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ed
780~622
Orange
622~597
Yellow
597~577
Green
577~492
Blue
492~455
Violet
455~390
[ 표-여러 종류의 색에대한 대략적인 파장범위 ]
6.고찰 및 결론
본 실험은 Michelson 간섭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간섭무늬의 변화를 관찰하여 빛의 파장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에서는 간섭계의 거울중 하나를 움직여서 빛의 파장을 구하고 간섭무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교적 간섭무늬를 찾는 것은 쉬웠다. 하지만 마이크로메타의 수치가 너무 정밀하여 마이크로메타를 돌리면서 사람의 눈으로 무늬 변화나 개수를 확인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 간섭차수의 변화개수를 평균으로 하여 파장을 구할 수 있었다. 무늬의 개수와 거울의 움직인 거리로부터 빛의 파장을 구할 수 있었다. 여기서 거리를 구할 때 마이크로메타와 거울이 움직이는 비가 5 : 1 이라는 것이 인식하여야 했다. Red-Filter에서는 간섭무늬를 관찰 할 수가 없었다. 그 이유는 붉은색의 파장 영역이 6220Å~7800Å인 반면에 우리가 관찰한 수은등의 파장영역은 5882Å으로 수은등이 Red-Filter보다 파장이 짧아 이를 통과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간섭무늬를 관찰할 수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어진다.표를 보면 실험에서의 측정한 파장들과 실제 파장이 비교적 비슷하게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마이캘슨 간섭계는 원리인 하나의 광선을 두 개로 쪼개고, 그것들을 다시 결합함으로써 간섭현상을 인위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간섭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현대광학실험 p.6~9
780~622
Orange
622~597
Yellow
597~577
Green
577~492
Blue
492~455
Violet
455~390
[ 표-여러 종류의 색에대한 대략적인 파장범위 ]
6.고찰 및 결론
본 실험은 Michelson 간섭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간섭무늬의 변화를 관찰하여 빛의 파장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에서는 간섭계의 거울중 하나를 움직여서 빛의 파장을 구하고 간섭무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교적 간섭무늬를 찾는 것은 쉬웠다. 하지만 마이크로메타의 수치가 너무 정밀하여 마이크로메타를 돌리면서 사람의 눈으로 무늬 변화나 개수를 확인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 간섭차수의 변화개수를 평균으로 하여 파장을 구할 수 있었다. 무늬의 개수와 거울의 움직인 거리로부터 빛의 파장을 구할 수 있었다. 여기서 거리를 구할 때 마이크로메타와 거울이 움직이는 비가 5 : 1 이라는 것이 인식하여야 했다. Red-Filter에서는 간섭무늬를 관찰 할 수가 없었다. 그 이유는 붉은색의 파장 영역이 6220Å~7800Å인 반면에 우리가 관찰한 수은등의 파장영역은 5882Å으로 수은등이 Red-Filter보다 파장이 짧아 이를 통과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간섭무늬를 관찰할 수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어진다.표를 보면 실험에서의 측정한 파장들과 실제 파장이 비교적 비슷하게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마이캘슨 간섭계는 원리인 하나의 광선을 두 개로 쪼개고, 그것들을 다시 결합함으로써 간섭현상을 인위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간섭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현대광학실험 p.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