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매(Dementia): 언어적 의사소통장애(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목표
4.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목표
4.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께 약을 잘 삼키고 투약에 협조했다. 투약 후 유의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아리셉트 에비스 정 5㎎ P.O H.S
16. 재활의학과에서 언어치료 의뢰하여 언어치료사와 함께 단어 카드로 단어 맞추기, 동화책 읽기, 글씨 쓰기, 대화, 단어 퍼즐 등 여러 프로그램으로 주 3회(월, 수, 금) 언어치료를 시행했다.
17. 요양보호사님, 보호자(자녀)에게 만성적으로 나아지지 않고 계속 악화되는 치매의 특성과, 인지 저하가 심할수록 언어능력도 감소되며 이로 인해 점차 의사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18. 요양보호사님, 보호자(자녀)에게 사용하지 않는 기능은 더욱 빠르게 쇠퇴하므로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어려워하더라도 매일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했다. 대상자와 의사소통 시 대상자가 느리게 말하거나 횡설수설하더라도 대상자의 말을 끝까지 듣고, 이해못할경우 천천히 반복해서 말하며, 추상적이거나 복잡한 표현보다는 명확하고 단순한 표현, 폐쇄형 질문으로 대상자가 이해하고 표현하기 쉬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지도했다. 언어능력이 저하된 치매 대상자와의 소통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으므로 대상자가 언어적으로 표현을 못하더라도 표정과 행동 또는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며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과 대상자의 정면에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의사소통을 좀 더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했다. 교육 후 이러한 내용이 정리된 유인물을 제공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1일 후 대상자의 언어능력 정도, 언어적 습관에 적절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수립했다(간호수행 5번 참고). 달성
② 2일 후 대상자는 언어치료 의뢰하여 언어치료사와 함께 단어 카드로 단어 맞추기, 동화책 읽기, 글씨 쓰기, 대화, 단어 퍼즐 등 여러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언어치료에 참여했다. 대상자는 치료 일정에 따라 주 3회 언어 치료를 받는다. 달성
③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돌봄제공자 또는 의료진과 매일 5분까지 대화가 이어지지 않아 하루 2~3분 정도 대화를 나누었다. 미달성
④ 교육 후 대상자의 가족, 돌봄제공자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했다. 달성
▷자녀: 단순 명료하고 천천히 말하기, 비언어적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기
▷요양보호사: 천천히 간단하게 정확하게 말하기, 말을 끝까지 듣기
⑤ 교육 후 대상자의 가족, 돌봄제공자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대상자의 자녀가 대상자에게 말할 때는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보다 느리게, 천천히 말하면서 발음을 더 또박또박하고 명확히 말하는 것을 관찰했다.
▷요양보호사님이 대상자가 문맥에 맞지 않는 말, 사실이 아닌 말을 해도 논쟁하지 않고 끝까지 듣는 모습을 관찰했다.
장기목표
①, ②, ③ 관찰기간 1주일 동안 대상자의 인지기능은 변화없이 동일했고, 하루 2~3분 정도의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었으며, 비언어적 표현에 많이 의존하면서 간단한 표현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적절한 전략의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루 10분 동안 대화를 나누기는 어려워보이며 관찰기간이 짧아 장기목표는 인지기능, 언어능력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관찰, 중재하면서 추후 평가가능하다 진행 중
참고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논문: 『치매의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연구』(2015). 한국언어치료학회. 언어치료연구. vol.24, no.4, p.113- 123. 손은남
논문: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화용언어 능력』(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1, p.63-78. 고은
논문: 『보호자가 인식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p.227-246. 이종호 외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16. 재활의학과에서 언어치료 의뢰하여 언어치료사와 함께 단어 카드로 단어 맞추기, 동화책 읽기, 글씨 쓰기, 대화, 단어 퍼즐 등 여러 프로그램으로 주 3회(월, 수, 금) 언어치료를 시행했다.
17. 요양보호사님, 보호자(자녀)에게 만성적으로 나아지지 않고 계속 악화되는 치매의 특성과, 인지 저하가 심할수록 언어능력도 감소되며 이로 인해 점차 의사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18. 요양보호사님, 보호자(자녀)에게 사용하지 않는 기능은 더욱 빠르게 쇠퇴하므로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어려워하더라도 매일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했다. 대상자와 의사소통 시 대상자가 느리게 말하거나 횡설수설하더라도 대상자의 말을 끝까지 듣고, 이해못할경우 천천히 반복해서 말하며, 추상적이거나 복잡한 표현보다는 명확하고 단순한 표현, 폐쇄형 질문으로 대상자가 이해하고 표현하기 쉬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지도했다. 언어능력이 저하된 치매 대상자와의 소통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으므로 대상자가 언어적으로 표현을 못하더라도 표정과 행동 또는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며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과 대상자의 정면에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의사소통을 좀 더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했다. 교육 후 이러한 내용이 정리된 유인물을 제공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1일 후 대상자의 언어능력 정도, 언어적 습관에 적절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수립했다(간호수행 5번 참고). 달성
② 2일 후 대상자는 언어치료 의뢰하여 언어치료사와 함께 단어 카드로 단어 맞추기, 동화책 읽기, 글씨 쓰기, 대화, 단어 퍼즐 등 여러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언어치료에 참여했다. 대상자는 치료 일정에 따라 주 3회 언어 치료를 받는다. 달성
③ 5일 동안 대상자는 가족, 돌봄제공자 또는 의료진과 매일 5분까지 대화가 이어지지 않아 하루 2~3분 정도 대화를 나누었다. 미달성
④ 교육 후 대상자의 가족, 돌봄제공자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했다. 달성
▷자녀: 단순 명료하고 천천히 말하기, 비언어적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기
▷요양보호사: 천천히 간단하게 정확하게 말하기, 말을 끝까지 듣기
⑤ 교육 후 대상자의 가족, 돌봄제공자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대상자의 자녀가 대상자에게 말할 때는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보다 느리게, 천천히 말하면서 발음을 더 또박또박하고 명확히 말하는 것을 관찰했다.
▷요양보호사님이 대상자가 문맥에 맞지 않는 말, 사실이 아닌 말을 해도 논쟁하지 않고 끝까지 듣는 모습을 관찰했다.
장기목표
①, ②, ③ 관찰기간 1주일 동안 대상자의 인지기능은 변화없이 동일했고, 하루 2~3분 정도의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었으며, 비언어적 표현에 많이 의존하면서 간단한 표현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적절한 전략의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루 10분 동안 대화를 나누기는 어려워보이며 관찰기간이 짧아 장기목표는 인지기능, 언어능력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관찰, 중재하면서 추후 평가가능하다 진행 중
참고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논문: 『치매의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연구』(2015). 한국언어치료학회. 언어치료연구. vol.24, no.4, p.113- 123. 손은남
논문: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화용언어 능력』(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1, p.63-78. 고은
논문: 『보호자가 인식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p.227-246. 이종호 외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