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호의 매개적 특성
2) 말의 기능
① 신호 기능과 의미 기능
② 사회적 기능과 개인적 기능
③ 의사소통 기능과 지적 기능
④ 지시 기능과 상징 기능
3) 언어와 사고
①언어발달의 4단계
② 사고발달 : 개념발달
③ 언어발달과 사고발달의 단계
2) 말의 기능
① 신호 기능과 의미 기능
② 사회적 기능과 개인적 기능
③ 의사소통 기능과 지적 기능
④ 지시 기능과 상징 기능
3) 언어와 사고
①언어발달의 4단계
② 사고발달 : 개념발달
③ 언어발달과 사고발달의 단계
본문내용
나 이 단계에서 언어적 사고가 결코 모든 형태의 사고와 언어를 조합하는 것은 아니다. 언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고의 광대한 영역이 있다. 실제적 지능과 아울러 도구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사고가 이 영역에 속한다.
언어와 사고의 발달과 관련해서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각 발달의 후기 단계가 단순히 초기 단계의 연속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내적인 말과 언어적 사고의 발달을 동물의 세계 및 초기 아동기에 나타나는 말이나 지능과 비교하면서 비고츠키는 후기 단계는 초기 단계의 단순한 연속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발달의 본질적인 성격이 생물학적인 것에서부터 사회역사적인 것으로 변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언어적 사고는 생득적이고 자연적인 행동 유형이 아니고 문화역사적 과정에 의해 결정되며, 사고와 언어의 자연적인 형태에서 찾을 수 없는 속성과 법칙을 갖는다. 즉 이 지점이 발달의 본질 자체가 생물학적인 것에서 사회역사적인 것으로 변하게 된다. 한편 비고츠키는 내적인 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이 사고발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내적인 말은 기능적 변화와 구조적 변화의 오랜 누적을 통해 발달한다.
그것은 말의 사회적 기능과 자기중심적 기능의 분화와 더불어 아동의 외적인 말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에서 기본적이고도 필연적인 사실이 나타나게 된다. 즉 사고는 말에, 사고의 수단에, 아동의 사회문화적 경험에 달려있게 된다. 내적인 말의 발달은 외부로부터 제한받는다. 다시 말해 아동의 사고발달은 사고의 사회적 수단인 말의 숙달에 달려있다.
언어와 사고의 발달과 관련해서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각 발달의 후기 단계가 단순히 초기 단계의 연속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내적인 말과 언어적 사고의 발달을 동물의 세계 및 초기 아동기에 나타나는 말이나 지능과 비교하면서 비고츠키는 후기 단계는 초기 단계의 단순한 연속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발달의 본질적인 성격이 생물학적인 것에서부터 사회역사적인 것으로 변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언어적 사고는 생득적이고 자연적인 행동 유형이 아니고 문화역사적 과정에 의해 결정되며, 사고와 언어의 자연적인 형태에서 찾을 수 없는 속성과 법칙을 갖는다. 즉 이 지점이 발달의 본질 자체가 생물학적인 것에서 사회역사적인 것으로 변하게 된다. 한편 비고츠키는 내적인 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이 사고발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내적인 말은 기능적 변화와 구조적 변화의 오랜 누적을 통해 발달한다.
그것은 말의 사회적 기능과 자기중심적 기능의 분화와 더불어 아동의 외적인 말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에서 기본적이고도 필연적인 사실이 나타나게 된다. 즉 사고는 말에, 사고의 수단에, 아동의 사회문화적 경험에 달려있게 된다. 내적인 말의 발달은 외부로부터 제한받는다. 다시 말해 아동의 사고발달은 사고의 사회적 수단인 말의 숙달에 달려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