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혼
2. 납채
3. 납폐
4. 친영
2. 납채
3. 납폐
4. 친영
본문내용
화합을 기원하는 잔이다.
-폐백
폐백을 드리는 것은 우리 전통 혼례의 한 부분이 남아있는 것으로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나서 1-3일이 지난 후 시댁으로 가서 친정어미니가 싸 준 대추, 밤, 마른 안주 등을 차려놓고 시부모와 시댁식구들에게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예식을 말한다.
폐백 드리는 절차
(1) 대추를 시아버지에게 드리고 큰 절을 올린다.
(2) 포를 시어머니에게 드리고 큰 절을 한다.
(3) 시아버지는 대추를 며느리에게 던져 주는데, 이것은 아들을 낳아 가계를 계승하라는 의미이다.
(4) 백부 숙부 내외,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절을 하고 시누이와 시동생과는 맞절을 한다.
(5) 시조부모가 있다 하더라도 시부모에게 먼저 절을 하고 나서 그 다음에 시조부모에게 절하는 것이 원칙이다.
-폐백
폐백을 드리는 것은 우리 전통 혼례의 한 부분이 남아있는 것으로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나서 1-3일이 지난 후 시댁으로 가서 친정어미니가 싸 준 대추, 밤, 마른 안주 등을 차려놓고 시부모와 시댁식구들에게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예식을 말한다.
폐백 드리는 절차
(1) 대추를 시아버지에게 드리고 큰 절을 올린다.
(2) 포를 시어머니에게 드리고 큰 절을 한다.
(3) 시아버지는 대추를 며느리에게 던져 주는데, 이것은 아들을 낳아 가계를 계승하라는 의미이다.
(4) 백부 숙부 내외,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절을 하고 시누이와 시동생과는 맞절을 한다.
(5) 시조부모가 있다 하더라도 시부모에게 먼저 절을 하고 나서 그 다음에 시조부모에게 절하는 것이 원칙이다.
추천자료
전통 궁중가례복식 재현
전통민속마을 관광상품화 방안
술의 양면성과 우리나라 전통술문화의 계승방안
전통 굿- 개념 정리
[결혼][결혼풍습][결혼관][결혼문화][혼례][예식][결혼식][결혼조건]결혼의 개념으로 규정짓...
[제주도][제주][제주도민][제주인][제주문화[전통가옥][음식][관광명소][의복문화][식물]]제...
[제주도][제주지역][제주]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해신의례와 의복, 제주지역(제주, 제주도...
전통사회에서의 소비문화적 배경) 한국의 가족문화와 소비, 가족생활에서 소비문화의 차이 및...
[협동학습][토의수업][인성발달][전통조별학습]협동학습의 정의, 협동학습의 성격, 협동학습...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상차림(일상, 일상식, 통과의례 상차림)
각도별 전통 별미떡
[혼수]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혼수
베트남 자료조사(베트남에 대한 모든 것-기본정보 전통문화 등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