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연구문제의 선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사방법론] 연구문제의 선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학생들의 이성교제는 그들의 여가문화 및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가?

2. 최근의 이슈가 되고 있는, UCC(User Created Contents)가 인터넷의 변화와 네 티즌의 인터넷 사용 문화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3. 하나모쿠(LOHAS ;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현상이 직장인들 의 생활에 미친 영향은?

4. 대학생들의 공무원 시험 올인 현상, 또는 ‘공시족’ 양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5. 투글족 또는, 인터넷 용어의 남발이 한글파괴현상과 세대 간 언어장벽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내용

을 보면 말을 많이 줄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에서 예를 든 것처럼, 쌩얼(화장기 없는 맨 얼굴), 안습(안구에 습기 눈물이 난다), 지대(제대로)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예전부터 유행했던 얼짱(얼굴이 짱 잘생긴 사람), 얼꽝(얼굴이 꽝인 못생긴 사람), 츄릅(먹고 싶다) 등. 대체로 이런 식이다.
‘투글족’. 영어의 ‘TWO’와 한글의 ‘글’ 그리고 한문의 ‘족(族)’의 합성어이다. 글 줄이기에 익숙한 네티즌이 안습(눈물을 흘리다), 지대(제대로) 등 어떤 사람사물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 두 글자로 줄여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투글 습성’이 온라인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도 이어진다는 데 있다. 예를 들면, “엄마, 오늘 반찬 완전 므흣이예요.” 라고 한다면 과연 그 말을 “엄마, 오늘 반찬 너무 맛있어요.”라고 이해하는 어른들이 몇 명이나 있을까? 더군다나 초등학생의 경우는 이러한 ‘투글 습성’에 너무나 쉽게 중독되어 버려서 무분별하게 말을 줄이고 있다. 예를 들면, 겨털(겨드랑이 털), 생파(생일파티), 븅딱(병신 코딱지) 등 뜻을 이해하기는커녕 우리 나라말인지 의심이 갈 정도라는 데 그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는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2.2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