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않고 있는 하나의 교의에 불과하며, 오히려 이것은 엄격하게 말해서 인간 존엄성의 도덕적 성격에 국한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는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 간의 대인관계가 공통적으로 인간의 성격을 좌우하기 때문에 인간 성격에 대한 버크의 견해는 인간의 사회적 성격을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 버크에게 있어서 모든 인간은 같은 욕구와 때로는 절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통합하는 자연적인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공동체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사회를 창출케 하는 자연적인 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버크는 사회를 인간의 사회적 본능의 자연적인 발달 과정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버크에게는 별개의 독립군으로서의 개인, 즉 독립적인 개인이라 있을 수 없다. 그에 의하면 순수한 자연 상태는 사회적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시민사회의 상태가 자연 상태이고, 이 자연 상태는 기타의 자연 상태 이론가들이 의미하는 야만적인 상태 이상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성격은 하나의 사회적, 시민적 상태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시민적 상태는 인간 성격의 열등한 면을 견제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 성격의 고상한 점을 성취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R,니스벳, C.B.맥퍼슨, 문학과 지성사 1997
<보수주의> 이봉희, 민음사, 1996
<保守主義란 무엇인가> 피터 비레크, 태창 문화사, 1981
<정치 사상사> 존 모로, 을유 문화사, 2000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는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 간의 대인관계가 공통적으로 인간의 성격을 좌우하기 때문에 인간 성격에 대한 버크의 견해는 인간의 사회적 성격을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 버크에게 있어서 모든 인간은 같은 욕구와 때로는 절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통합하는 자연적인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공동체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사회를 창출케 하는 자연적인 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버크는 사회를 인간의 사회적 본능의 자연적인 발달 과정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버크에게는 별개의 독립군으로서의 개인, 즉 독립적인 개인이라 있을 수 없다. 그에 의하면 순수한 자연 상태는 사회적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시민사회의 상태가 자연 상태이고, 이 자연 상태는 기타의 자연 상태 이론가들이 의미하는 야만적인 상태 이상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성격은 하나의 사회적, 시민적 상태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시민적 상태는 인간 성격의 열등한 면을 견제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 성격의 고상한 점을 성취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R,니스벳, C.B.맥퍼슨, 문학과 지성사 1997
<보수주의> 이봉희, 민음사, 1996
<保守主義란 무엇인가> 피터 비레크, 태창 문화사, 1981
<정치 사상사> 존 모로, 을유 문화사, 2000