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休閑法의 극복
3. 中國 農法과의 비교
4. 技術發達과 新興士族
2. 休閑法의 극복
3. 中國 農法과의 비교
4. 技術發達과 新興士族
본문내용
서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忠宣王이 元帝로부터 寶陀寺(보타사) 行香(행향)을 허락받아 만권당에 초치된 이제현 권찬공 등과 함께 강 절을 유력하였다.
恭愍王 11년의 백문보는 수차 제조를 건의하였다. 수차의 이로움을 말하면서 이앙법의 보급까지를 기대하는 이 건의가 강남농법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을 깊이 한 것임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이렇게 처음 시작된 수차 제조의 활용문제는 新王朝에 들어와서도 계속 그 방도의 강구가 모색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世宗 11년 12월 통신사 박서생이 일본에도 그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고하자 이에 더욱 자극받아 다음해부터 世宗 17년까지 다각적인 시험이 행해졌다. 역성혁명 후 신왕조가 취한 여러 농업정책 중 수리시설의 확충은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였다. 도작이 경지 시비 등에서는 이미 강남의 수준에 이르렀으면서도 직파법을 그대로 답습한 것은 바로 이의 제약으로 인한 것 이었다. 전통적인 堤堰(제언)의 정비 보강을 위한 정책은 이미 태종대에 시작되었지만 世宗 대에 시험된 수차법은 하천의 물을 바로 관개수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자와는 차원이 다르다. 비록 수차의 시험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관개개선을 위한 노력은 文宗 대에 곧 川防사업의 강화로 이루어진다. 천방은 당시에 이미 我國自來의 것이라고 말해지기도 하지만, 실상은 아직 제언에 비해 그 이용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면 그것은 洑(보)라고 하여 제언에 못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격적인 발전은 실상 이때부터 새로이 시작된 것이었다. 이 시기에서의 천방의 중요성에 대한 재발견은 농지의 조건이 전반적으로 하습지로 이동됨에 따라 하천수 활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그 과정에서 역시 중국의 것이 자극이 컸다. 천방사업은 반대의 논란이 적지 않았지만, 결국 관개법 논의에서 제언과 함께 항시 거론되는 위치를 차지하며 크게 보급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수차천방을 중심한 관개기술 개선을 위한 노력은 신흥사족 계열의 농업기술 개발의 목표가 강남농법의 실현에 있었음을 말해주는 다른 일면이다. 그들의 이런 노력은 강남농법 자체가 가장 선진적인 것으로 역사적 정당성이 인정될뿐더러, 피지배층과의 관계에서도 그들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자리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의 하나였다고 생각된다. 신흥사족층의 생산력 증진을 위한 노력은 『농상집요』의 구입과 편간에서도 살필 수 있다. 이 책은 村(계촌) 이과가 忠定王 즉위 때 신왕을 모시고 연경을 왕래하면서 처음 가져왔다. 이 책은 농업기술 자체는 화북농법을 주 대상으로 하여 선진적인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신흥사족 스스로가 본래 가진 「理生」의 방도에 대한 관심이 이 책의 장점과 가치를 발견하여 보급하기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농상집요』는 사실 신왕조에서 『四時纂要(사시찬요)』와 함께 『제민요술』 단계의 주요 농법을 정리, 이해하는데 적지 않게 활용되었지만, 그 자체의 선진적인 기술보급의 역할은 오히려 양잠·양축의 분야에서였다. 특히 양잠에서 이 책은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恭愍王 11년의 백문보는 수차 제조를 건의하였다. 수차의 이로움을 말하면서 이앙법의 보급까지를 기대하는 이 건의가 강남농법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을 깊이 한 것임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이렇게 처음 시작된 수차 제조의 활용문제는 新王朝에 들어와서도 계속 그 방도의 강구가 모색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世宗 11년 12월 통신사 박서생이 일본에도 그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고하자 이에 더욱 자극받아 다음해부터 世宗 17년까지 다각적인 시험이 행해졌다. 역성혁명 후 신왕조가 취한 여러 농업정책 중 수리시설의 확충은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였다. 도작이 경지 시비 등에서는 이미 강남의 수준에 이르렀으면서도 직파법을 그대로 답습한 것은 바로 이의 제약으로 인한 것 이었다. 전통적인 堤堰(제언)의 정비 보강을 위한 정책은 이미 태종대에 시작되었지만 世宗 대에 시험된 수차법은 하천의 물을 바로 관개수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자와는 차원이 다르다. 비록 수차의 시험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관개개선을 위한 노력은 文宗 대에 곧 川防사업의 강화로 이루어진다. 천방은 당시에 이미 我國自來의 것이라고 말해지기도 하지만, 실상은 아직 제언에 비해 그 이용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면 그것은 洑(보)라고 하여 제언에 못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격적인 발전은 실상 이때부터 새로이 시작된 것이었다. 이 시기에서의 천방의 중요성에 대한 재발견은 농지의 조건이 전반적으로 하습지로 이동됨에 따라 하천수 활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그 과정에서 역시 중국의 것이 자극이 컸다. 천방사업은 반대의 논란이 적지 않았지만, 결국 관개법 논의에서 제언과 함께 항시 거론되는 위치를 차지하며 크게 보급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수차천방을 중심한 관개기술 개선을 위한 노력은 신흥사족 계열의 농업기술 개발의 목표가 강남농법의 실현에 있었음을 말해주는 다른 일면이다. 그들의 이런 노력은 강남농법 자체가 가장 선진적인 것으로 역사적 정당성이 인정될뿐더러, 피지배층과의 관계에서도 그들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자리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의 하나였다고 생각된다. 신흥사족층의 생산력 증진을 위한 노력은 『농상집요』의 구입과 편간에서도 살필 수 있다. 이 책은 村(계촌) 이과가 忠定王 즉위 때 신왕을 모시고 연경을 왕래하면서 처음 가져왔다. 이 책은 농업기술 자체는 화북농법을 주 대상으로 하여 선진적인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신흥사족 스스로가 본래 가진 「理生」의 방도에 대한 관심이 이 책의 장점과 가치를 발견하여 보급하기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농상집요』는 사실 신왕조에서 『四時纂要(사시찬요)』와 함께 『제민요술』 단계의 주요 농법을 정리, 이해하는데 적지 않게 활용되었지만, 그 자체의 선진적인 기술보급의 역할은 오히려 양잠·양축의 분야에서였다. 특히 양잠에서 이 책은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추천자료
★ 이탈리아 르네상스 VS 북부 유럽의 르네상스 ★
르네상스에 대한 자료조사
통합한국사 요약자료
2012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여성장애인 복지향상을 위한 욕구조사 보고서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2013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커피][커피전문점][커피 기원][커피 발전][커피 재배][던킨도너츠][스타벅스][다빈치커피]커...
[책요약] 여성다운 여성이 되려면 (저자 엘리사베스 엘리오트)
브라질 개관
ABB의 인적자원관리,ABB의 조직구조 인적자원관리,ABB의 매트릭스 글로벌 조직 구조,ABB의 ...
꼭두각시놀음, 북청사자놀음
2017년 2학기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