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피임의 개요, 역사 및 근래 현황
1. 피임(避妊, contraception)의 개요
2. 피임의 종류
3. 피임의 역사
4. 우리나라의 근래의 현황
Ⅱ. 기구 피임법 및 사후 피임법
1. 기구 피임법
1) 콘돔 (condom)
2) 페미돔 (Femidom)
3) 피임용 격막 (Diaphragm, pessary)
4) 자궁내 삽입장치 (Intrauterine device : IUD)
2. 사후 피임법
1) 사후 피임약의 개요.
2) 사후 피임약의 원리
3) 필요한 경우
4) 제한 조건
5) 사후 피임약의 장·단점
6) 사용 방법
7) 실질적인 사용 형태
8) 기타 사항
Ⅲ. 각 피임 방법의 피임 실패율 비교
1. 피임(避妊, contraception)의 개요
2. 피임의 종류
3. 피임의 역사
4. 우리나라의 근래의 현황
Ⅱ. 기구 피임법 및 사후 피임법
1. 기구 피임법
1) 콘돔 (condom)
2) 페미돔 (Femidom)
3) 피임용 격막 (Diaphragm, pessary)
4) 자궁내 삽입장치 (Intrauterine device : IUD)
2. 사후 피임법
1) 사후 피임약의 개요.
2) 사후 피임약의 원리
3) 필요한 경우
4) 제한 조건
5) 사후 피임약의 장·단점
6) 사용 방법
7) 실질적인 사용 형태
8) 기타 사항
Ⅲ. 각 피임 방법의 피임 실패율 비교
본문내용
하지 않고 성교를 했을 경우
② 피임을 하였더라도 부적절하게 사용하여 임신가능성이 있는 경우
③ 콘돔이 파손되거나 빠져나갔을 때
④ 다이아프램이나 자궁경부 캡이 빠지거나 파손되었을 때
⑤ 월경주기를 잘못 계산하고 월경주기법으로 피임하였을 때
⑥ 질외 사정법이 실패했을 때
⑦ 자궁내 장치가 빠졌을 때 등이다
4) 제한 조건
▷ 성교 후 72시간(구리 자궁내장치는 성교 후 5일까지) 이내에 사용하여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
5) 사후 피임약의 장단점
⑴ 장점
① 알약을 복용하기만 함으로써 피임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② 기구 사용시 문제가 되는 불편함이나 성교시 쾌감의 감소가 없다.
⑵ 문제점 및 단점
ⓛ 부작용
㉠ 메스꺼움 - 난포흐르몬, 황체호르몬 복합제를 복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50~70%가, 그리고 황체호르몬만 복용한 경우에는 20% 정도가 메스꺼움을 느끼게 된다. 취침 전에 약을 복용하거나 음식물과 같이 복용하여 메스꺼움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진토제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 구토 - 심한 경우에는 구토도 일어나는데, 복합 먹는 피임약 투여시 약 20% 정도가 경험하게 된다. 약 복용 2시간 경과후 구토한 경우에는, 이미 신체내부에 투약효과가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으나, 2시간 이내에 구토한 경우에는 약효가 없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진토제를 복용하고 30분 후에 응급 피임약을 재복용한다. 심한 구토가 있을 경우에는 응급 피임약의 질내 삽입을 시도할 수도 있으나, 이 때에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 소량의 자궁출혈 - 소량의 점상 자궁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대부분 다음 생리가 일찍 있다(먹는 피임약 복용후 98%에서 3주 이내에 다음 생리 시작). 이 외에 유방통증, 두통, 피로감, 현기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개 다른 진통제 등의 투약 없이 24시간 이내에 소실되고, 증상도 심하지 않다.
② 실패 확률로 인한 임신 가능성
▷ 응급피임약으 경우 지시대로 정확히 복용할 겨우 첫 회에는 90% 이상의 피임효과를 발휘하지만 사용 횟수가 많아지면 급격하게 피임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허가되더라도 일반 피임약을 대신 할 수는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실제로 응급피임약을 세 번 연속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피임률이 50%대로 급락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③ 생명 경시 현상
▷ 사후피임약으로 책임감이 결여된 성관계가 증가할 것이고, 성 문란과 낙태를 오히려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인명을 경시하는 풍조까지 부추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특히 종교계에서는 사후피임약의 시판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종교계 중에서도 가톨릭은 피임조차도 완고히 반대를 하고 있으며 물론 낙태에 대해서도 적극 반대하고 있다.
▷ 가톨릭에서는 자연피임법(금욕, 자연주기법)만이 허용된다. 또 몇 년 전부터 모자보건법의 폐지를 주장해 왔다. 가톨릭에서는 모든 생명의 시작을 '수정'으로부터 보기 때문에 낙태는 반인륜적 행위로 규정한다. 따라서 치명적인 장애아로 판명되거나 강간을 당해 원하지 않는 임신을 했다 하더라도 그 생명은 곧 인간이며 어느 누구도 그 생명권을 박탈할 수 없다. 더불어 사후피임약이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으며 결국 미봉책에 불과하다.
6) 사용 방법
⑴ 사후 피임약의 복용
①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한알을 복용
(단, 약 1정을 복용후, 3시간 이내에 토했을 경우 다른 1정을 복용)
② 12시간 후 한알을 추가 복용한다.
③ 성관계후 72시간 이후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복용하지 않는다.
⑵ 일반 피임약으로 대치하여 복용
▷ 현재 국내 일반 약국에선 공식적으로 인정된 사후 응급 피임약을 판매하지 않는다. 대신 일반 피임약(미니보라, 트리퀼라, 세스콘, 레보라 등등)에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다.
▷ 방법은 섹스 후 72시간 이내에 1차 복용하고, 그 후 12시간 이내에 2차 복용을 하는 것. 1차 복용 시간이 빠르면 빠를수록 피임 효과는 높다. 약을 먹으면 구토 증세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엔 우유나 물 등을 자기 전에 먹는 게 좋다. 만약 약 복용 후 2시간 이내에 토했다면, 같은 용량을 30분 내에 한 번 더 복용해야 한다.
▷ 약의 복용량은 1회 3~4알씩 먹는게 보통이나, 피임약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며 과량 복용, 혹은 너무 빈발한 복용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위와 같이 했을 경우 피임 효과는 75% 정도이다.
7) 실질적인 사용 형태
▷ 현재 ‘노레보’정의 약국공급가격은 7900원, ‘쎄스콘’정은 5000원선에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후 피임약은 외국에서는 일반의약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 특수 장소를 제외하고 의사의 처방전에 의해서만 약국판매가 가능하다.
▷ 또한 ‘노레보’정은 전문의약품이므로 의사의 처방을 거쳐야만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한다.
① 노레보의 성분 - levonorgestrel 0.75mg
② 노레보의 성상 - 백색의 원형정제 2정
③ 노레보의 효능/효과
- 무방비한 성교나 피임방법이 실패한 경우,
성교후 72시간 이내에 즉시 사용하는 응급피임약
8) 기타 사항
① 응급피임약을 먹고, 피임된 것을 확인하는 방법
▷ 피임 되었다면 대부분 약 복용 후 3 주 이내에 생리가 있다. 그러나, 질출혈이 있다고 해도 피임의 성공을 100% 확신할 수는 없다. 응급 피임약의 실패율이 높은데다 착상 출혈과 자궁외 임신 출혈 등 임신이 됐을 때도 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생리가 1주일 이상 연기될 때는 소변 임신반응검사를 해서 임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② 응급피임에 실패했을 경우
▷ 응급피임이 실패해서 임신된 경우에는 우선 자궁 외 임신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 응급피임법이 반드시 자궁 외 임신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응급 피임이 실패한 경우에 자궁외임신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미 사용한 응급피임약이 태아 기형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Ⅲ. 각 피임 방법의 피임 실패율 비교
② 피임을 하였더라도 부적절하게 사용하여 임신가능성이 있는 경우
③ 콘돔이 파손되거나 빠져나갔을 때
④ 다이아프램이나 자궁경부 캡이 빠지거나 파손되었을 때
⑤ 월경주기를 잘못 계산하고 월경주기법으로 피임하였을 때
⑥ 질외 사정법이 실패했을 때
⑦ 자궁내 장치가 빠졌을 때 등이다
4) 제한 조건
▷ 성교 후 72시간(구리 자궁내장치는 성교 후 5일까지) 이내에 사용하여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
5) 사후 피임약의 장단점
⑴ 장점
① 알약을 복용하기만 함으로써 피임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② 기구 사용시 문제가 되는 불편함이나 성교시 쾌감의 감소가 없다.
⑵ 문제점 및 단점
ⓛ 부작용
㉠ 메스꺼움 - 난포흐르몬, 황체호르몬 복합제를 복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50~70%가, 그리고 황체호르몬만 복용한 경우에는 20% 정도가 메스꺼움을 느끼게 된다. 취침 전에 약을 복용하거나 음식물과 같이 복용하여 메스꺼움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진토제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 구토 - 심한 경우에는 구토도 일어나는데, 복합 먹는 피임약 투여시 약 20% 정도가 경험하게 된다. 약 복용 2시간 경과후 구토한 경우에는, 이미 신체내부에 투약효과가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으나, 2시간 이내에 구토한 경우에는 약효가 없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진토제를 복용하고 30분 후에 응급 피임약을 재복용한다. 심한 구토가 있을 경우에는 응급 피임약의 질내 삽입을 시도할 수도 있으나, 이 때에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 소량의 자궁출혈 - 소량의 점상 자궁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대부분 다음 생리가 일찍 있다(먹는 피임약 복용후 98%에서 3주 이내에 다음 생리 시작). 이 외에 유방통증, 두통, 피로감, 현기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개 다른 진통제 등의 투약 없이 24시간 이내에 소실되고, 증상도 심하지 않다.
② 실패 확률로 인한 임신 가능성
▷ 응급피임약으 경우 지시대로 정확히 복용할 겨우 첫 회에는 90% 이상의 피임효과를 발휘하지만 사용 횟수가 많아지면 급격하게 피임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허가되더라도 일반 피임약을 대신 할 수는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실제로 응급피임약을 세 번 연속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피임률이 50%대로 급락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③ 생명 경시 현상
▷ 사후피임약으로 책임감이 결여된 성관계가 증가할 것이고, 성 문란과 낙태를 오히려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인명을 경시하는 풍조까지 부추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특히 종교계에서는 사후피임약의 시판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종교계 중에서도 가톨릭은 피임조차도 완고히 반대를 하고 있으며 물론 낙태에 대해서도 적극 반대하고 있다.
▷ 가톨릭에서는 자연피임법(금욕, 자연주기법)만이 허용된다. 또 몇 년 전부터 모자보건법의 폐지를 주장해 왔다. 가톨릭에서는 모든 생명의 시작을 '수정'으로부터 보기 때문에 낙태는 반인륜적 행위로 규정한다. 따라서 치명적인 장애아로 판명되거나 강간을 당해 원하지 않는 임신을 했다 하더라도 그 생명은 곧 인간이며 어느 누구도 그 생명권을 박탈할 수 없다. 더불어 사후피임약이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으며 결국 미봉책에 불과하다.
6) 사용 방법
⑴ 사후 피임약의 복용
①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한알을 복용
(단, 약 1정을 복용후, 3시간 이내에 토했을 경우 다른 1정을 복용)
② 12시간 후 한알을 추가 복용한다.
③ 성관계후 72시간 이후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복용하지 않는다.
⑵ 일반 피임약으로 대치하여 복용
▷ 현재 국내 일반 약국에선 공식적으로 인정된 사후 응급 피임약을 판매하지 않는다. 대신 일반 피임약(미니보라, 트리퀼라, 세스콘, 레보라 등등)에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다.
▷ 방법은 섹스 후 72시간 이내에 1차 복용하고, 그 후 12시간 이내에 2차 복용을 하는 것. 1차 복용 시간이 빠르면 빠를수록 피임 효과는 높다. 약을 먹으면 구토 증세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엔 우유나 물 등을 자기 전에 먹는 게 좋다. 만약 약 복용 후 2시간 이내에 토했다면, 같은 용량을 30분 내에 한 번 더 복용해야 한다.
▷ 약의 복용량은 1회 3~4알씩 먹는게 보통이나, 피임약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며 과량 복용, 혹은 너무 빈발한 복용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위와 같이 했을 경우 피임 효과는 75% 정도이다.
7) 실질적인 사용 형태
▷ 현재 ‘노레보’정의 약국공급가격은 7900원, ‘쎄스콘’정은 5000원선에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후 피임약은 외국에서는 일반의약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 특수 장소를 제외하고 의사의 처방전에 의해서만 약국판매가 가능하다.
▷ 또한 ‘노레보’정은 전문의약품이므로 의사의 처방을 거쳐야만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한다.
① 노레보의 성분 - levonorgestrel 0.75mg
② 노레보의 성상 - 백색의 원형정제 2정
③ 노레보의 효능/효과
- 무방비한 성교나 피임방법이 실패한 경우,
성교후 72시간 이내에 즉시 사용하는 응급피임약
8) 기타 사항
① 응급피임약을 먹고, 피임된 것을 확인하는 방법
▷ 피임 되었다면 대부분 약 복용 후 3 주 이내에 생리가 있다. 그러나, 질출혈이 있다고 해도 피임의 성공을 100% 확신할 수는 없다. 응급 피임약의 실패율이 높은데다 착상 출혈과 자궁외 임신 출혈 등 임신이 됐을 때도 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생리가 1주일 이상 연기될 때는 소변 임신반응검사를 해서 임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② 응급피임에 실패했을 경우
▷ 응급피임이 실패해서 임신된 경우에는 우선 자궁 외 임신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 응급피임법이 반드시 자궁 외 임신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응급 피임이 실패한 경우에 자궁외임신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미 사용한 응급피임약이 태아 기형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Ⅲ. 각 피임 방법의 피임 실패율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