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성공전략 사례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우리나라 유통산업
2. 대형할인점의 등장과 발전
3. 이마트 소개

Ⅱ. 본론
1. 포지셔닝
2. SWOT 분석
3. 요소별 분석
4. 7P
5. 이마트 성공요인

Ⅲ. 결론
1. 할인점 시장의 전망
2.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
3. 지속적 성장을 위한 이마트 전략 제안

본문내용

실행하고 있다. 당장은 비용이 부담될 수 있지만 자신들이 선정하고 사용하는 기술이 세계표준이 될 경우 그에 따른 수익은 비용을 몇 배나 초과하는 수준에 이를 것이다. 예를 들면 월마트는 모든 거래업체에게 RFID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유통업체들도 이러한 세계적 표준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 사용하여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기르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④ 새로운 시장을 적극 개척하라!
전술하였듯이 현재 국내 할인점시장은 치열한 경쟁속의 약육강식의 시장이다. 상대방의 시장을 뺏기 위해서 출혈 경쟁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 할인점시장의 현실이다. 진입장벽 또한 낮기 때문에 언제든지 신규 경쟁자가 새롭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내에 신규점포를 출점함에 있어서도 수익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재래시장 및 중소유통업자들의 반발도 매우 거센 실정이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에서는 재래시장 및 중소유통업자의 보호를 이유로 할인점 사업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할인점의 영업시간뿐만 아니라 점포개점, 판매품목 등 다양한 부분을 규제하는 법안을 발의한 상황이다. 이러한 국내 시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해외 시장의 공략과 재래시장 및 중소유통업자와의 공존방안이 필요하다.
해외 시장개척의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를 들 수 있다. 최근 중국의 소매업 동향을 보면 민간 소비가 최근 5년 동안 평균12.6%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에서 발표된 11.5정부계획이 중산층을 늘리는데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소비 성장은 계속될 것이다. 중국시장의 광대함과 소비신장을 고려한다면 이마트는 협소한 국내 시장을 탈피하여 중국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여야 한다. 이마트가 현재 중국에 진출했다고는 하지만 광대한 중국시장에서 그 위상이나 규모는 다른 선발업체보다 많이 뒤쳐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 시장에서 외국계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 사실에 자신감을 가지고 현지화 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면서 신기술을 적극 도입한다면 힘들겠지만 중국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여 보다 경쟁력 있는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뿐만 아니라 경제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시장 확대가 예상되고 있는 동남아 시장의 진출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5년간 민간소비 추이>
<표-14> (단위 : RMB 10억원,%)
년 도
2001
2001
2003
2004
2005F
2006F
금 액
4.590
4.888
5.269
5.899
6.401
6.913
신 장 율
13.6%
12.9%
12.2%
11.5%
11.2%
11.1%
<중국 내 주요 할인점 현황>
<표-15>
대형할인점
현재 중국 전역에 약 789개 점포 포진(1000평 이상)
주 요
기 업
출 점
현 황
E-MART: 4
Wall-Mart :49
Jusco: 9
Trust-Mart: 103
MECA-MART : 2
Metro: 26
Ito-Yotama: 7
Century-Mart: 73
Carrefour: 67
Makro: 4
RT-Mart: 56
HL-GMS: 27
Auchan: 13
Lotus: 57
HY-Mall: 34
Wumei:19 등
적극적인 해외시장의 개척은 국내 시장의 안정을 전제로 하였을 때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주요수익원인 국내시장을 무시하고 위험이 큰 해외시장만을 바라본다면 그에 따른 부작용을 예상할 수 있다. 현재 국내 할인점시장은 그리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전술하였다시피 2006년 3월30일 국회에서 대형유통업을 규제하는 법률이 발의되었다. 이러한 법률이 발의되게 된 배경은 중소유통업자들과의 극심한 마찰이다.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 중소상인들이 정부에 대책을 강구하면서 발의된 것이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법률이 얼마나 중소상인들에게 효과가 있을지 또 대형할인점에는 어느 정도의 타격을 입힐지는 예측불가능하다. 하지만 버스와 택시 사업자를 보호하기위하여 시행된 대형유통업체의 셔틀버스운행금지조치를 본다면 그 실효성은 낙관적이기보다는 비관적이다. 오히려 물가상승압력이 작용하고 소비자의 집중이 이루어져 교통체증만 발생시킬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대형 - 중소 유통업 우수 상생사례>
<표-16>
업 체
내 용
이 마 트
중소 유통업 판로 지원을 위한 박람회 개최(‘05.10.25, 서울)
소면 제조업체와의 PB개발 및 구매로 납품업체와 동반성장
Network-ban : 은행과의 협약으로 중소상인의 자금난 지원
삼성테스코
벤더 파이낸싱 제도 : 은행과 협약하여 박람회 개최(부산),
어음할인 시 유리한 조건 적용
까 르 푸
장수축협과 한우고기 수급 계약
한국산 배를 프랑스등 유럽 매장에 판매(2004년)
월 마 트
5억4000만불 상당의 한국 상품을 전 세계 월마트 점포를 통해 수 출(2004년)
이러한 상황에서는 법률을 통한 강제적 규제보다는 대형할인점과 재래시장의 중소유통업자의 상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이미 이러한 노력이 다양한 유통업체를 통하여서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심각한 갈등 상황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위의 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우수상생(대형유통업-중소유통업) 사례들이다. 효과적인 상생방안을 마련하여 할인점과 중소유통업이 공존할 수 있는 시장구조를 건설하는 것이 한국의 주요 서비스업(유통업) 나아가 한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corean90
http://www.kotra.or.kr
http://about.shinsegae.com/museum/MUMainM.asp
http://www.emart.co.kr
「서비스 마케팅」 이유재, 학현사, 2004
「장사를 잘 하려면 이마트에서 배워라」박종현, 무한, 2004
「중국마케팅」 김용준, 박영사, 2004
「광화문에는 촛불이 없다」 장기영, 신주은, 삼각형프레스, 2004
「마케팅실천 성공 사례집(3)」 한국마케팅연구원, 2004
「국내 할인점시장 현황과 성장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1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4.0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