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nti-Golf Movement)을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졌다.
5월 31일: 바다의 날
94년 11월 유엔 해양법의 발효를 계기로 해양자유이용 시대가 해양 분할 경쟁시대로 바뀌면서 해양을 둘러싼 국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국가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바다는 광물 자원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생물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부는 그 동안 해안 매립, 오염물 배출 등 바다 자원을 고갈시켜 왔으나 늦게나마 이 날을 지정하여 바다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는 계기로 삼고 있다.
6월 5일: 환경의 날
1972년 6월 5일부터 16일까지 스웨던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라는 구호 아래 인간환경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113개 나라와 3개 국제기구 및 257개 민간단체의 약 1,200명이 참가한 최초의 유엔차원의 환경회의였다. 이 날을 기념하여 해마다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정하였으며, 세계환경보전사업 시행기구로서 유엔환경계획(UNEP)을 창설하기도 하였다. 세계 환경의 날은 민간과 정부기구 구분없이 모두 기념하는 가장 중요한 환경기념일이라 할 수 있다.
6월17일: 사막화 방지의 날
1994년 제49차 유엔총회에서 "사막화 방지 협약"의 채택일인 94년 6월 17일을 기념하고자 지정하였다. 개간과 산성비 등으로 인하여 해마다 막대한 면적의 토지가 사막으로 변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 지구가 사막으로 변할 위기에 놓였다는 위기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막은 생물의 다양성이 파괴돈 지역으로 생물이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어려우며, 인간이 살기 불가능한 지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의 대지가 사막으로 변하는 것을 막고 인류의 안정적인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지구 재생 계획
이산화탄소 대책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는 화석 연료의 연소, 삼림 파괴나 시멘트 제조 과정 등을 통해서 발생한다. 1987년 기준으로 세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약 85억톤(탄소로 환산)이다. 온난화를 가속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적어도 1990년 수준으로 배출량을 억제하는 일과 더욱이 이를 방지하기 위해 30%의 삭감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를 억제하는 대책은 정책, 제도적인 방법과 기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 속하는 방법에는 에너지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배출을 직접 규제하는 것과 세금이나 과징금을 부과하는 방법, 배출권을 매매하는 국제적인 시장을 만들어 배출을 억제하는 등의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기술적인 방법으로서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배출이 적은 자연 에너지나 원자력의 사용, 화석 연료에서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주택의 단열화나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의 전환 등,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철저하게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일도 중요하다. 현재는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지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지, 수소 에너지 등 무공해 에너지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가까운 시일 내에 실용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심해저 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대기 중에 존재하고 있는 양을 줄이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심해저 저장 계획'은 액화시킨 이산화탄소를 심해의 구덩이에 저장하는 계획이다. 이산화탄소는 고압저온 상태가 되면, 바닷물보다 무거워져 가라앉게 되어, 표면이 셔벳 (sherbet; 과즙에 향로나 설탕 등을 넣은 청량 음료)처럼 되어 바닷물로 퍼지기 어려워진다. 이런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심해의 구덩이에 주입하면, 해저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서서히 해저로 흩어지면서, 생물 시체가 쌓여 생긴 탄산칼슘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심해의 진흙과 중화되어 무해한 중탄산 이온으로 바뀔 것이다. 현재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이나 해양에서의 이산화탄소 순환 등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가 진행 중인 이 계획이 성공적으로 실시되면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부터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미생물을 배양한 탱크에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시키는 계획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매우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탱크에서 대량으로 배양하고, 화력 발전소 등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탱크에 공급하여 광합성을 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효율 면에서는 다소 떨어지지만 생물의 이용은 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라 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관리대책
광화학스모그로 유명한 LA의 전경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오존(O3)발생의 원인물질로 작용하여 오존오염도 증가 및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고 식물의 고사 및 고무제품, 섬유류를 조기 노화시키며 발암성 및 위해성 등이 있어 인체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 물질은 대기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으나 운행차에 대해서만 탄화수소의 배출허용을 설정 시행하고 있어 구체적 배출억제 및 방지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1995년 대기환경보전법을 개정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배출하는 주유소, 저유소, 석유정제시설 및 저장시설등에 대해 배출억제 및 방지시설을 설치토록 하였다. 동 규정은 1999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지식은 계속하여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앞에는 아직도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가 무한히 열려 있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탐험의 시대가 놓여 있다. 지구상에 생명체가 살아 있는 생명의 땅, 지구를 지속적으로 가꾸어 나가는 한, 우리는 이 탐험을 영원히 멈추어서는 안될 것이다.
지구 환경을 지키려면 전 세계가 협력하여 프레온 가스는 물론 대체품도 이제까지처럼 무제한으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그들을 사용한 후 회수해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일도 아주 중요하다.
5월 31일: 바다의 날
94년 11월 유엔 해양법의 발효를 계기로 해양자유이용 시대가 해양 분할 경쟁시대로 바뀌면서 해양을 둘러싼 국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국가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바다는 광물 자원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생물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부는 그 동안 해안 매립, 오염물 배출 등 바다 자원을 고갈시켜 왔으나 늦게나마 이 날을 지정하여 바다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는 계기로 삼고 있다.
6월 5일: 환경의 날
1972년 6월 5일부터 16일까지 스웨던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라는 구호 아래 인간환경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113개 나라와 3개 국제기구 및 257개 민간단체의 약 1,200명이 참가한 최초의 유엔차원의 환경회의였다. 이 날을 기념하여 해마다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정하였으며, 세계환경보전사업 시행기구로서 유엔환경계획(UNEP)을 창설하기도 하였다. 세계 환경의 날은 민간과 정부기구 구분없이 모두 기념하는 가장 중요한 환경기념일이라 할 수 있다.
6월17일: 사막화 방지의 날
1994년 제49차 유엔총회에서 "사막화 방지 협약"의 채택일인 94년 6월 17일을 기념하고자 지정하였다. 개간과 산성비 등으로 인하여 해마다 막대한 면적의 토지가 사막으로 변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 지구가 사막으로 변할 위기에 놓였다는 위기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막은 생물의 다양성이 파괴돈 지역으로 생물이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어려우며, 인간이 살기 불가능한 지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의 대지가 사막으로 변하는 것을 막고 인류의 안정적인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지구 재생 계획
이산화탄소 대책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는 화석 연료의 연소, 삼림 파괴나 시멘트 제조 과정 등을 통해서 발생한다. 1987년 기준으로 세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약 85억톤(탄소로 환산)이다. 온난화를 가속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적어도 1990년 수준으로 배출량을 억제하는 일과 더욱이 이를 방지하기 위해 30%의 삭감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를 억제하는 대책은 정책, 제도적인 방법과 기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 속하는 방법에는 에너지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배출을 직접 규제하는 것과 세금이나 과징금을 부과하는 방법, 배출권을 매매하는 국제적인 시장을 만들어 배출을 억제하는 등의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기술적인 방법으로서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배출이 적은 자연 에너지나 원자력의 사용, 화석 연료에서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주택의 단열화나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의 전환 등,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철저하게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일도 중요하다. 현재는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지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지, 수소 에너지 등 무공해 에너지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가까운 시일 내에 실용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심해저 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대기 중에 존재하고 있는 양을 줄이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심해저 저장 계획'은 액화시킨 이산화탄소를 심해의 구덩이에 저장하는 계획이다. 이산화탄소는 고압저온 상태가 되면, 바닷물보다 무거워져 가라앉게 되어, 표면이 셔벳 (sherbet; 과즙에 향로나 설탕 등을 넣은 청량 음료)처럼 되어 바닷물로 퍼지기 어려워진다. 이런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심해의 구덩이에 주입하면, 해저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서서히 해저로 흩어지면서, 생물 시체가 쌓여 생긴 탄산칼슘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심해의 진흙과 중화되어 무해한 중탄산 이온으로 바뀔 것이다. 현재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이나 해양에서의 이산화탄소 순환 등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가 진행 중인 이 계획이 성공적으로 실시되면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부터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고정화 시스템'은 미생물을 배양한 탱크에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시키는 계획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매우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탱크에서 대량으로 배양하고, 화력 발전소 등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탱크에 공급하여 광합성을 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효율 면에서는 다소 떨어지지만 생물의 이용은 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라 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관리대책
광화학스모그로 유명한 LA의 전경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오존(O3)발생의 원인물질로 작용하여 오존오염도 증가 및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고 식물의 고사 및 고무제품, 섬유류를 조기 노화시키며 발암성 및 위해성 등이 있어 인체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 물질은 대기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으나 운행차에 대해서만 탄화수소의 배출허용을 설정 시행하고 있어 구체적 배출억제 및 방지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1995년 대기환경보전법을 개정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배출하는 주유소, 저유소, 석유정제시설 및 저장시설등에 대해 배출억제 및 방지시설을 설치토록 하였다. 동 규정은 1999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지식은 계속하여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앞에는 아직도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가 무한히 열려 있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탐험의 시대가 놓여 있다. 지구상에 생명체가 살아 있는 생명의 땅, 지구를 지속적으로 가꾸어 나가는 한, 우리는 이 탐험을 영원히 멈추어서는 안될 것이다.
지구 환경을 지키려면 전 세계가 협력하여 프레온 가스는 물론 대체품도 이제까지처럼 무제한으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그들을 사용한 후 회수해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일도 아주 중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에서 호흡기계와 관련된 영어아티클(논문)해석하기
Electronic Device Cooling-냉각장치
환경문제와 환경윤리
화석연료사용과 기후변화 연관성, 기후변화 국제협약의 내용과 각국의 대응, 산업계의 대응
기후 변화와 대책
지구온난화의 모든 것
21세기 경영학(경영학의 기초개념)
[생태건축][생태건축의 미래경쟁력][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추진방향]생태건축의 정의,...
기술 경영
hemoperfusion
바이오 에너지 개발 현황과 과제
<국제금융론 기말고사> 모범답안 (환율제도와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최적통화지역과 통화· 금...
지구 온난화와 빙하기의 상관성 그리고 그 결과 -영화 “투모로우 (The Day After Tomorrow)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