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독특한 커뮤니케이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우회적으로 귀엽다라고 표현을 한다.이는 칭찬을 할 때도 마찬가지여서 ‘잘해서 좋겠다’라는 것보다 ‘나도 너처럼 잘하면 좋겠다’라는 표현을 많이 쓰게된다.또한 ex.25)의 경우 우리는 중요한 일이 있을 경우 본론부터 나가지 않고 가벼운 이야기를 시작하다가 중요한 일을 나중에 말을 한다.
일상생활에 대한 폭을 좀 더 높여 광고의 예를 들어보면 유행하는 말을 많이 쓴다. 또한 ‘우리’라는 공동체를 가지고 하나라는 공동체 의식을 많이 갖는데 이를 노린 광고들도 많다. 한창 세계화로 외국의 문물이 들어왔을 때 외제의 선호로 우리 나라 물건들은 모두 외국것처럼 상표가 많이 만들어졌었으나 이제는 IMF와 함께 우리것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자 광고도 이와 맞춰 방향을 바꾸었다
< ex.26) 이자녹스, 겟 유즈드 >
< ex.27) 식물나라, 잠뱅이 >
ex.26)의 경우 외국것의 이미지를 심어주는데 반해 요즘은 각각 화장품명과 청바지명에서 식물나라, 잠뱅이와 같이 우리것임이 강하게 나타나는 ex.27)와 같은 것들이 속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월드컵 열풍과 더불어 우리 국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자극하여 많은 제품과 상품명,광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 ex.28) 월드껌, 16강 진출시 하나더, 16강 특별세일, 16강을 기원하며 TOEIC 강좌>
이는 월드컵 신드롬과 더불어 한국인의 한민족의식을 잘 이용한것이라 할수 있겠다.
3.결론
지금까지 전통문화와 더불어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관을 알아보았다. 유교의식, ‘예’에 관한 우리의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체의식, 질서의식 등을 알아 보았고 일상 생활에서 어떻게 그것이 커뮤니케이션이 되어 이루어지는가도 알아보았다
또한 한민족이라는 한국인의 뿌리깊은 의식에 맞춰 사회적 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광고에 이용하는 것도 알아보았다.
한국인은 인간 본위의 공동체의식과 질서의식을 가지고 유교에 따른 생활을 하며, 직관과 겸손에 대해 민감하며 이는 모두 전통문화와 깊게 관여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관은 전통문화와 현재 사회적 분위기와 연관이 되어 있다. 또한 현재 한국의 인식이 전통 문화에 기반을 두지만 전통 문화란 조금씩 변모하는 것이며 그러나 간접적이며 내재된 뜻을 따르며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는 등의 한국인 특유의 독특한 커뮤니케이션은 그리 쉽게 바뀌지 않는 것이다. 이는 다른 국가와는 구분되는 말 그대로 한국인의 독특한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2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