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대중음악의 현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대중음악의 현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주제 분석 및 연구 동기, 자료 정리 방법.

- 본론
대중문화인 대중음악의 영역, 대중음악의 쓰임새.

- 결론

본문내용

간 세상에서 펼쳐지는 야망, 꿈, 사랑 그리고 배신 등을 주로 소재로 다루고 있는 드라마는 흔히 인생의 축소판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다양한 소재로 시청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90년대 들어서 국내 방송 드라마에서는 청각을 자극 시켜 주고 있는 배경 음악을 적절하게 삽입 시켜 보는 드라마에서 듣는 드라마 시대를 선도하기도 했다.
특히 방송 드라마의 경우는 방영 기간 동안 특정 배경 곡을 수없이 반복해서 들려주어 자연스럽게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음반업계에서는 드라마 음악 이 뜻하지 않은 효자 상품으로 부상해 즐거운 비명을 지르게 하고 있다.
이처럼 근래 들어 방송 드라마에서는 배경 곡을 내세운 인기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어 음악 애호가들의 구미를 끌어 당겨 주고 있다. 특히,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을 겨냥한 신세대 소재 드라마의 경우는 댄스곡을 비롯해 랩, 힙합 등 최근 유행하고 있는 음악 스타일을 가미시켜 젊은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국내 방송가에서 배경 음악을 중요시하게 생각하게 된 것은 지난 80년대 후반부터라는 것이 방송 관계자들의 견해이다.
일선 작곡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극중 분위기를 고조시켜 주거나' '대사가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시켜 주는데 매우 적절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악 관계자들은 "드라마 음악은 사람들 기억에 많이 남을 수 있고 그래서 대중적 인기를 누리기 쉽다"고 지적하고 있다.
드라마 배경 음악은 국내 작곡자가 만든 창작 음악과 기존의 외국 음악을 장면에 맞게 적절하게 삽입을 시키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특히, 국내 드라마 음악은 감정적으로 차분한 심정을 자극 시켜주고 있는 애절한 발라드 곡들이 대부분이어서 드라마 배경 음악 작곡자들은 경쾌하고 밝은 가락의 노래보다는 이들 분위기를 갖고 있는 배경 음악을 작곡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현재 국내 일선 방송 연출자들은 주 시청권을 형성하고 있는 젊은 층 들의 관심을 끌어들이기 위해 배경 음악 띄우기를 통한 장외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이러한 열기는 앞으로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측해 주고 있다.
세 번째로 영화에 쓰이는 대중음악을 살펴보면...
영화음악은 종합예술인 영화의 한 요소를 이루는 것으로 영화를 위하여 작곡, 편곡, 선곡된 음악을 말한다. 영화음악은 영화의 외부에서 개입하는 요소임이 분명하지만 관객들에게 의식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그 역사에 비해 이론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음악이 없는 영화를 상상할 수 없으며, 영화 산업과 음악 산업이 연계되면서 영화음악에 대한 관심이 늘기 시작하였다.
음악과 영화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초창기의 영화에서도 관객들은, 화면 내의 행위에 일치하는 음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영상에 의해 발생되는 약동감이 비자연적이고, 심지어는 영적인 듯이 보여 졌기 때문에 바로 그 실제적인 묵음의 진공상태를 절감했었다. 사실적인 음향이 음반화 된 대사나 음향효과의 도움을 받아 유용화 되기에 이르렀을 때는, 영화음악은 이미 스크린상의 영상을 위해서라도 없어서는 안 될 동반자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었다. 음악으로 인해 시각과 청각의 예술적인 혼합이라든가 음악과 움직임의 효과적인 조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작곡가인 디미트리 티옴킨의 말처럼 훌륭한 영화란 진정 대사를 지닌 발레가 되었다. 뮈어 메디슨은 ‘영화음악의 기법’ 에서 이렇게 말했다. ‘스스로의 자율적인 형식을 갖고 있는 음악이 영화와의 약속된 임무를 올바르게 수행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순수한 음악으로서, 그리고 또 하나는 영화 전체의 일부로서 정교하게 쓰이는 것이다. 음악은 석고 벽의 틈새를 메꾸거나 치장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일부로서 수용되어야 한다.’ 아마도 영화와 음악 모두가 시간을 보다 더 명백하게 한정된 운율적 패턴으로 분해한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한 공통적 유사성일 것이다.
이렇게 대중음악이 쓰이는 범위는 대중문화, 대중매체 가는 곳이면 같이 따라 가는 존재라고도 감히 말하고 싶다. 음악은 우리에게 있어서 실과 바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음악이 없으면 과연 세상은 어떠한 모습일까? 음악의 중요성을 좀 더 깊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듯 싶다.
참고자료는
http://blog.naver.com/whitelove039/60006036937
http://cafe.naver.com/greenmusic.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90
http://web.donga.ac.kr/swcho/Text/simpo01.hwp
http://k.daum.net/qna/kin/home/qdetail_view.html?boardid=M&qid=0A5WT
한국대중음악사- 이혜숙, 손우석
대중음악과 사회- 브라이언 롱허스트
- 결론
현대 대중음악의 현실이란 타이틀의 과제를 준비하고, 공부하면서 많은 지식을 얻게 되서 일단은 감사드립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본문에서도 잠깐 얘기 했었지만, 내가 알고 있던 대중음악이란 지식은 정말 아무것도 아니었다. 대중음악을 모른다고 하는 게 맞을 정도로 지식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대중음악을 처음부터 공부해야 했고, 그로 인해서 시간도 많이 들었고, 대중음악뿐만 아닌 다른 음악들까지 공부를 해야 했다. 하지만, 많은 것을 얻어서 뿌듯하다.
자료조사에 있어서 많이 힘들었다. 대중음악이라 많은 자료가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거의 다 거기서 거기인 자료들이고, 내용이 거의 다 비슷해서 자료조사 하는데 많이 힘들었다.
마지막으로 대중음악이라는 매체를 연구하고, 공부하면서 현재 현실이 대중문화의 많은 부분이 힘들다는 것을 느꼈다. 과학의 발전이라든지,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새로운 매체나 물품이 생산되면서 대중문화의 역할이 다소 떨어진 감이 없지 않아 보였다. 우리의 대중문화 우리가 만들고, 우리가 느끼고, 우리가 좋아하고, 우리가 싫어하고, 우리가 버리는 것이다.
우리의 올바른 생활 속에서, 우리의 올바른 문화 속에서, 우리의 대중문화는 커질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