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의사소통
효율적 의사소통과 면담
가족과의 의사소통
건강력 조사
가족 사정
영양사정
효율적 의사소통과 면담
가족과의 의사소통
건강력 조사
가족 사정
영양사정
본문내용
식습관은?
- 비타민이나 기타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는가?
-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가?
- 최근 아동의 체중은 늘었나요? 감소되었나요?
- 아동의 식습관에 문제가 있습니까?
- 식사 시 영향을 미치는 치아문제 혹은 치아교정 장치의 유무
- 아동이 규칙적으로 하는 운동이 있습니까?
- 암, 당뇨병, 고혈압, 심질환, 비만의 가족력이 있습니까?
① 24시간 기억회상법
매일의 음식섭취를 평가하는 가장 흔하고 쉬운 방법이다. 아동과 부모는 지난 24시간 동안 먹은 모든 식품의 종류와 대략의 양을 기억해낸다. 이 방법은 전형적인 하루의 섭취내용을 나타낸다면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섭취한 양을 회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아동의 식이에 대해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② 음식일기(식사일기, food diary)
매일의 회상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족은 매일 먹은 음식과 음료를 기록하여 음식일기를 작성할 수 있다. 주중의 2일과 주말 중 하루를 포함하는 3일 기록법(3-day record)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된다. 실행도를 높이기 위해 특수한 기록용 차트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가족은 음식물 섭취 즉시 기록해야 한다.
③ 식사빈도 질문지(식사빈도 기록)
하루, 한주, 혹은 한달에 아동이 섭취한 횟수를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질문지는 질적인 정보를 전체적으로 제공해주며 일반적인 날에 기초하여 대략 회상하는 것을 막아주는 이점이 있고 식이력 혹은 음식일기를 확인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 임상적 검사(Clinical examination)
영양결핍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는 피부, 머리카락, 치아, 잇몸, 입술, 혀, 눈의 임상적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모발, 피부, 구강은 상피나 점막조직이 빨리 성장하기 때문에 영양결핍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영양상태의 임상적 사정을 위해 1. 적절한 영양상태의 증거, 2. 영양결핍 혹은 과잉의 증거, 3. 영양결핍/과잉으로 분류하여 제시한 것이 있는데 이것을 가지고 영양결핍 혹은 과잉시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적 징후에 대해 설명한다. 특수한 영양소에 대해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의심되는 징후가 발견된다면 식이력과 생화학적 자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검사는 영양소의 부족 혹은 과다 위험이 있는 아동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한다.
① 신체계측
신체계측은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필수적인 지표로서 어린 아동에서 키, 몸무게, 머리둘레, 신체비율, 피부주름 두께, 팔둘레를 측정한다. 키와 머리둘레는 과거의 영양상태를 반영하지만 몸무게, 피부주름 두께, 팔둘레는 현재의 영양상태를 반영한다. 피부주름 두께는 인체에 있는 지방의 약 절반 정도가 피하에 분포하기 때문에 신체의 지방의 양을 측정하게 해준다. 상완근육 둘레는 총근육량과 비례하여 근육은 인체의 주요 단백질이 저장되는 곳이므로 이 측정치는 인체당백질의 저장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적인 측정이 되기 위해 일정기간에 걸쳐 신체계측치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이전과 현재의 성장속도를 비교해야 한다.
② 생화학적 분석
다양한 생화학적인 검사가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혈장, 혈구, 소변, 간조직, 뼈, 머리카락, 손톱의 분석을 포함한다. 이 분석의 대부분은 복잡하며 일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헤마토크릿, 혈색소, 알부민, 크레아티닌 검사가 행해진다.
㈀ 헤마토크릿(Hematocrit)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혈액 검사중의 하나로서 헤마토크릿 전혈에 대해 적혈구 용적을 비교한 것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빈혈에 대한 검사이다.
㈁ 혈색소(Hemoglobin)
헤마토크릿은 적혈구의 용적을 측정하고 혈색소는 혈구세포내의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때문에 빈혈이 있는지를 사정하기 위해서는 두가지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색소를 사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정맥이나 모세 혈관에서 혈액을 채취한다. 혈색소 수치는 혈액의 g/이, mmol/L로 표현된다. 아동은 6개월~9개월, 12개월~18개월에 조사하여야 하는데 이는 아동이 철분 결핍성 빈혈이 진전될 위험이 가장 빈번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3. 영양상태 평가(Evaluation of nutritional assessment)
영양사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 후에 적절한 상담계획을 세우기 위해 자료를 평가한다. 자료를 통해서 아동이 영양불량인지, 영양불량의 위험이 있는지, 혹은 양호한 영양상태인지를 구분한다.
식품군별 피라미드(food guide pyramid)에 근거하여 다양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매일의 식사일기를 분석해야한다. 또한 가족의 민족적 관습이나 경제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정해야 한다. 소득이 제한된 가정에 대해 단백질 섭취 증가를 권장하는 것은 실행가능하지 않으며, 아시아 민족과 같이 육류를 적게 사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가족에게 단백질 섭취증가 권유도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임상검사와 신체계측 자료는 음식일기로부터 얻어진 자료와 함께 비교한다. 예를 들어, 빈혈의 징후와 음식물에서의 철분 섭취부족을 확인했다면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transferrin 임상수치를 확인해야한다. 의심되는 소견이 있다면 추가적 평가를 하기 위해 의뢰한다.
◎ 참고문헌
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 2004 / 김미예 외 / 수문사
2. 아동간호학Ⅰ/ 2002년 11월/ 홍경자 외/ 수문사
3. 김영혜 외/ 2003/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4. 김미예 외/ 2004/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수문사
5. 김미예 외 13/ 2004/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 수문사
6. 조결자 외 7/ 1997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Ⅰ/ 현문사
7. 김영혜 외 9명 / 2003년 / 아동간호학 총론 / 현문사 / p. 155~158
8. 김미예 외 13인 / 2004년 /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 수문사 / p. 141~146
9. 백설향 외 / 2005년 /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 현문사/ p. 857
목차>
의사소통
효율적 의사소통과 면담
가족과의 의사소통
건강력 조사
가족 사정
영양사정
- 비타민이나 기타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는가?
-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가?
- 최근 아동의 체중은 늘었나요? 감소되었나요?
- 아동의 식습관에 문제가 있습니까?
- 식사 시 영향을 미치는 치아문제 혹은 치아교정 장치의 유무
- 아동이 규칙적으로 하는 운동이 있습니까?
- 암, 당뇨병, 고혈압, 심질환, 비만의 가족력이 있습니까?
① 24시간 기억회상법
매일의 음식섭취를 평가하는 가장 흔하고 쉬운 방법이다. 아동과 부모는 지난 24시간 동안 먹은 모든 식품의 종류와 대략의 양을 기억해낸다. 이 방법은 전형적인 하루의 섭취내용을 나타낸다면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섭취한 양을 회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아동의 식이에 대해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② 음식일기(식사일기, food diary)
매일의 회상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족은 매일 먹은 음식과 음료를 기록하여 음식일기를 작성할 수 있다. 주중의 2일과 주말 중 하루를 포함하는 3일 기록법(3-day record)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된다. 실행도를 높이기 위해 특수한 기록용 차트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가족은 음식물 섭취 즉시 기록해야 한다.
③ 식사빈도 질문지(식사빈도 기록)
하루, 한주, 혹은 한달에 아동이 섭취한 횟수를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질문지는 질적인 정보를 전체적으로 제공해주며 일반적인 날에 기초하여 대략 회상하는 것을 막아주는 이점이 있고 식이력 혹은 음식일기를 확인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 임상적 검사(Clinical examination)
영양결핍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는 피부, 머리카락, 치아, 잇몸, 입술, 혀, 눈의 임상적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모발, 피부, 구강은 상피나 점막조직이 빨리 성장하기 때문에 영양결핍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영양상태의 임상적 사정을 위해 1. 적절한 영양상태의 증거, 2. 영양결핍 혹은 과잉의 증거, 3. 영양결핍/과잉으로 분류하여 제시한 것이 있는데 이것을 가지고 영양결핍 혹은 과잉시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적 징후에 대해 설명한다. 특수한 영양소에 대해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의심되는 징후가 발견된다면 식이력과 생화학적 자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검사는 영양소의 부족 혹은 과다 위험이 있는 아동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한다.
① 신체계측
신체계측은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필수적인 지표로서 어린 아동에서 키, 몸무게, 머리둘레, 신체비율, 피부주름 두께, 팔둘레를 측정한다. 키와 머리둘레는 과거의 영양상태를 반영하지만 몸무게, 피부주름 두께, 팔둘레는 현재의 영양상태를 반영한다. 피부주름 두께는 인체에 있는 지방의 약 절반 정도가 피하에 분포하기 때문에 신체의 지방의 양을 측정하게 해준다. 상완근육 둘레는 총근육량과 비례하여 근육은 인체의 주요 단백질이 저장되는 곳이므로 이 측정치는 인체당백질의 저장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적인 측정이 되기 위해 일정기간에 걸쳐 신체계측치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이전과 현재의 성장속도를 비교해야 한다.
② 생화학적 분석
다양한 생화학적인 검사가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혈장, 혈구, 소변, 간조직, 뼈, 머리카락, 손톱의 분석을 포함한다. 이 분석의 대부분은 복잡하며 일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헤마토크릿, 혈색소, 알부민, 크레아티닌 검사가 행해진다.
㈀ 헤마토크릿(Hematocrit)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혈액 검사중의 하나로서 헤마토크릿 전혈에 대해 적혈구 용적을 비교한 것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빈혈에 대한 검사이다.
㈁ 혈색소(Hemoglobin)
헤마토크릿은 적혈구의 용적을 측정하고 혈색소는 혈구세포내의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때문에 빈혈이 있는지를 사정하기 위해서는 두가지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색소를 사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정맥이나 모세 혈관에서 혈액을 채취한다. 혈색소 수치는 혈액의 g/이, mmol/L로 표현된다. 아동은 6개월~9개월, 12개월~18개월에 조사하여야 하는데 이는 아동이 철분 결핍성 빈혈이 진전될 위험이 가장 빈번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3. 영양상태 평가(Evaluation of nutritional assessment)
영양사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 후에 적절한 상담계획을 세우기 위해 자료를 평가한다. 자료를 통해서 아동이 영양불량인지, 영양불량의 위험이 있는지, 혹은 양호한 영양상태인지를 구분한다.
식품군별 피라미드(food guide pyramid)에 근거하여 다양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매일의 식사일기를 분석해야한다. 또한 가족의 민족적 관습이나 경제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정해야 한다. 소득이 제한된 가정에 대해 단백질 섭취 증가를 권장하는 것은 실행가능하지 않으며, 아시아 민족과 같이 육류를 적게 사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가족에게 단백질 섭취증가 권유도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임상검사와 신체계측 자료는 음식일기로부터 얻어진 자료와 함께 비교한다. 예를 들어, 빈혈의 징후와 음식물에서의 철분 섭취부족을 확인했다면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transferrin 임상수치를 확인해야한다. 의심되는 소견이 있다면 추가적 평가를 하기 위해 의뢰한다.
◎ 참고문헌
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 2004 / 김미예 외 / 수문사
2. 아동간호학Ⅰ/ 2002년 11월/ 홍경자 외/ 수문사
3. 김영혜 외/ 2003/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4. 김미예 외/ 2004/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수문사
5. 김미예 외 13/ 2004/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 수문사
6. 조결자 외 7/ 1997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Ⅰ/ 현문사
7. 김영혜 외 9명 / 2003년 / 아동간호학 총론 / 현문사 / p. 155~158
8. 김미예 외 13인 / 2004년 /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 수문사 / p. 141~146
9. 백설향 외 / 2005년 /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 현문사/ p. 857
목차>
의사소통
효율적 의사소통과 면담
가족과의 의사소통
건강력 조사
가족 사정
영양사정
추천자료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과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고 자신의 의사소통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가족관계_의사소통,대화단절,가정문제,가정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ppt
[의사소통이론A+] 부부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티어의 의사소통이론\...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자신의 실예를 들어 바람직했던 의사소통부분...
자신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하고 의사소통의 장단점을 보고서로 작성 [의사소통]
가족의사소통 기능에 가장 큰 문제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해보시오 (...
[인간관계론] 갈등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 의사소통의 정의, 의사소통의 중요성, 의사소통을 ...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인은 어떠한 의사소통을 사용하는지 자신의 구...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일치성에 대해 설명하고, 명확성과 일치성이 결여되었을 때 나타날 수 ...
가족내 의사소통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여 기술하고 여러분의 가족구성원과 개별적으로 상호작...
환경보건학과=보건의사소통=본인 혹은 가족이 경험한 보건의사소통이 실패했던 사례를 들고, ...
환경보건학과=보건의사소통=보건의사소통에서 언어적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의 특성을 비교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