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의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철학의 세계】
- 고려시대 유학 -


Ⅰ. 고려 전기의 유학
1.유교의 정치사상
2.고려이전의 유교사상
3. 고려 초기의 유학사상

Ⅱ. 고려후기의 유학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나라에서 성리학을 배워온 사람으로는 최해(崔瀣1287~1340)와 최문도(崔文度1291~1345)를 빼놓을 수 없었다. 최해는 文昌候 최치원의 후손이요, 아버지 伯倫은 문과에 장원하여 元으로부터 高麗王京儒學敎授를 제수 받았다. 전통적인 유학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일찍이 문과에 등제하여 성균학관이 되고, 원경에 가서 과거에 급제, 그곳 학자들의 칭송을 받으며 돌아와 성균대사성을 지내는 등 유학교육에 힘썼다. 최해는 才奇志高하여 文辭가 超逸하고, 이단과 습속에 물들지 아니하였으며, 學行이 古人에 合하고 至論異同을 정확하게 분별하여 비록 老師宿儒로서, 당시의 宗師라 할지라도 힐난하여 자기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리고 성리학을 正道로 삼아 이단을 배척하는데 힘썼다.
마지막으로 고려말 유학에 큰 영향을 끼친 자로 정몽주(1337~1392)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절에 들어가 독학으로 사서를 공부하다가 23세 때 문과에 세번이나 장원하여 이름을 날렸다. 35세(1372)에 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親明士類의 주도자가 되었고 排明親元세력과 맞서오던 그는 47세(1384)에 聖節使로 명나라에 가서 그 동안 불편한 관계에 있던 명과의 국교를 타개하여 고려정국의 방향을 돌려놓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親明路線은 정치, 학술, 문화면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정치적으로는 중국 북방세력과의 주종관계에서 벗어나고 학술적으로는 주자학 獨尊의 가치를 올렸으며 문화적으로는 불교중심의 풍속에서 벗어나 유교 중심 특히 주자학, 朱子家禮, 대명률 등을 본받아 생활양식에 일대개혁을 가져왔다.
지금까지 알아본 유학에 관해 종합해보면, 유학은 우리의 전통철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유학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임을 부인할 수는 없는 일이나 이미 우리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우리의 것이 되어있다. 그저 우리의 것이 되어있을 뿐인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몸짓이 되고 우리의 숨결이 되어있고 우리의 체취가 되어있고 우리의 지문이 되어있다. 우리의 삶의 방식이나 생각하는 방식은 이렇게 오랫동안 전래되어온 유학과 연계되어있는 것임을 부인할 수는 없는 것이다.
※ 참고문헌
< 한국의 유학 사상 1995 -황의동 저- >
< 고려유학사 1984 -김충렬 저- >
< 유학의 철학적 문제들 1996 -윤천근 저- >
<14세기 전반 유교 지식인의 현실인식 1995 -도현철 저->
「고려시기 유교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6, 한길사, 1993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