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분야
2. 선정이유
3. 경제성 분석 / LCC분석 프로세서
4. 경제성 분석 / LCC분석 결과
2. 선정이유
3. 경제성 분석 / LCC분석 프로세서
4. 경제성 분석 / LCC분석 결과
본문내용
22.62
2,879
23.39
유지관리비
6,530
75.31
9,008
77.22
9,408
76.42
해체비
9
0.11
18
0.16
22
0.19
총LCC
8,671
100
11,664
100
12,311
100
총LCC
100%
100%
100%
그림1
그림2
2) 사례대상 냉온수 유닛의 유형별 LCC 민감도 분석
본 연구에서 추정한 실질할인율 3.85%를 중심으로 0.85%에서 6.85%까지 할인율을 증감시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기준면적당(100m2) LCC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다음의 표 13은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들의 LCC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3와 같다.
표13.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별(할인비용)
단위: 천 원
대안
할인율
0.85%
1.85%
2.85%
3.85%
4.85%
5.85%
6.85%
단일설치사례
10,299
9,697
9,157
8,671
8,234
7,839
7,482
균등분할설치 사례
13,912
13,080
12,335
11,664
11,060
10,515
10,021
차등분할설치사례
14,661
13,791
13,012
12,311
11,680
11,110
10,594
그림 3
다음의 표 13과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정된 할인율(0.85%~6.85%)내에서 단일 설치 유형의 기준면적당(100m²)LCC가 가장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일설치 유형이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LCC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유지관리비로 나타났다. 그리고 설치 유형별 유지관리비의 약 70%~75%를 가스 에너지비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용량의 증감율(-20%~+20%)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4과 그림 4와 같다.
표14.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별 LCC(할인비용)
단위: 천 원
가스사용량 검출
대안
-20%
-10%
0%
+10%
+20%
단일
설치 사례
7,457
8,064
8,671
9,279
9,886
균등분할
설치 사례
10,056
10,860
11.664
12,315
13,273
차등분할
설치 사례
20,701
11,506
12,311
13,116
13,920
그림 4
경제성 종합 평가
본 경제성 평가 방법은 각 대안들에 대한 기준면적당(100m2) LCC분석을 실시하여 각 대안들의 총 LCC(불변비용, 할인비용)를 산정하고 연등가액으로 환산하여 단일설치 유형을 기준으로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따랐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의 표 15와 같다.
단위 : 천 원/100m2
LCC 구성항목
단일설치 사례
균등분할설치 사례
차등분할설치 사례
불변비용
할인비용
불변비용
할인비용
불변비용
할인비용
초기투자비
2131
2131
2638
2638
2879
2879
유지관리비
8718
6530
12025
9008
12560
9408
해체비
17
9
32
18
40
22
총 LCC
10867
8671
14696
11664
15480
12311
연등가액
724
771
979
1038
1032
1095
단일
설치
기준
총 LCC
비율
100%
100%
135%
134%
142%
141%
총 LCC
증감액
+3829
+2992
+4613
+3639
연등가
증감액
+255
+266
+307
+323
분석기간
15년
실질할인율
3.85%
표 15.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경제성 평가
세 가지 설치 유형 중 단일설치 사례의 총 LCC(할인비용)가 8,671,806원으로 가장 경제적인 설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단일설치 유형은 할인비용의 경우 균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기준면적당(100m²) 매년 266,371원(34%)의 q용 절감 효과가 있고, 차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기준면적당(100m²) 매년 323,916원(41%)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면적이 7,000m²이상인 것을 고려한다면, 매년 단일설치 유형이 균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18,645,970원, 차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22,647,120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설계용량에 대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을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례를 선정하고 LCC기법을 이용한 정체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냉온수 유닛의 LCC 구성항목을 조사하고, 구성항목별 비용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LCC분석을 하고, 각각의 설치 유형들에 대한 기준면적당(100m²)LCC를 예측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예측된 각설치 유형별 LCC를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을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사례를 사례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이들 사례들에 대한 LCC구성항목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초기투자비(냉동기 설치비, 냉각탑 설치비, 펌프 설치비), 유지 관리비(교체.수선비, 가스에너지비, 전기에너지비), 해체비(노무비, 폐기비, 잔존가치)를 고려한 LCC분석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일설치 유형이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기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냉온수 유닛의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등의 설치 유형에 따른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 설치 유형의 기준면적당(100m²)분석기간 15년 동안의 총 LCC(할인비용)는 8,671,806원으로 분석된 설치 유형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면적이 모두 7,000m²이상인 것을 고려한다면, 단일설치 유형을 기준으로 균등분할설치유형은 매년 18,645,970원, 차등분할설치 유형은 22,647,120원의 비용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사) 한국건설관리학회
2,879
23.39
유지관리비
6,530
75.31
9,008
77.22
9,408
76.42
해체비
9
0.11
18
0.16
22
0.19
총LCC
8,671
100
11,664
100
12,311
100
총LCC
100%
100%
100%
그림1
그림2
2) 사례대상 냉온수 유닛의 유형별 LCC 민감도 분석
본 연구에서 추정한 실질할인율 3.85%를 중심으로 0.85%에서 6.85%까지 할인율을 증감시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기준면적당(100m2) LCC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다음의 표 13은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들의 LCC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3와 같다.
표13.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별(할인비용)
단위: 천 원
대안
할인율
0.85%
1.85%
2.85%
3.85%
4.85%
5.85%
6.85%
단일설치사례
10,299
9,697
9,157
8,671
8,234
7,839
7,482
균등분할설치 사례
13,912
13,080
12,335
11,664
11,060
10,515
10,021
차등분할설치사례
14,661
13,791
13,012
12,311
11,680
11,110
10,594
그림 3
다음의 표 13과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정된 할인율(0.85%~6.85%)내에서 단일 설치 유형의 기준면적당(100m²)LCC가 가장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일설치 유형이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LCC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유지관리비로 나타났다. 그리고 설치 유형별 유지관리비의 약 70%~75%를 가스 에너지비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용량의 증감율(-20%~+20%)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4과 그림 4와 같다.
표14.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설치 유형별 LCC(할인비용)
단위: 천 원
가스사용량 검출
대안
-20%
-10%
0%
+10%
+20%
단일
설치 사례
7,457
8,064
8,671
9,279
9,886
균등분할
설치 사례
10,056
10,860
11.664
12,315
13,273
차등분할
설치 사례
20,701
11,506
12,311
13,116
13,920
그림 4
경제성 종합 평가
본 경제성 평가 방법은 각 대안들에 대한 기준면적당(100m2) LCC분석을 실시하여 각 대안들의 총 LCC(불변비용, 할인비용)를 산정하고 연등가액으로 환산하여 단일설치 유형을 기준으로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따랐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의 표 15와 같다.
단위 : 천 원/100m2
LCC 구성항목
단일설치 사례
균등분할설치 사례
차등분할설치 사례
불변비용
할인비용
불변비용
할인비용
불변비용
할인비용
초기투자비
2131
2131
2638
2638
2879
2879
유지관리비
8718
6530
12025
9008
12560
9408
해체비
17
9
32
18
40
22
총 LCC
10867
8671
14696
11664
15480
12311
연등가액
724
771
979
1038
1032
1095
단일
설치
기준
총 LCC
비율
100%
100%
135%
134%
142%
141%
총 LCC
증감액
+3829
+2992
+4613
+3639
연등가
증감액
+255
+266
+307
+323
분석기간
15년
실질할인율
3.85%
표 15.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경제성 평가
세 가지 설치 유형 중 단일설치 사례의 총 LCC(할인비용)가 8,671,806원으로 가장 경제적인 설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단일설치 유형은 할인비용의 경우 균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기준면적당(100m²) 매년 266,371원(34%)의 q용 절감 효과가 있고, 차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기준면적당(100m²) 매년 323,916원(41%)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면적이 7,000m²이상인 것을 고려한다면, 매년 단일설치 유형이 균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18,645,970원, 차등분할설치 유형보다는 22,647,120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설계용량에 대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을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례를 선정하고 LCC기법을 이용한 정체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냉온수 유닛의 LCC 구성항목을 조사하고, 구성항목별 비용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별 LCC분석을 하고, 각각의 설치 유형들에 대한 기준면적당(100m²)LCC를 예측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예측된 각설치 유형별 LCC를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온수 유닛의 설치 유형을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사례를 사례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이들 사례들에 대한 LCC구성항목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초기투자비(냉동기 설치비, 냉각탑 설치비, 펌프 설치비), 유지 관리비(교체.수선비, 가스에너지비, 전기에너지비), 해체비(노무비, 폐기비, 잔존가치)를 고려한 LCC분석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일설치 유형이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기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냉온수 유닛의 단일설치, 분할설치(균등분할, 차등분할)등의 설치 유형에 따른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 설치 유형의 기준면적당(100m²)분석기간 15년 동안의 총 LCC(할인비용)는 8,671,806원으로 분석된 설치 유형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례대상 건물의 냉난방면적이 모두 7,000m²이상인 것을 고려한다면, 단일설치 유형을 기준으로 균등분할설치유형은 매년 18,645,970원, 차등분할설치 유형은 22,647,120원의 비용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사) 한국건설관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