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행문학의 이해
1.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
2. 조선후기 청,일 관련 기행문학
3.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
Ⅱ.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1. 慧超는 누구인가
2. 언제 어떻게 <왕오천축국전>은 발견되었나
3. 혜초의 서역기행 시기와 경로
4. <왕오천축국전>에 수록된 한시.
- 南天路 爲言 -
<참고문헌>
1.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
2. 조선후기 청,일 관련 기행문학
3.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
Ⅱ.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1. 慧超는 누구인가
2. 언제 어떻게 <왕오천축국전>은 발견되었나
3. 혜초의 서역기행 시기와 경로
4. <왕오천축국전>에 수록된 한시.
- 南天路 爲言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북천축국- 龜玆國 (안서지역)의 경로를 밟은 듯하다.
현재 볼 수 있는 첫 부분은 중천국에 있는 拘尸那國에 갔던 부분이다.
4. <왕오천축국전>에 수록된 한시.
- 南天路 爲言 -
달 밝은 밤에 고향길 바라보니
뜬 구름만 둥둥 떠 돌아가는구나.
편지를 써서 가는 편에 부치려 하나
바람이 사나워서 들어주지 않고 돌아가네
내 나라는 하늘가 북쪽이건만
타방은 머나먼 땅 끝의 서쪽
남방이라 기러기도 있지 않으니
뉘라서 계림 향해 날려줄까나
<참고문헌>
김명호, 박지원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출판부.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 비평.
민영환, 해천추범, 을유문화사, 4292(1959)년.
조동일 외, 한국문학신강, 길벗, 1994.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현재 볼 수 있는 첫 부분은 중천국에 있는 拘尸那國에 갔던 부분이다.
4. <왕오천축국전>에 수록된 한시.
- 南天路 爲言 -
달 밝은 밤에 고향길 바라보니
뜬 구름만 둥둥 떠 돌아가는구나.
편지를 써서 가는 편에 부치려 하나
바람이 사나워서 들어주지 않고 돌아가네
내 나라는 하늘가 북쪽이건만
타방은 머나먼 땅 끝의 서쪽
남방이라 기러기도 있지 않으니
뉘라서 계림 향해 날려줄까나
<참고문헌>
김명호, 박지원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출판부.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 비평.
민영환, 해천추범, 을유문화사, 4292(1959)년.
조동일 외, 한국문학신강, 길벗, 1994.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