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穀菜과목 수석 복기 금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穀菜과목 수석 복기 금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服。)
백아미모는 음식에 목맴에 태운 재를 음료에 복용한다.
鷄 (멀떠구니, 모이주머니 소; 口-총13획; su)
계소
(氣不通,燒硏,入木香、沈香、丁香、紅棗丸服。)
닭모이주머니는 열격으로 기가 소통하지 않음에 태워 갈아 목향, 침향, 정향을 넣고 홍색 대추로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狼喉結
승냥이 후두 결
(疾,硏,以五分入飯食。)
낭후결은 열격병에 햇볕에 말려 갈아서 2g을 밥에 넣어서 먹는다.
白水牛喉
백색물소후두
(膈,結腸不通,醋炙五次,爲末,每服一錢,飮下,立效。)
열격, 결장으로 소통하지 않고 식초로 5차례를 구워서 가루내어 매번 4g을 마셔 연하하면 곧 효과가 있다.
狗寶
구보
(食病,每用一分,以威靈仙、食鹽浸水服,日三服,三日愈。)
구보는 음식이 목메는 병에 매번 0.4g을 사용하고 위령선과 식염을 물에 담가서 하루에 세 번 복용하길 3일하면 낫는다.
黃狗膽
황색 개담
(和五靈脂末,丸服。)
황구담은 오령지가루와 함께 환제로 복용한다.
狗屎中粟
개똥 속 좁쌀
(膈吐食,淘 淘(일, 씻다, 깨끗하게 헹구다 도; 水-총11획; tao)
淨煮粥,入白、沈香 末食。)
구시중속은 열격 토식에 일어 깨끗하게 달인 죽에 해백, 침향가루를 넣고 먹는다.
狸骨
이골
(病不通飮食,炒硏白湯服。)
이골은 열격병으로 음식을 통하지 못함에 볶아서 갈아서 백탕으로 복용한다.
羚羊角
영양각
(塞不通,硏末,飮服二錢,日三。)
영양각은 열격으로 막혀 소통하지 않음에 간 가루를 8g을 마셔 복용하길 하루에 세 번한다.
野人糞
야인의 대변
(治膈,同阿魏末,以薑片食。)
야인분은 열격을 치료하기 아위가루와 함께 생강편으로 담가 먹는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0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