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화학] Absorption Spectra & pKa Thymol Blu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Purpose

2.Theory

3. 실험방법

4.결과

본문내용

2869
640
70
0.961082
98.4
0.813185
40.8
1.19552
645
74.6
0.936821
98.8
0.814803
49
1.119364
650
79.6
0.912
98
0.821687
57.8
1.050986
655
85.6
0.883768
98.8
0.821484
67.2
0.988872
660
88.4
0.873092
99.2
0.823032
74.8
0.945642
665
92.6
0.856211
100.4
0.821088
81.8
0.910068
670
94.2
0.852024
99.8
0.826944
86
0.891576
675
95.8
0.847938
99.2
0.832792
89.8
0.876027
680
96.4
0.848432
99.2
0.835997
92.6
0.865898
685
97.6
0.846241
98.4
0.842695
95
0.857967
690
98.8
0.844092
97.6
0.849399
95
0.861125
695
99
0.84635
99.8
0.842854
97.2
0.854319
700
99
0.849463
100.2
0.84423
96.4
0.861021
pka 계산
1) 산성 용액
εHA = 1.168 / 3 * 10-4 * 1 = 3893.3
εA- = 0.756 / 1 * 10-3 * 1 = 756
완충용액의 흡광도 : 0.777
= 6.69 * 10-6
2) 염기성 용액
εA- = 2.093 / 1 * 10-3 * 1 =2093
εHA = 0.783 / 3 * 10-4 * 1 =2610
완충용액의 흡광도 : 1.283
= -9.67 * 10-4
3) CH+ 계산
pH ≒9 인 완충용액
pH = -log CH+ = 9
CH+ = 1.00 * 10-9 M
따라서 ka 는 아래 식을 따라 위의 값을 대입하면
= 1.00 * 10-9 *|-9.67 * 10-4| / 6.69 * 10-6
= 1.44 * 10-7
pka는 pka = - log ka 이므로
pka =6.842
Discussion
염기성 용액에서의 농도가 마이너스가 나왔다... 식을 분석해 보았을 때 마이너스가 나온 이유는 595파장에서 HCl의 흡광도가 너무 높게 측정되었거나 NaOH의 흡광도가 낮게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마이너스 값에 영향을 준건 버퍼의 흡광도 인 것 같다.
버퍼를 넣었을 때에 조교님이 색이 이상하다고 하신 점과 만들고서 PH를 확인 하지 않았던
점이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또 기기를 사용하면서 정확한 파장을 맞추기 어려웠던 점과 시료가 든 용기에 지문이 묻지않게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해야 하는 점이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언제나 실험을 하면서 용액의 제조 또는 기기의 부정확한 사용은 항상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의 경우에는 버퍼자체의 제조가 잘 못되었다고 생각이 된다. 계속 결과를 쓰면서도 다시 한번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 실험부터라도 제대로 숙지하여 다시는 이런 오차를 생기지 않게 해야겠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3.2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