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되기 때문이다. 관객은 화면의 강력한 스타 이미지 앞에서 거울상 단계의 경험을 하며 그 이미지와의 관음주의적 접촉을 통해 자신만이 발견했다고 여겨지는 스타의 상을 포착하고 그것을 물신으로서 숭배하게 된다. 오늘날엔 영화뿐 아니라 록 음악, 스포츠 영역에까지 스타 현상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들은 종종 광고에 동원되어 그들의 스타일의 차이 체계에 기초해 새로운 상품의 이미지를 생산해 내도록 조직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스타 시스템이 경제적, 이데올로기적으로 기존의 사회체계를 재생산해 내는 여러가지 메커니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스타라는 말을 닥치는 대로 사용함으로써 이제는 ‘슈퍼스타’ 란 신조어가 생기게 되었지만, 이 말 또한 몇년 지나면 지금의 ‘스타’와 같이 그 의미가 희석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