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비고 및 고찰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0.1618
6.18
0.0255
2.0613
1.8077
0.2925
0.7142
<실험계산>
1ℓ= 0.001㎥
물 밀도 = 1000(㎏/㎥) 이므로
1ℓ = 1000(㎏/㎥)×0.001(㎥) = 1(㎏)
1) V = 12.74 ×W(m/s)
2) = - 0.981
3) 힘 =
4) (측정)× (레버 축간거리) = 측정추×(y+레버 축간거리)
노 즐 의 직 경
10mm
측 정 추
612g
레 버 의 축 간 거 리
153mm
◆측정 장치의 규격
5. 비고 및 고찰
이번 분류 충격 실험은 분사되는 물이 다른 종류의 베인에 충돌할 때 그 베인이 받는 힘의 세기를 실험과 이론에 의해 구해보고 값을 비교해 보는 실험으로써
실험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지만, data sheet에 유량의 단위가 ㎏/s로 되어있어서 수조의 물이 차오르는 1ℓ당 시간(sec)을 측정하여 물의 밀도 1000㎏/㎥를 이용하여 실험값을 ㎏/s으로 환산하였다. 또한 을 구하기위하여 모멘트의 원리를 사용하였는데 참고자료에는 × 0.153 = 0.612 × y 로 되어있는데 모멘트의 원리로 힘을 측정하려면 y대신에 y+레버의 추간거리로 계산을 하는 것이 옳을 듯 싶어서 이렇게 계산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분류 충격 실험으로 같은 조건의 유량과 유속이라도 그 베인의 형태에 따라 받는 힘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값을 계산해낼 수 있었다.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이론대로 반구형의 베인이 받는 힘의 크기가 평판보다 두배 가량 크다는 것을 계산해낼수 있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추의 수평위치 측정이 정확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6.18
0.0255
2.0613
1.8077
0.2925
0.7142
<실험계산>
1ℓ= 0.001㎥
물 밀도 = 1000(㎏/㎥) 이므로
1ℓ = 1000(㎏/㎥)×0.001(㎥) = 1(㎏)
1) V = 12.74 ×W(m/s)
2) = - 0.981
3) 힘 =
4) (측정)× (레버 축간거리) = 측정추×(y+레버 축간거리)
노 즐 의 직 경
10mm
측 정 추
612g
레 버 의 축 간 거 리
153mm
◆측정 장치의 규격
5. 비고 및 고찰
이번 분류 충격 실험은 분사되는 물이 다른 종류의 베인에 충돌할 때 그 베인이 받는 힘의 세기를 실험과 이론에 의해 구해보고 값을 비교해 보는 실험으로써
실험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지만, data sheet에 유량의 단위가 ㎏/s로 되어있어서 수조의 물이 차오르는 1ℓ당 시간(sec)을 측정하여 물의 밀도 1000㎏/㎥를 이용하여 실험값을 ㎏/s으로 환산하였다. 또한 을 구하기위하여 모멘트의 원리를 사용하였는데 참고자료에는 × 0.153 = 0.612 × y 로 되어있는데 모멘트의 원리로 힘을 측정하려면 y대신에 y+레버의 추간거리로 계산을 하는 것이 옳을 듯 싶어서 이렇게 계산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분류 충격 실험으로 같은 조건의 유량과 유속이라도 그 베인의 형태에 따라 받는 힘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값을 계산해낼 수 있었다.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이론대로 반구형의 베인이 받는 힘의 크기가 평판보다 두배 가량 크다는 것을 계산해낼수 있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추의 수평위치 측정이 정확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