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調脾胃 초부 채과 금수 초부 황달 습열 초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調脾胃 초부 채과 금수 초부 황달 습열 초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調脾胃
초부 채과 금수 초부
황달
습열
초부

본문내용

료한다.
大黃
대황
(治濕熱黃疸。傷寒瘀熱發黃者,浸水煎服,取利。)
대황은 습열 황달을 치료한다. 상한병 어열 황달발생에 물에 담가 달여 복용하면 이롭게 된다.
樓根
과루근
(除腸胃痼熱,八疸,身面黃。
과루근은 위장의 고질열과 8종류 황달 몸과 안면 황달을 제거한다.
黑疸危疾,汁服,小兒加蜜。
흑달로 위급한 질병이 됨에 과루근을 찧은 즙을 복용하고 소아는 꿀을 가미한다.
酒疸 黃疸,靑樓焙硏煎服,取利。
주달, 황달에 청과루를 약한 불에 구워 갈아 달여 복용하고 하리케 한다.
時疾發黃,黃樓絞汁,入芒硝服。)
유행성 질병으로 황달 발생함에 황색과루를 쥐어짠 즙에 망초를 넣고 복용한다.
胡黃連
호황련
(小兒黃疸,同黃連末,入黃瓜內,熟,丸服。)
소아황달에 호황련을 황련가루와 함께 황과를 안에 넣고 면으로 싸서 구워 익히면 찧어 환으로 복용한다.
黃連
황련
(諸熱黃疸。)
황련은 여러 열황달을 치료한다.
柴胡
시호
(濕熱 黃疸,同甘草、茅根水煎服。)
시호는 습열 황달에 감초 모근과 함께 물에 달여 복용한다.
苦參
고삼
(主黃疸,除濕熱。)
고삼은 황달을 주치하고 습열을 제거한다.
貝母
패모
(主時行黃疸。)
패모는 유행성 황달을 주치한다.
山慈姑
산자고
(同蒼耳 酒服,治黃疸。)
산자고는 창이와 함께 술에 갈아 복용하니 황달을 치료한다.
茅根
모근
(利小便,解酒毒,治黃疸。五種疸疾,用汁合猪肉,作羹食。)
모근은 소변을 잘나가게 하고 주독을 풀어준다. 모근은 황달과 5종류의 달질을 치료하며 모근즙은 돼지고기와 합하여 국을 만들어 먹는다.
葛根
갈근
(酒疸,煎湯服。)
갈근은 주달에 달인 탕으로 복용한다.
紫草
자초
(火黃,身有赤點,午前卽熱,同吳藍、黃連、木香 煎服。)
자초는 화황과 몸에 적색점이 있음에 오전에 열나면 오람, 황련, 목향과 함께 달여 복용한다.
惡實
우방자
(治急黃,身熱發狂,同黃芩煎服。)
악실은 급황을 치료하니 몸에 열과 발광함에 황금과 함께 달여 복용한다.
蒼耳葉
창이엽
( 安舌下,出涎,去目黃。)
창이엽은 혀 아래를 주물러서 침이 나오게 하면 눈의 황달을 제거한다.
麥門冬
맥문동
(身重 目黃。)
맥문동은 몸이 무겁고 눈이 황달이 됨을 치료한다.
龍膽
용담
(除胃中伏熱,時疾熱黃,去目中黃,退肝經邪熱。
용담은 위 속의 잠복한 열과 유행성 질병인 열황을 제거하니 눈속의 황달을 제거하고 간경락의 사열을 물러나게 한다.
穀疸因食得,勞疸,因勞得,用一兩,同苦參末 二兩,牛膽汁丸服 亦效。)
곡달은 음식에 기인하여 얻고, 노달은 노동에 기인하여 얻으니 40g을 사용하면서 고삼가루 80g과 함께 우담즙으로 환을 만들어 복용하면 또한 효과가 있다.
馬藺
마린
(解酒疸。)
마린은 주달을 푼다.
荊芥
형개
(除濕疸。)
형개는 습달을 제거한다.
麗春草
여춘초
(療時患變成 (가슴병, 멍들다 음; -총16획; yin)
黃疸,采花末服;根杵汁服,取利。)
여춘초는 치료시 질환이 음황달로 변성하니 꽃을 딸 때 가루로 복용한다. 뿌리를 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하면 하리케 한다.
大靑
대청
(主熱病 發黃。)
대청은 열병으로 황달발생함을 치료한다.
麻黃
마황
(傷寒發黃表熱,煎酒服取汗。)
마황은 상한병 황달 발생과 표열에 달인 술로 복용하여 땀을
燈心根
등심뿌리
(四兩,酒水各半,煎服。)
등심근 160g을 술과 물을 각각 반으로 하여 달여 복용한다.
萱草根
훤초 뿌리
(治酒疸,汁服。)
훤초근은 주달을 치료하니 찧은 즙을 복용한다.
苦耽
고탐
(治熱結發黃,目黃,大小便,汁服,多效,除濕熱。)
고탐은 열이 결체하여 황달발생하고 눈이 황색이고, 대변과 소변이 깔깔함을 치료함에 찧은 즙을 복용하니 매우 효과가 있고, 습열을 제거한다.
漆草
칠초
(主黃疸,杵汁和 酒服。)
칠초는 황달을 주치하니 방아로 찧어서 즙과 술을 함께 복용한다.
鬼臼
귀구
(黑疸,不妨食者,汁服。)
귀구는 흑달에 음식에 방해되지 않으니 찧은 즙을 복용한다.
翹根
연교뿌리
(治傷寒瘀熱發黃。)
교근은 상한 어열로 황달발생을 치료한다.
扁蓄
편축
(治黃疸,利小便,汁頓服一斤。多年者,日再服。)
편축은 황달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찧으 즙을 갑자기 600g을 복용한다. 다년황달에는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紫花地丁
자화지정
(黃疸內熱,酒服末 三錢。)
자화지정은 황달 내열에 술로 가루 12g을 복용한다.
大戟
대극
(泄天行黃病。)
대극은 유행성 황달병을 설한다.
藜蘆
여로
(黃疸 腫疾,爲末水服,取吐。)
여로는 황달 종질병에 가루내어 물에 복용하니 토하게 한다.

원화
(酒疸尿黃,同椒目燒末,水服。)
원화는 주달과 소변이 황색임에 초목과 함께 태운 가루를 물에 복용한다.
木鱉子
목별자
(酒疸脾黃,磨醋 服一、二盞,取利。)
목별자는 주달 비황에 간 식초를 한 두잔 복용하여 하리케 한다.
土瓜根
토과근
(利大小便,治酒黃病。黃疸變黑及小兒發黃,取汗服,病從小便出。)
토과근은 대변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황달병을 치료한다. 황달이 흑달로 변하고 소아 발황에 땀을 내서 복용하면 병이 소변을 따라 배출된다.
百條根
백조근
(同米飯,臍上,黃腫自小便出。)
백조근은 찹쌀과 함께 밥을 만들어 찧어서 배꼽 위에 그물처럼 하면 황색 부종이 소변을 따라서 나온다.
子根
계자근
(主諸熱急黃,天行黃疸。)
계자근은 여러 열의 급성 황달과 유행성 황달을 주치한다.
山豆根
산두근
(治五般急黃,水服末二錢。)
산두근은 5가지 일반 급황을 치료하니 물로 가루를 8g을 복용한다.

천근
(主黃疸。)
천근은 황달을 주치한다.
木通
목통
(主脾疸,常欲眠,心煩,利小便。)
목통은 비달을 주치하니 항상 자려고 하고, 심번함에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白英
백영
(主寒熱八疸,煮汁飮。)
백영은 한열 8가지 달을 주치하니 달인 즙을 마신다.
澤瀉
택사
(利小便。)
택사는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菰 菰(향초, 부추, 외롭다 고; -총12획; gu)

고순
(除目黃,利大小便,解酒毒。)
고순은 눈의 황색을 제거하고 대변 소변을 잘나가게 하고, 주독을 풀어준다.

순채
(治熱疸。)
순채는 열달을 치료한다.
地錦
지백
(主脾勞黃疸,同礬諸藥丸服。)
지백은 비로 황달을 주치하니 조각과 백반등의 여러 약과 함께 환제로 복용한다.

오구
垣衣
원의
(主疸。)
원의는 황달을 주치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4.0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