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L, DM, R/O HF, R/O cardiac asthma 간호사례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HL, DM, R/O HF, R/O cardiac asthma 간호사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부, 수유부, 근육장애
ativan
정신신경용제
IV
마취전 투약, 불안, 긴장, 급성 조증
중증근무력증,급성협우각 녹내장, 중증의 호흡부전,수면무호흡증후군
dormicum
최면진정제
IV
진정, 기관지경검사 등의 검사전 진정목적으로 투여, intubation시 근육이완시키기 위함
중증근무력증,급성협우각 녹내장, 중증의 호흡부전,수면무호흡증후군
humulin R
당뇨병용제
SC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저혈당증, 본제와 본제성분에 과민반응
aminophyllin
강심제
IV
기도 폐쇄장애에 의한 호흡곤란등 증상완화,울혈성심부전,관상혈관장애,체인스톡형호흡,
신성부종
위십이지장궤양,본제 부작용기왕력자
rituximab
항암제
IV
재발성 EH는 화학요법제 내성의 여포형 림프종(B세포 비호지킨림프종),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UVH형 림프종
본제 구성성분이나 설취동물 유래 단백에 대한 과민증
doxorubicun
항암제
IV
악성임파종, 소화기암, 급성골수성 백혈병 유방암, 난소암, 폐암, 기관지암, 방광암, Wilm`s종양
심기능이상 또는 그 기왕력자, 본제 중증 과민반응 기왕력자, 항악성종양제 방사선 조사 등 이전 치료에 의한 골수억제 독소루비신, 안트라사이클린계약물, 임부 수유부, 페니토인 투여받는 환자
cyclophosphamaide
항암제
IV
악성질환(악성임파종, 호지킨병, 임파구림파종, 혼합세포혀임파종, 버키트임파종, 다발성골수종,백혈병 등)
펜토스타틴 투여자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자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1.산소공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O:호흡곤란 (+)
(⇒흉부가 빠르게 오르내리고 숨소리가 거칠게 들림.)
PCO2가 53.7임.
PO2가 62.4임.
호흡곤란이 완화되며 PCO2,PO2가 정상치로 안정되었다.
ㆍ호흡양상을 사정한다.
ㆍ활력징후를 측정한다.
ㆍ반좌위를 취해준다.
ㆍ흡인을 한다.
ㆍ담당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산소를 투여하고, 동맥혈 가스분압 결과를 관찰한다.
ㆍ안정을 취하고 가급적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설명한다.
그날 ventilator를 달았으며, 다음날 PCO2는 26.2 PO2는 96.2로 안정되었다.
#2.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O:호흡곤란 (+)
(⇒흉부가 빠르고 높게 오르내림.)
ventilator로 호흡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남.
R: 34회
ㆍ객담을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호흡한다.
ㆍ호흡시 더 이상 객담이 끓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ㆍ호흡수가 정상이다.
ㆍ호흡양상을 사정한다.
ㆍ좌위를 취해준다.
ㆍ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기침, 심호흡을 하도록 환자를 도와준다.
ㆍ적절한 습도를 제공한다.
ㆍ기침을 자극시키고 상하기도의 청결을 위해 흡인을 한다.
ㆍ객담상태를 관찰한다.
더 이상 가래 끓는 소리가 나지 않으며 호흡수가 22회로 안정되었다.
#3.질병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부족
S:나는 괜찮아..집에 가야돼...
O:소변줄,콧줄을 빼내려 함.
환자는 지시된 치료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ㆍ지식정도를 사정한다.
ㆍ소변줄,콧줄을 끼어 놓아야 하는 이유와 환자의 질병에 대해 환자교육과 함께 보호자 면회시간에 보호자께도 설명드린다.
변함없는 모습임.
#4. 감각장애 및 증가된 감염감수성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O:피부가 거칠고 엉덩이와 팔, 허벅지 안쪽의 poly를 붙인 부분에 군데군데 redness관찰됨.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며 피부는 깨끗하고 탄력성이 있다.
ㆍ피부상태를 관찰한다.
ㆍ압력받기 쉬운 부분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ㆍ소변줄 등의 line을 붙일 때 아래에 거즈를 대어 준다.
ㆍ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ㆍ외상을 입지 않도?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poly 아래 부분의 redness는 감소되었으나, 그 외의 부위는 여전함.
#5.골수기능 억제와 관련된 잠재성 감염
O:BT 37.4°C 로 미열 있음.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lymphocyte의 수치가 2.0로 떨어져 있음.
감염증상이 없으며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이다.
ㆍ활력징후를 측정한다.
ㆍ피부와 점막이 상처받지 않도록 한다.
ㆍ열감,부종을 관찰한다.
ㆍ방문객을 제한한다.
ㆍ임상검사결과를 확인한다.
BT36.2~37°C로 유지되고 있음.
#6. 빈혈과 관련된 피로
S:힘들고 몸이 많이 늘어지네..
O: WBC: 2200
RBC: 36만
Hct: 33%
피로감을 덜 느끼며, 적혈구와 헤마토크릿 수치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ㆍlab 결과를 확인한다.
ㆍ대상자의 피로감정도를 사정한다.
ㆍ일정한 시간동안 휴식을 취하도록 도와준다.
ㆍ영양가 있는 음식 및 수액을 제공한다.
변함없이 피로하고 늘어지는 모습 관찰됨
#7.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관련된 영양과다
O:표준체중의 10kg이상 초과함.
(중등도 비만)
DM 있음.
.
체중이 감소되어 표준체중에 도달한다.
ㆍ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ㆍ 평소 식습관을 사정한다.
ㆍ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비만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설명한다.
ㆍ 체중감소를 위해 현실적 목표를 설정한다.
ㆍ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한다.
ㆍ 보호자와 환자에게 퇴원 후 지켜야할 바람직한 식습관을 교육한다. (염분이 많은 식이와 고콜레스테롤, 단 음식을 경우에 따라 제한하도록 한다.)
ㆍ필요 시 영양사와 상담한다.
아직 평가 불가능함.
Ⅴ. 결론
본인은 이 환자를 간호사례연구자로 선정하여 계속적인 치료과정에 참여하며 스스로 나름대로의 진단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 실천하였다. 안타깝게도 대상자의 건강이 호전되지는 않았지만, 안위증진에는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교수님의 말씀대로 한 대상자에 대하여 전인간호를 실천해 보려고 노력했지만 대상자와 의사소통도 힘이 들고 보호자와의 면담도 쉽지 않아 사례연구가 힘들었다. 그래서 생각만큼 잘 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쉽고 미련이 남는다.
다음에 다시 중환자실에 올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대상자와 그 질병에 대해 좀더 깊은 이해를 가지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2004/현문사
성인간호학/ 서문자외/2004/수문사
성인간호실습지침서/이은자 외/2000/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2005/서울대학교출판부

키워드

당뇨병,   비호지킨,   사례연구,   간호,   중환자실,   DM,   NHL,   ICU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0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