딤채의마케팅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김치냉장고 시장상황
만조공조㈜의 김치냉장고 “딤채”

2. 시장기회분석
가. SWOT 분석
나. STP 분석

3. 마케팅전략
가. 4P(제품,가격,유통,촉진)
나. 마케팅프로그램
(1)마케팅
(2)소비자분석

4.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본문내용

1.김치냉장고 시장 현황
만조공조㈜의 김치냉장고 “딤채”
만도 공조가 내놓은 김치 냉장고 딤채는 땅 속에 묻은 김장김치맛을 재현한다는 아이디어 하나로 새로운 틈새시장을 창조했다. 즉 김치냉장고 딤채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 대표상품이다. 만도는 신거주문화(아파트)와 주부의 가사노동 탈피 욕구, 가정내 주부의 의사결정권 향상 등의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포착하여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킬 제품을 만들어 냈다. 한국인의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김치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김치 냉장고를 만든것이다, 만도의 김치냉장고는 자주 김치를 담는 어려움과 김장김치 보관의 어려움, 김치의 장기 보관, 공간 부족, 김치냄새의 문제를 해결할 주방 가전제품이다. 만도는 기존에 없던 제품을 만들어 새로 시장을 형성한 것은 물론 가전시장에 김치냉장고 돌풍을 일으켰다. 게다가 만도공조는 대기업도, 가전제품으로 이름이 알려진 기업도 아니었기 때문에 시장개척에 그만큼 어려움이 많았다. 95년 만도가 김치 냉장고를 개발했을 때에는 경쟁자가 전무한 새로운 시장이었으나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초기엔 이름조차 없었던 김치냉장고 시장이 2000년엔 90만대 6000억원규모로 급성장했고,
2003년엔 160여만대 1조 2000억원규모의 시장을 형성하여 일반냉장고를 추월하고있다.
이에 따라 김치냉장고는 에어컨,TV와 함께 ‘3대가전’으로 손꼽히고 있다.
김치냉장고의 이 같은 성장은 용도 다양화로 이른바 ‘4계절 상품’으로 변모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데 따른것으로 보인다. 또한 김치냉장고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가전업체치고 김치냉장고 시장에 뛰어들지 않은 회사가 없다. 경쟁사들은 김치냉장고 시장성이 확인된 97년 12월이후부터 우후죽순격으로 김치냉장고 브랜드를 출시하여 가전3사를 비롯 8~10개 제조사에서 35~40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 상황속에서 딤채는 높은 품질력과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의 김치냉장고로 출발, 시장규모를 키워가며 계속해서 시장점유율 1위를 구가하고있다.
2. 시장기회분석
가.SWOT 분석
(1) STRENGTH (강점)
①높은 기술력
만도공조가 34개월동안 34억원을 쏟아부어 개발한 ‘딤채’기술의 핵심을 김장 김치맛 의 재현이다. 이것은 뒤집어 말해서 김치 냉장고의 핵심이기도 하다. 아무리 기능이 많고 디자인이 예뻐도 결국 김치 냉장고를 구매하는 이유는 맛있는 김치를 먹기위해서 이다. 김치가 최고의 맛을 내려면 0~7도에서 일정기간 저온 숙성해야하고, 저온 숙서된 김치는 땅속에서처럼 기온변화가 적은 상태에서 저장되어야 그 맛깔스러운 맛이 제대로 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3.1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99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