인된 목표 증상을 평가해야 한다.
특히, 삼환계 항우울제를 처방하는 경우에는, 인지 기능의 상태를 MMSE와 같은 도구로 1-3 개월 간격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다.
* 우울증 치료의 지침 (미국정신의학회)
1) 우울증이 있는 환자들은 자살 가능성에 대하여 면밀하게 감시해야 한다.
2) 우울 기분은 생활 경의 변화로 좋아질 수 있으나 심하거나 지속되는 우울 기분은 항우울제로 치료해야한다.
3) 항우울제 선택은 부작용 측면과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2) 정신역동적 치료
3) 전기충격 치료
4) 약물치료 : 삼환계 항우울제, MAO억제제,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
흔히 사용되는 항우울제
항우울제
시작 용량(mg)
통상 사용용량(m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Citalopram
20
20-60
Fluoxetine
20
20-60
Fluvoxamine
50
50-300
Paroxetine
20
20-60
Sertraline
50
50-200
Dopamine-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Bupropion
150
300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Venlafaxine
37.5
75-225
Serotonin modulators
Nefazodone
50
150-300
Trazodone
50
75-300
Norepinephrine-serotonin modulator
Mirtazapine
15
15-45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oclobemide
150
300-600
·약물치료는 여러 가지 부작용 , 약물중단 시의 높은 재발률, 약물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 등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심리치료와 병행하여 재발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항우울제에 의한 약물치료와 정기적인 면담치료가 주가 된다. 특히 최근에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맞도록 다양한 종류의 항우울제가 개발되었으며 완치를 목표로 할 정도로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
우울증은 일과적인 질환이 아니라 만성적인 질환이다. 따라서 수개월 이상, 때로는 1년 이상 장기간 약물치료를 해야 재발률이 떨어진다. 간혹 정신과에 대한 거부감과 부작용에 대한 잘못된 생각으로 치료에 가장 중요한 약물을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증상을 악화시켜 고통시간을 연장하게 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즉 증세가 사라진 후에도 장기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 우울증에 대하여 알려진 증거들
1) 우울증은 때로는 시간에 따라 증상이 변동적일 수 있고, 위약에도 상당수가 반응한다.
2) 이렇게 높은 위약 반응율은 엄격한 연구를 했을 때 항우울제가 약간 더 높은 효과를 보인다.
3) 항우울제 중 어떤 특정 분류의 약이 더 우수하다는 증거는 없다
4)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또는 다른 형태의 우울증 중에서 어떤 것이 항우울제에 잘 치료되는 지는 알 수 없다.
5) 항우울제를 처방할 때는 효능, 신체 부작용, 인지 및 일상 기능을 모니터하는 것이 좋다.
* 항우울제 치료의 근거
치매의 어떤 단계에서도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우울증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즉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을 생산하는 구조의 퇴행되어 이런 신경전달물질이 결핍되어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그러므로,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그리고 세로토닌 등을 증가시켜 우울증이 동반된 치매 환자에게 효과를 나타낸다.
* 항우울제 치료의 증거
위약과 항우울제 치료를 대조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반 정도는 위약보다 항우울제 치료가 효과가 있었고 나머지 반은 위약과 차이가 없었다. 항우울제가 위약보다 월등하게 좋다는 결과는 얻지 못한 이유는, 아마도 약제의 효능이 떨어지거나, 용량이 적절하지 못하였거나 치료 기간이 부적당했기 때문일 것이다.
* 치료 고려
경도 또는 중등도의 우울증이 발생하면 조심스럽게 환자를 추적 관리하고 최소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될 때만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즉시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는데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항우울제 치료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불면, 무의욕, 운동 지체와 같은 증상은 치매와 우울증에서 공통적으로 흔히 나타나며 어떤 진단에도 특징적이지 않아 진단하기가 어렵다. 이런 경우 항우울제로 치료했을 때 반응하거나 또는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진단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경도 또는 중등도 우울증 환자에서 항우울제 치료가 위약보다 탁월하게 우수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적당한 정도의 효과가 있다.
셋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s)와 새로운 항우울제는 비교적 부작용이 적으며 우울증 치료시에 나타나는 위험이 감소한다.
주요 우울증이 발생하면, 항우울제 치료를 바로 고려한다. SSRIs는 부작용이 다루기 용이한 편이라 일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약이다. 그러나, moclobemide와 clomipramine 등도 선택할 수 있다. 만약에 일차 약제로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다른 계열의 약으로 바꾸는 것이 합리적이다.
* 부작용
환자에서 항우울제 치료의 부작용은 삼환계 항우울제의 항콜린성 부작용에 더 민감하다.
삼환계 항우울제를 제외한 항우울제를 처방할 수 있다. 이점은 항정신병 약제 또는 벤조다이아제핀과 같은 약제는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용량을 아주 낮게 처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SSRIs의 부작용은 위장관 부작용과 성기능의 부작용이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은 입마름, 변비와 같은 항콜린성 부작용과 심전도 장애, 기립성 저혈압과 같은 심혈관 부작용이 있다.
* 치료 시작, 중단, 모니터
우울증은 장기간 지속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이므로, 항우울제 치료 반응이 달성된 후 6 개월에서 1년후에 항우울제의 점진적 감량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것은 치매가 없는 우울증의 치료 전략과 동일하다.
항우울제 치료의 모니터를 할 때는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약제의 효능과 신체적 부작용, 그리고 처음 방문때 확인된 목표 증상을 평가해야 한다.
특히, 삼환계 항우울제를 처방하는 경우에는, 인지 기능의 상태를 MMSE와 같은 도구로 1-3 개월 간격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다.
* 우울증 치료의 지침 (미국정신의학회)
1) 우울증이 있는 환자들은 자살 가능성에 대하여 면밀하게 감시해야 한다.
2) 우울 기분은 생활 경의 변화로 좋아질 수 있으나 심하거나 지속되는 우울 기분은 항우울제로 치료해야한다.
3) 항우울제 선택은 부작용 측면과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추천자료
노인 자살, 자살 현황, 원인, 예방
[심리학] 『심리학으로 본 자살심리(원인, 시도방법, 자살률, 편견 등)』에 대하여
노인자살에 관한 literature review
정신건강과간호 공통3] 노인의 자살 실태 및 현황과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및 방안에 대...
[노인문제] 노인 자살의 정의, 노인자살의 원인과 특징 대책에 대해서
0황혼자살에 대한 사회 복지적 대책방안
청소년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슈화 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 자살은 위험수위를 넘어 ...
우리나라의 노인 자살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사회안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노인문제에 대한 정의와 노인문제 유형 중 ‘환경속의 인간’의 관점에서...
노인자살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률이 매우 높다. 노인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2가지 전략(보편적, 선택적...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률이 매우 높습니다. 노인의 자살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토론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