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aier(1965) 의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차이점
2. 심리 사회적 발달 단계
(1) 에릭슨이 제시한 8단계의 특징
(2)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8단계
3. 자아정체성 발달과 부분위기
1) 자아정체성
① 시간 전망 대 시간 혼미
② 자기 확신 대 자의식
③ 역할 실험 대 역할고착
2. 심리 사회적 발달 단계
(1) 에릭슨이 제시한 8단계의 특징
(2)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8단계
3. 자아정체성 발달과 부분위기
1) 자아정체성
① 시간 전망 대 시간 혼미
② 자기 확신 대 자의식
③ 역할 실험 대 역할고착
본문내용
개인의 과거와 미래를 조정하고 미래의 가능성을 현재의 가능성과 통합해야 한다.
② 자기 확신 대 자의식
아동기의 자율성 대 수치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자기 확신 대 정체감의식의 위기와 결합된다. 자기확신은 과거가 의미있고 미래 뜻하는 바를 달성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 것이며, 자기점검 과정 중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하면 부정적 자의식을 갖고 무감각상태로 도피해버린다.
③ 역할 실험 대 역할고착
유희기의 솔선성대 죄책감은 청소년기에 있어 역할 실험 및 부정적 정체감위기와 결합된 다. 청소년기에는 많은 역할을 실험해보아야 하는데 너무 많은 선택에 당황하고 실험을 꺼리면 역할고착이 일어나 자기방어를 갖고 모든 기회를 무시하거나 거부한다.
④ 도제(견습) 대 활동 불능-직업적 자아정체성 확립
아동기의 근면성과 열등감은 청소년기에 견습 대 활동 불능으로 나타난다. 청소년기는 자신의 미래 직업과 관련된 자아역할의식을 뚜렷이 해야 한다. 직업적 생활은 일의 세계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식이 결여 될 때 작업을 수행하지 못해 활동 불능을 가져 올 수 있다
⑤ 성역할 인식 대 양성 혼미 - 성적 자아정체감 확립
성인초기의 친밀감대 고립감의 위기와 관련된다. 청소년기에는 자신의 남성성, 여성성에 따른 성역할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성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 이 과정에서 양성 혼미가 올 수 있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육체적 쾌락, 성적인 것에 도피하여 지적인,예술적인 활동에 몰입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성적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성에 관련된 생리적 및 심리적 지식도 익혀야 하고, 이성에 대한 환상적 선망이나 열등감을 극복하여 자신의 성을 떳떳이 수용하여야 한다.
⑥ 지도력과 수행 대 권위 혼미- 사회적 자아정체성 확립
성인기의 생산성 대 침체성의 위기에 대응된다. 국가, 부모, 애인, 친구 등 각기 다른 요구를 하며 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권위 혼미를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자아의 확립을 위해 젊은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책 임을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관념과 태도를 발달 시켜야 한다.
⑦ 이념 수행 및 가치관 혼미 - 철학적 정체성의 확립
청소년기의 최종적 발달위기는 인간의 통합성 대 절망감과 관련된다. 젊은이는 자신의 목표가 있고 사회 또한 그의 목표를 인정해주고 필요한 지지를 제공해 줄 것 이라는 믿음을 가져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한 경우 가치관 혼미 현상이 나타난다.
성숙된 철학적 자아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능력, 판단기준, 생활원칙을 갖고 있어야 하며 스스로 가치 있다고 판단한 것에 헌신감도 갖고 있어야 하며 행동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안범희 (2002). 성격심리학. 도서출판하우.
박노권 (1998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 8단계 이론의 분석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연구 (1989) 김형태
Erikson. (1964 ) Insight and Responsibility,
송명자 (1996) 발달심리학. 학지사
② 자기 확신 대 자의식
아동기의 자율성 대 수치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자기 확신 대 정체감의식의 위기와 결합된다. 자기확신은 과거가 의미있고 미래 뜻하는 바를 달성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 것이며, 자기점검 과정 중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하면 부정적 자의식을 갖고 무감각상태로 도피해버린다.
③ 역할 실험 대 역할고착
유희기의 솔선성대 죄책감은 청소년기에 있어 역할 실험 및 부정적 정체감위기와 결합된 다. 청소년기에는 많은 역할을 실험해보아야 하는데 너무 많은 선택에 당황하고 실험을 꺼리면 역할고착이 일어나 자기방어를 갖고 모든 기회를 무시하거나 거부한다.
④ 도제(견습) 대 활동 불능-직업적 자아정체성 확립
아동기의 근면성과 열등감은 청소년기에 견습 대 활동 불능으로 나타난다. 청소년기는 자신의 미래 직업과 관련된 자아역할의식을 뚜렷이 해야 한다. 직업적 생활은 일의 세계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식이 결여 될 때 작업을 수행하지 못해 활동 불능을 가져 올 수 있다
⑤ 성역할 인식 대 양성 혼미 - 성적 자아정체감 확립
성인초기의 친밀감대 고립감의 위기와 관련된다. 청소년기에는 자신의 남성성, 여성성에 따른 성역할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성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 이 과정에서 양성 혼미가 올 수 있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육체적 쾌락, 성적인 것에 도피하여 지적인,예술적인 활동에 몰입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성적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성에 관련된 생리적 및 심리적 지식도 익혀야 하고, 이성에 대한 환상적 선망이나 열등감을 극복하여 자신의 성을 떳떳이 수용하여야 한다.
⑥ 지도력과 수행 대 권위 혼미- 사회적 자아정체성 확립
성인기의 생산성 대 침체성의 위기에 대응된다. 국가, 부모, 애인, 친구 등 각기 다른 요구를 하며 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권위 혼미를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자아의 확립을 위해 젊은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책 임을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관념과 태도를 발달 시켜야 한다.
⑦ 이념 수행 및 가치관 혼미 - 철학적 정체성의 확립
청소년기의 최종적 발달위기는 인간의 통합성 대 절망감과 관련된다. 젊은이는 자신의 목표가 있고 사회 또한 그의 목표를 인정해주고 필요한 지지를 제공해 줄 것 이라는 믿음을 가져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한 경우 가치관 혼미 현상이 나타난다.
성숙된 철학적 자아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능력, 판단기준, 생활원칙을 갖고 있어야 하며 스스로 가치 있다고 판단한 것에 헌신감도 갖고 있어야 하며 행동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안범희 (2002). 성격심리학. 도서출판하우.
박노권 (1998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 8단계 이론의 분석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연구 (1989) 김형태
Erikson. (1964 ) Insight and Responsibility,
송명자 (1996) 발달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우리나라의 드림스타트 사업과 해외의 헤드스타트와 슈어스타트 사업의 내용을 살펴보고 시사...
(인간과교육)1)주입식 교육관과 이와 대비되는 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빈곤, 소외계층 아동에게 꼭 필요한 복지서비스에 대해 기술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에릭슨의 성격발달8...
방통대 3학년 인간과교육 과제물
[전생애발달] 인간발달이론(심리성적 발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인지적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