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란?
■ 전기 모터의 종류
■ 하이브리드 운전 시스템
■ 하이브리드차 장 • 단점
■ 개발동향
■ 일본 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
■ 마무리
■ 참고문헌
■ 전기 모터의 종류
■ 하이브리드 운전 시스템
■ 하이브리드차 장 • 단점
■ 개발동향
■ 일본 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
■ 마무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combined city/highway)
- regenerative braking : ABS를 가진 벤틸레이티드 프론트 디스크/리어 드럼브레이크
* 주행 제어
- 어드밴스 된 전기모터와 결합된 고효율의 가솔린엔진이 프리우스를 달리게 하는 동력원이 된다. 주향조건에 따라 최대 연비를 내거나 또는 배출가스를 최소화 하는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
초기 가속구간에서는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모든 힘을 공급한다.
15~17마일 정도의 속도에서는 가솔린엔진이 가동되며 프리우스에 동력을 공급한다.
차가 고속구간에 들어서면 가솔린엔진과 전기동력이 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고속도로에서 가속을 할 때는 전기모터가 프리우스에 부가적인 동력을 공급한다.
프리우스는 도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이 뱃터리 전력이 약할 때 마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여유분을 밧데리의 재충전에 사용하기에 재충전이 필요 없다.
대쉬보드에 있는 LCD 계기판에는 프리우스의 에너지흐름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 스크린은 프리우스가 주행중에 전기로 달리는 지 가솔린으로 달리는 지 아니면 이 둘의 조합으로 달리는지를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차량이 정지했을 때 가솔린 엔진은 자동적으로 정지하며 전기모터가 프리우스에 동력을 제공키 위한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이는 연료소모를 막고 정지 아이들린 (엔진공전)동안 배출가스 배출을 막는다.
■ 일본 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
메이커
도요다
닛산
혼다
엔진 배기량 형식
1.5I직렬 4기통
2.5IV형 6기통
1.0I직렬 3기통
구동모터
출력
30kW
40kW(추정)
10kW
종류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배터리
종류
니켈수소 2차전지
리틈이온 2차전지
전기 2중층 콘덴서
질량
약 75kg
약 50kg
약 30kg
연비(1015모드)
29km/l
(1.5I차의 약 2배)
같은 배기량차의 약 2배
30km/I 이상
하이브리드 무게
약 140kg
약 100kg
약 50Kg(1.5I비교)
ㅇ 도요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방식 : 병렬방식 + 직렬 방식 조합
- 기본 구성 : 엔진, 모터, 배터리, 동력분할기구, 인버터 등
- 기본동력원 : 기본동력원은 엔진이며 동력은 동력분할기구에 의해서 휠의 구동력과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부할된다.
- 발전기에서 발전된 동력 : 모터의 구동력으로 직접 이용
- 저장 : 인버터에서 직류로 교환된 후 고전압 배터리로 저장
<도요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ㅇ 닛산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병렬 하이브리드 방식 : 모터와 발전기를 2개 탑재
- 엔진에 2개의 모터와 발전기를 두어, CVT(무단변속기)로 차륜을 구동
- 다른 1개는 구동 모터와 제동 때의 에너지 회수가 가능
- 정지 때는 엔진을 멈추고, 출발 때는 모터만으로 구동해서 연비가 향상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도>
ㅇ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NEO 하이브리드 시스템 특징
CO의 배출량의 감소
구성 : 엔진, 동력용 배터리, 발전기, 모터, 인버터, CVT(무단 자동변속기) 등
전자 클러치 설치
■ 마무리
ㅇ 앞으로 하이브리드 차의 방향
ㅇ 디젤연룔, 가솔린 연료 → 자연 친화적 연료
ㅇ 환경 친화적 연료로서 연료 전지가 가장 유력
ㅇ 연료 전지가 상용화가 미비하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상용화 실현.
■ 참고문헌
1. http://www.okcar.co.krcarnews/1.29.htm
2. http://kkucc.konkuk.ac.kr/%7Ejungkyup/lecture.htm
3. http://www.koreaautotech.com
4. http://woorizip.thecar.com
- regenerative braking : ABS를 가진 벤틸레이티드 프론트 디스크/리어 드럼브레이크
* 주행 제어
- 어드밴스 된 전기모터와 결합된 고효율의 가솔린엔진이 프리우스를 달리게 하는 동력원이 된다. 주향조건에 따라 최대 연비를 내거나 또는 배출가스를 최소화 하는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
초기 가속구간에서는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모든 힘을 공급한다.
15~17마일 정도의 속도에서는 가솔린엔진이 가동되며 프리우스에 동력을 공급한다.
차가 고속구간에 들어서면 가솔린엔진과 전기동력이 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고속도로에서 가속을 할 때는 전기모터가 프리우스에 부가적인 동력을 공급한다.
프리우스는 도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이 뱃터리 전력이 약할 때 마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여유분을 밧데리의 재충전에 사용하기에 재충전이 필요 없다.
대쉬보드에 있는 LCD 계기판에는 프리우스의 에너지흐름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 스크린은 프리우스가 주행중에 전기로 달리는 지 가솔린으로 달리는 지 아니면 이 둘의 조합으로 달리는지를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차량이 정지했을 때 가솔린 엔진은 자동적으로 정지하며 전기모터가 프리우스에 동력을 제공키 위한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이는 연료소모를 막고 정지 아이들린 (엔진공전)동안 배출가스 배출을 막는다.
■ 일본 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
메이커
도요다
닛산
혼다
엔진 배기량 형식
1.5I직렬 4기통
2.5IV형 6기통
1.0I직렬 3기통
구동모터
출력
30kW
40kW(추정)
10kW
종류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영구자석식 동기모터
배터리
종류
니켈수소 2차전지
리틈이온 2차전지
전기 2중층 콘덴서
질량
약 75kg
약 50kg
약 30kg
연비(1015모드)
29km/l
(1.5I차의 약 2배)
같은 배기량차의 약 2배
30km/I 이상
하이브리드 무게
약 140kg
약 100kg
약 50Kg(1.5I비교)
ㅇ 도요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방식 : 병렬방식 + 직렬 방식 조합
- 기본 구성 : 엔진, 모터, 배터리, 동력분할기구, 인버터 등
- 기본동력원 : 기본동력원은 엔진이며 동력은 동력분할기구에 의해서 휠의 구동력과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부할된다.
- 발전기에서 발전된 동력 : 모터의 구동력으로 직접 이용
- 저장 : 인버터에서 직류로 교환된 후 고전압 배터리로 저장
<도요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ㅇ 닛산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병렬 하이브리드 방식 : 모터와 발전기를 2개 탑재
- 엔진에 2개의 모터와 발전기를 두어, CVT(무단변속기)로 차륜을 구동
- 다른 1개는 구동 모터와 제동 때의 에너지 회수가 가능
- 정지 때는 엔진을 멈추고, 출발 때는 모터만으로 구동해서 연비가 향상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도>
ㅇ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 NEO 하이브리드 시스템 특징
CO의 배출량의 감소
구성 : 엔진, 동력용 배터리, 발전기, 모터, 인버터, CVT(무단 자동변속기) 등
전자 클러치 설치
■ 마무리
ㅇ 앞으로 하이브리드 차의 방향
ㅇ 디젤연룔, 가솔린 연료 → 자연 친화적 연료
ㅇ 환경 친화적 연료로서 연료 전지가 가장 유력
ㅇ 연료 전지가 상용화가 미비하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상용화 실현.
■ 참고문헌
1. http://www.okcar.co.krcarnews/1.29.htm
2. http://kkucc.konkuk.ac.kr/%7Ejungkyup/lecture.htm
3. http://www.koreaautotech.com
4. http://woorizip.thecar.com
추천자료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 환경에 관한 연구
연료전지 자동차의 이해
자동차 연비
자동차와 생활 과제
전기 자동차 (.PPT자료) 발표용
영화속 자동차 마케팅 비교분석 ,경영전략분석, 성공사례, 성공전략, 마케팅전략, STP전략, S...
현대 자동차 그린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분석, STP전략, 마케...
전기 자동차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마케팅 전략
현대자동차 기업조사 (제품개발, 마케팅, 생산과정, 완성차 물류 프로세스, 재무제표 분석, ...
기아자동차,K씨리즈,기업분석,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자동차 이야기 - 도요타 리콜사태
미래 자동차산업 그 변화의 핵심융합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