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개해 갔다. 그 때문에 헨델은 게오르그 선제후에게 미움을 사게 되었고 둘은 불편한 사이가 되고 말았다. 그런 가운데 앤 여왕이 세상을 떠나고 하노버의 게오르그 서제후가 조오지1세로 영국의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둘은 겉으로 아무렇지 않은 척했지만 사실 어색하기 그지 없었다. 헨델은 이러한 관계를 화해하길 원했으나 좀처럼 기회는 오지않았다. 그러던중 헨델은 궁중 뱃놀이에 초대받게 되었고 이를 기회 삼고 조오지1세를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이것이 오늘날 수상음악(Water Music Suite)라 불린다.1
3)「솔로몬」(Salomon)
≪본론 3.오라토리오≫에서 잠시 소개한 것처럼 「솔로몬」은 오라토리오 형식이다. 1748년 영국은 오스트리아 계승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그를 축하라는 것이 애국이 되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었다. 1749년의 「솔로몬」은 공정하고 슬기로우며 강력한 군주에 지배되고 평화롭고도 풍요로운 나라를 묘사하고, 그를 찬양한다. 2중 합창이 많은 것과 뚜렷한 3중창은 이 곡의 오페라적 분위기를 나게 하는 요인이다. 「솔로몬」중에서 합창「경건한 마음과」의 가사 내용을 살펴보겠다.2
경건함 마음과 성스러움 언어로 너희들의 창조자 이름을 찬양하라.
먼 나라들이 우리의 노래를 잡을 때까지 그리고 성스러운 불꽃으로
타오를 때까지.
4)「사울」(Saul)과 「삼손」(Samson)
「부활」(1708년),「데보라」(1733년),「시간과 진실의 승리」(1737년) 등 계속해서 오라토리오를 작곡해나가던 헨델은 1739년 그가 54세 되던 해 「사울」을 완성하게 된다. 「사울」의 서곡에는 오르간 독주가 들어있다. 그밖에도 보통의 경우보다 관현악곡이 훨씬 많으며, 모두가 극구성과 이어져 있었고, 색채가 풍부하였다. 「악기를 섞은 즐거운 춤」이 먼저 기악곡으로 시작되고, 그 뒤에 여성합창이 사울에게 보내는 「천의 칭찬」과 다윗에게 보내는 「만의 칭찬」을 화합하는 놀라운 곡이 있다. 스스로 파멸을 초래하도록 사울의 마음 속에 시기의 씨앗을 뿌리는 환호였다. 이 곡에는 바이올린과 오르간의 카리용3을 사용한다. 여기서헨델은 눈부신 솜
씨로, 서두의 현실세계에서 무섭게 쩌렁쩌렁 울리는 벨과 여성합창에 의해, 청중을
☞
1음악과 신앙의 만나 pp.243~244
2허영한이석원 공저,고전음악의 이해,(심설당,1997) pp.116~117
3카리용(carillon):타악기의 하나. 모양 또는 크기를 달리하는 많은 종을 음계의 순으로 달아 놓고 치는 악기. 옛날 사원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하였음.(교학사 국어사전, 1992)
사울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악몽의 세계로 천천히 끌어들인다.
「삼손」은 「사울」을 작곡한지 5년후에 발표되었다. 뉴버러 헤밀턴(「알렉산더의 향연」을 번안한 사람)이 밀터의 비극「투사 삼손」을 번안하여 태어났으며, 그 고전적 양식은 「이탈리아」처럼 라신의 희곡에 바탕을 둔 오라토리오와 비슷한 점이 있다. 원작의 이교도와 유태교도의 갈등을 주제로 하고, 눈부신 대비를 이루는 독창과 합창으로 쾌락주의적인 블렛사람들과 믿음이 깊은 유태인들을 그리고 있다.1
1박일충외편,A History of Music, (중앙일보사, 1988)제 2판 p.186,p.189
III. 결론
음악을 논하기에 앞서 음악가에 알아 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그 음악가는 시대 상황을 그래도 음악에 반영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사고에서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andel:1685~1759)의 성장환경과 사상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헨델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오라토리오라는 형식이 유행하고 있었고 또 런던 사람들은 영어로 된 오페라를 원하고 있었다. 여기서 오라토리오는 그 가사가 성경을 따르고 있어서 상당히 종교적인 색이 짙은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헨델은 이런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그의 음악 세계를 구축해갔다. 그의 종교적 집념과 대중이 원하는 음악을 한데 어울리게 한 것이다. 이 점이 헨델이 존경받고, 존경받아야 하는 이유다. 또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되는 사항이 있다. 이는 헨델이 독실한 종교인이었다는 점이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교회음악을 들었고 또 오르간 사용법을 배운 헨델이었기에 성경을 완벽히 소리로 이끌어낼 수 있었지 않았을까 한다. 물론 그가 작곡한 모든 곡에서 종교인다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지는 않다. 다만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점은 그의 신앙심이 그의 음악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의 그가 있게 한 것이라는 점이다.
3)「솔로몬」(Salomon)
≪본론 3.오라토리오≫에서 잠시 소개한 것처럼 「솔로몬」은 오라토리오 형식이다. 1748년 영국은 오스트리아 계승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그를 축하라는 것이 애국이 되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었다. 1749년의 「솔로몬」은 공정하고 슬기로우며 강력한 군주에 지배되고 평화롭고도 풍요로운 나라를 묘사하고, 그를 찬양한다. 2중 합창이 많은 것과 뚜렷한 3중창은 이 곡의 오페라적 분위기를 나게 하는 요인이다. 「솔로몬」중에서 합창「경건한 마음과」의 가사 내용을 살펴보겠다.2
경건함 마음과 성스러움 언어로 너희들의 창조자 이름을 찬양하라.
먼 나라들이 우리의 노래를 잡을 때까지 그리고 성스러운 불꽃으로
타오를 때까지.
4)「사울」(Saul)과 「삼손」(Samson)
「부활」(1708년),「데보라」(1733년),「시간과 진실의 승리」(1737년) 등 계속해서 오라토리오를 작곡해나가던 헨델은 1739년 그가 54세 되던 해 「사울」을 완성하게 된다. 「사울」의 서곡에는 오르간 독주가 들어있다. 그밖에도 보통의 경우보다 관현악곡이 훨씬 많으며, 모두가 극구성과 이어져 있었고, 색채가 풍부하였다. 「악기를 섞은 즐거운 춤」이 먼저 기악곡으로 시작되고, 그 뒤에 여성합창이 사울에게 보내는 「천의 칭찬」과 다윗에게 보내는 「만의 칭찬」을 화합하는 놀라운 곡이 있다. 스스로 파멸을 초래하도록 사울의 마음 속에 시기의 씨앗을 뿌리는 환호였다. 이 곡에는 바이올린과 오르간의 카리용3을 사용한다. 여기서헨델은 눈부신 솜
씨로, 서두의 현실세계에서 무섭게 쩌렁쩌렁 울리는 벨과 여성합창에 의해, 청중을
☞
1음악과 신앙의 만나 pp.243~244
2허영한이석원 공저,고전음악의 이해,(심설당,1997) pp.116~117
3카리용(carillon):타악기의 하나. 모양 또는 크기를 달리하는 많은 종을 음계의 순으로 달아 놓고 치는 악기. 옛날 사원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하였음.(교학사 국어사전, 1992)
사울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악몽의 세계로 천천히 끌어들인다.
「삼손」은 「사울」을 작곡한지 5년후에 발표되었다. 뉴버러 헤밀턴(「알렉산더의 향연」을 번안한 사람)이 밀터의 비극「투사 삼손」을 번안하여 태어났으며, 그 고전적 양식은 「이탈리아」처럼 라신의 희곡에 바탕을 둔 오라토리오와 비슷한 점이 있다. 원작의 이교도와 유태교도의 갈등을 주제로 하고, 눈부신 대비를 이루는 독창과 합창으로 쾌락주의적인 블렛사람들과 믿음이 깊은 유태인들을 그리고 있다.1
1박일충외편,A History of Music, (중앙일보사, 1988)제 2판 p.186,p.189
III. 결론
음악을 논하기에 앞서 음악가에 알아 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그 음악가는 시대 상황을 그래도 음악에 반영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사고에서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andel:1685~1759)의 성장환경과 사상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헨델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오라토리오라는 형식이 유행하고 있었고 또 런던 사람들은 영어로 된 오페라를 원하고 있었다. 여기서 오라토리오는 그 가사가 성경을 따르고 있어서 상당히 종교적인 색이 짙은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헨델은 이런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그의 음악 세계를 구축해갔다. 그의 종교적 집념과 대중이 원하는 음악을 한데 어울리게 한 것이다. 이 점이 헨델이 존경받고, 존경받아야 하는 이유다. 또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되는 사항이 있다. 이는 헨델이 독실한 종교인이었다는 점이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교회음악을 들었고 또 오르간 사용법을 배운 헨델이었기에 성경을 완벽히 소리로 이끌어낼 수 있었지 않았을까 한다. 물론 그가 작곡한 모든 곡에서 종교인다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지는 않다. 다만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점은 그의 신앙심이 그의 음악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의 그가 있게 한 것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